• Title/Summary/Keyword: 계층 구조

Search Result 2,88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Hierarchical Structure on OCR "Guldori" (OCR "글돌이"의 계층구조)

  • Lee, Kyoon-H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89.10a
    • /
    • pp.272-277
    • /
    • 1989
  • 한글을 포함하는 문서의 인식을 위한 시스템의 설계, 유지, 보수 및 확장을 체계적이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문서인식 시스템의 기능별 계층화 구조를 제안하고 실용화를 목표로 추진중인 OCR "글돌이"의 원형 시스템에의 적용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각 계층은 인접 계층과 인터페이스만으로 연결토록 하여 상호 독립적인 방식을 취하였으며 특히 문자인식등과 갈이 소프트웨어의 구조가 복잡한 계층은 하드웨어 및 firmware의 형태로 구성을 하여 임의의 워크 스테이션 또는 임의의 스캐너와 쉽게 접속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Object-based Image Segmentation (객체 기반 이미지 분할에 관한 연구)

  • 임희석;박기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210-21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이미지 분할을 위한 객체지향 모델링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분할 객체와 자료구조를 제시하며 각각의 객체들을 위한 클래스 계층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객체의 부분에 대한 계층구조는 물론 객체의 기하학적인 표현을 위한 표현 클래스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이미지 객체에 대한 시스템 독립적 이미지 분할을 위한 클래스 계층 구조를 객체지향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 PDF

Delayless MDCT for Scalable Speech Codec (계층구조 음성 부호화기를 위한 지연 없는 MDCT 구조)

  • Sung, Ho-Sang;Park, Ho-Cho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3
    • /
    • pp.102-108
    • /
    • 2007
  • A high-Performance scalable speech codec generally requires a very low-rate first layer and a fine granule second layer, and this codec can be implemented with the harmonic codec and the MDCT-based transform codec for each layer. In this structure, however. each codec requires independent frequency transform and the time delay of each codec is accumulated. resulting in long time delay for the overall codec. In this paper, new MDCT structure in the second layer is Proposed. where MDCT is forced to share the look-ahead region of the first layer in order to prevent the time delay accumulation and the resulting functional error of MDCT is analyzed and removed after IMDCT The Proposed delayless MDCT requires no additional bits and Provides the equivalent coding performance with the reduced time delay, yielding a meaningful enhancement of the overall codec.

A Study on the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C++ 원시코드에서 객체 모델로의 역공학 기술에 관한 연구 및 구현)

  • 유일준;홍찬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511-51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Object Modeling Technique를 기반으로 C++ 원시코드로부터 클래스 계층구조의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계층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클래스 계층구조를 디자인으로 도식화하여 이를 다시 디자인 상태에서 C++ 원시코드와 동적 연결이 가능한 역공학 도구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C++ 원시코드와 클래스 계층 구조를 표현하는 디자인과 상호 동적 연결이 가능하므로 C++원시코드의 이해와 관리가 효율적이다.

A Cognitive Study on the Usability of Cross-referencing link ad Multiple hierarchies (교차적 연결과 다계층구조의 유용성에 관한 인지적 연구 : 사이버쇼핑몰의 커스터머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 이정원;김진우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0 no.1
    • /
    • pp.25-43
    • /
    • 1999
  •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elements of structure design that facilitate u user interaction with applications within cyberspace Structure design entails decisions regarding the optimal classification and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information into s successively higher units. i.e .. the grouping of highly relat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nodes of a site and the subsequent connection of nodes that are inter-related. The decisions are based on the designer's subjective classification framework. which is not always compatible with that of the user. We propose that the ensuing cognitive dissonance can be reduced via the employment of multiple hierarchies and cross-referencing links. Multiple hierarchies represent a single information space in terms of a number of single hierarchies. each of which represent a different perspective Cross-referencing refers t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stituent hierarchies by providing a link to the alternate hierarchy for information that is most likely to be categorized in diverse manners by users with differing perspectiv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two empirical studies to gauge the effectiveness of multiple hierarchies and Cross-referencing links in the domain of cyber shopping malls. In the first pha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subjects classified given products with respect to two different perspectives for categorization. Experimental cyber mal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first phase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multiple hierarchies and cross-referencing links. Results show that the ease of navigation was higher for cyber malls that had implemented cross-referencing links are of greater value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single hierarchical designs rather than multiple hierarchies. Users satisfaction with and ease of navigation was higher for cyber malls that had not implemented multiple hierarchies. This paper concludes with discussion of thes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designers of cyber malls.

  • PDF

계층적 관리제어

  • 박성진;조광현;임종태
    • ICROS
    • /
    • v.6 no.5
    • /
    • pp.46-5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 이산사건시스템의 관리 제어이론에 대해 알아본다. 특히 하위레벨(low level)과 상위레벨(high level) 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의 이산사건시스템에서 레벨들 사이의 정보 전달을 바탕으로 상위레벨에서 설정된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상위레벨 및 하위 레벨의 관리제어기 설계기법을 소개한다. 계층적 구조에서 관리 제어 목적은 계층적 일치성의 개념으로 정의되는데, 이것은 설계된 하위 레벨 관리제어기에 의해 제어된 하위 레벨 이산사건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상위 레벨로의 정보사상이 주어진 상위레벨의 사양과 일치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위레벨 상에서 임의의 사양이 주어질 때 계층적 일치성을 만족하게 하는 관리 제어기가 존재하기 위한 계층적 이산사건시스템의 동작특성과 레벨들 사이에서의 정보전달의 특성을 소개한다. 또한 설계된 관리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체 관리제어 시스템에서 계층적 일치성 및 비막힘성의 동시 만족에 대한 관리 제어 문제를 소개한다.

  • PDF

Automated Development of Rank-Based Concept Hierarchical Structures using Wikipedia Links (위키피디아 링크를 이용한 랭크 기반 개념 계층구조의 자동 구축)

  • Lee, Ga-hee;Kim, Han-jo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4
    • /
    • pp.61-76
    • /
    • 2015
  • In general, we have utilized the hierarchical concept tree as a crucial data structure for indexing huge amount of textual data. This paper proposes a generality rank-based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develop hierarchical concept structures with the Wikipedia data. The goal of the method is to regard each of Wikipedia articles as a concept and to generate hierarchical relationships among concepts. In order to estimate the generality of concepts, we have devised a special ranking function that mainly uses the number of hyperlinks among Wikipedia articles. The ranking function is effectively used for computing the probabilistic subsumption among concepts, which allows to generate relatively more stable hierarchical structures. Eventually, a set of concept pairs with hierarchical relationship is visualized as a DAG (directed acyclic graph).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concept hierarchy of Open Directory Project, we proved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a representative baseline method and it can automatically extract concept hierarchies with high accuracy.

Fabrication of a biomimetic hierarchical surface structure replicated from a lotus leaf (연꽃잎 모사를 통한 생체모방 계층적 표면 구조 제작)

  • Lee, Hyeong-Jin;Kim, Min-Seong;Kim, Geu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8-108
    • /
    • 2017
  • 다양한 생체 재료들을 이용한 마이크로 및 나노 크기의 표면 구조 모사는 조직공학에서 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마이크로-나노 구조가 공존하는 계층적 표면 구조는 골 아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탁월하여 뼈 조직 재생에 응용되어 왔다. 기존에는 화학적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표면 구조가 제작 되었으나 미세 거칠기 및 계층적 표면 구조의 제어가 어려웠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플라즈마를 이용한 애칭 기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높은 온도 공정 환경에 의한 재료 선택의 한계점 및 오랜 공정 시간에 의한 플라즈마 처리 효율이 감소되어 원하는 표면구조 및 거칠기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나노 주조 기법 이용하여 생체적합성 합성고분자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위에 연꽃잎 구조를 모사한 후 플라즈마 애칭 기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3.01-3.07{\mu}m$)와 나노크기 ($97{\pm}16nm$)를 동시에 갖는 계층적 구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구조의 효능을 관찰하기 위해 조골세포를 배양한 결과 평평한 PCL 구조보다 제작된 계층적 구조가 높은 세포성장률 (>2.9배)및 세포 분화도(>2.1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표면 공학적 모델로서 손상된 뼈 및 치아조직 재생을 위한 적합한 거칠기 및 표면적인 환경을 제공해 빠른 재생 능력과 더불어 치료기간의 단축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nstruction of A Semantic Hierarchy of Korean Nouns (한국어 명사 의미 계층 구조 구축)

  • Cho, Pyeong-Ok;Ok, Cheol-Y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129-135
    • /
    • 1997
  • 한국어 명사들을 의미별로 분류하여 계층화시킨 '한국어 명사 의미 계층 구조'는, 한국어 문장을 처리할 때 한국어의 의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정보들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어 사전의 명사에 대한 뜻풀이말을 이용하여 bottom-up 방식으로 '한국어 명사 의미 계층 구조'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축한 '한국어 명사 의미 계층 구조'는, tree가 43개, node가 12,833개, terminal node가 10,347 개이며, 깊이가 17인 하나의 forest이다. 이것의 제 1, 2 계층(level 1,2)에서의 분류 형태는 top-down 방식에 의한 기존의 분류들과 매우 다른 모습인 반면에, 제 3 계층 이하에서의 분류 형태는 의미소성(意味素性)에 의한 기존의 분류와 거의 일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 PDF

Video Data Modeling for Supporting Structural and Semantic Retrieval (구조 및 의미 검색을 지원하는 비디오 데이타의 모델링)

  • 복경수;유재수;조기형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0 no.3
    • /
    • pp.237-251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deo retrieval system to search logical structure and semantic contents of video data efficiently. The proposed system employs a layered modelling method that orBanifes video data in raw data layer, content layer and key frame layer. The layered modelling of the proposed system represents logical structures and semantic contents of video data in content layer. Also, the proposed system supports various types of searches such as text search, visual feature based similarity search, spatio-temporal relationship based similarity search and semantic contents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