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측점 위치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Groundwater Flow Analysis in an Urban Area (도시지역의 지하수 유동 분석)

  • Bae, Sang-Keun;Lee,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5-239
    • /
    • 2011
  • 도시지역은 수자원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기상 이변과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용수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기후적 영향을 적게 받는 지하수의 경우는 비교적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자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관리적인 측면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지하수이용량이 많아 지하수개발에 대한 명확한 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잉양수로 인한 지하수위 저하로 용수부족, 지하수질 악화 등과 같은 지하수 재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해안지역일 경우 해수침투로 인하여 그 피해가 광범위하고 장기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수 유동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효율적인 지하수 이용이 가능하다. 도시지역 지하수 유동의 경우 지하수함양과 지하수유출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요소들인 지하수이용량, 상하수도 누수량, 지하철로 인한 유출량 등과 같은 도시화 요소들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지하수자원의 개발 이용 및 관리가 가장 절실히 필요한 곳이 도시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지하수 유동 분석에 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수문계측 기술의 향상과 관련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도 함께 이루어져서 해석의 정확도가 높아져야만 원활한 수자원 공급과 효율적인 체계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지하수유동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수영구를 대상으로 도시화 요소를 고려한 지하수 모델링을 통하여 지하수 유동을 분석하였다. 정상상태 지하수 유동 모의를 실시한 결과 지하수위는 산지가 분포하고 있는 북서쪽으로 갈수 록 높아지고 수영강과 남해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지하수 유동도 내륙에서 수영강 및 남해로 유출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도시화 요소를 고려한 비정상상태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 수영강 및 남해에서 내륙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하수위 또한 내륙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대량의 양수량의 관정이 위치하는 수영로타리 일대와 광안동 지역, 지하철유출량이 많은 망미역 부근, 전력구 터널 공사로 인한 지하수 유출량이 있는 일부지역에서는 급격하게 지하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Mean Flows and Turbulent Structures of Partly-Vegetated Open-Channel Flows using the Nonlinear k-ε Model (비선형 k-ε 모형을 이용한 부분 식생 개수로 흐름의 평균흐름 및 난류구조 수치모의)

  • Choi, Seongwook;Choi, Sung-Uk;Kim, Tae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3
    • /
    • pp.813-820
    • /
    • 2014
  • This study presents a numerical modeling of mean flow and turbulence structures of partly-vegetated open-channel flows. For this,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with vegetation drag terms are solved numerically using the non-linear k-${\varepsilon}$ model. The numerical model is applied to laboratory experiments of Nezu and Onitsuka (2001), and simulated results are compared with data from measurement and computations by Kang and Choi's (2006) Reynolds stress model.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numerical model simulates the mean flow well. Twin vortices are found to be gener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vegetated and non-vegetated zones, where turbulence intensity and Reynolds stress show their maximums. The model simulates the pattern of the Reynolds stress well but under-predicts the intensity of Reynolds stress slightly.

Realization of a High Precision Inspection System for the SOP Types of ICs (SOP형 IC의 고 정밀 외관검사 시스템 구현)

  • Tae Hyo Kim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5 no.2
    • /
    • pp.165-171
    • /
    • 2004
  • Owing to small sizes and high density to the semiconductor It,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the defects of ICs by human eyes. High precision inspection system with computer vision is essentially established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variety of defective parts. Especially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algorithm for the coplanarity of IC lead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inspection system which can detect the defects of the SOP types of ICs having 1cm${\times}$0.5cm of the chip size is implemented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In order to optimally detect various items, some principles of geometry are theoretically presented , length measurement, pitch measurement, angle measurement, brightness of image and correcton of position. The interface circuit is designed for implementation of inspection system and connected the HANDLER. In the result, the system could detect two ICs' defects per second and confirmed the resolution of 20$\mu$m per pixel.

  • PDF

A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al-Time Facility Safety Management Using Sensor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시설물 안전관리 개선에 대한 사례연구)

  • Choi, Suwon;Yoon, Yousang;Lim, Susang;Park, Yongbok;Suh, Sangwo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1 no.5
    • /
    • pp.38-45
    • /
    • 2020
  • Presently, safety management of facilities is conducted as a site-oriented safety inspection, but depending on the facilities, there are difficulties in access to the site, and the cost and time of inspection are inefficient due to excessive reliance on human resources. Therefore, the necessity of sensor-based safety management is being rais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facility at all times, and various studies on sensor safety management are being conducted, but the research on verification of practicality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e improvement points were presented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nd additional processes for setting sensor attachment location and threshold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H city sensor safety management process, and practicality of sensor safety management was verified through sensor data measurement values.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sensor-based facility safety management will be possible if clear criteria and ongoing practicality verification for the additional processes presented in this study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Accurate Boundary detection Algorithm for The Faulty Inspection of Bump On Chip (반도체 칩의 범프 불량 검사를 위한 정확한 경계 검출 알고리즘)

  • Kim, Eu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4
    • /
    • pp.793-799
    • /
    • 2007
  • Generally, a semiconductor chip measured with a few micro units is captured by line scan camera for higher inspection accuracy. However, the faulty inspection requires an exact boundary detection algorithm, because it is very sensitive to scan speed and lighting condi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boundary detection with subpixel edge dete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bump faulty detection on chips. The bump edge is detected by first derivative to four directions from bump center point and the exact edge positions are searched by the subpixel method. Also, the exact bump boundary to calculate the actual bump size is computed by LSM(Least Squares Method) to minimize errors since the bump size is varied such as bump protrusion, bump bridge, and bump discoloration. Experimental results exhibit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large improvement comparable to the other conventional boundary detection algorithms.

Tracking the History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from the Goseonsa Temple Site in Gyeongju throughan Analysis of Component (부재 해석을 통한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연혁 추적)

  • Jeon, Hyo Soo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21
    • /
    • pp.41-52
    • /
    • 2019
  • The findings of a 2017 safety inspection of the Three-story Pagoda from the Goseonsa Temple site in Gyeongju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stone for the second story of the pagoda may have been rotated after the pagoda was disassembled for removal from its original site in 1975. The materials from the pagoda were investigated using photographs and other relevant data from bot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from around 1975. The analysis found that the materials of the pagoda were not changed after analleged reconstruction in 1943, but that during the process of relocating the pagoda in 1975 the body of the second story was indeed rotated counter clockwise by 90 degrees and one of the four stone elements making up the first-story roof was exchanged with a part from the second-story roof. In order to discover whether the materials had been incorrectly placed, each part of the pagoda was precisely measured and the elements of the roofs were virtually reconstructed using 3D scanning data. The investigation did not find any singularities with in the components of each roof; the four part sof the first-story roof were 75 to 76 centimeters thick and those for the second-story roof were 78 to 79 centimeters thick. The connections between each part of the roofs also appeared natural. This seems to indicate that there was indeed an undocumented repair of the pagoda at some point between its creation and 1943 and an error that took place during this repair was corrected in 1975.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ed a possibility that the body of the second story was rotated counter clockwised to a change in the locations of parts of the two roofs.

Application of Tuned Mass Damper to Suppress Man-Induced Vibrations of Cable Stayed Foot-bridge (사장교형식 보도교의 보행진동제어를 위한 TMD 적용)

  • Kim, Yun-Seok;Lee, Seung-Woo;Kim, Jae-Min;Chang, Seong-Kyu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74-7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앙경간 54m, 교폭 4m의 사장교형식의 보도교로 측경간은 계단으로 이루어진 1경간 케이블교량을 대상으로 보행하중에 의한 수직진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진장치(TMD)를 적용하기로 하고 실물 TMD의 설계 및 제작 그리고 설치 및 제어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사장교형식의 교량. 그리고 1경간 교량이라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감쇠율이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고 또한 54m의 경간장이 보행자가 가진 주파수에 근접한 고유진동수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어 Eurocode 2 part 2(EC5-2)의 규준에 따라 1인 및 다수 보행하중에 의한 보도교의 발생가속도를 산출하였다. 이 경우 최대가속도는 다수의 보행자가 연속적으로 진행할 때 발생하였으며, 수직방향의 가속도가 사용성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해석프로그램에 의한 고유치 해석결과, 보행하중의 주파수대역내에 진동모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교량의 설계단계에 있어서 보행진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수동형의 동조질량감쇠장치(Tuned Mass Damper)를 적용하기로 하였으며 TMD의 설계에서는 TMD의 제어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는 TMD의 가동질량(moving mass)을 우선적으로 결정하였고, 이로부터 Den Hartog의 제안식에 따라 TMD의 고유진동수비, 유효감쇠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변수들을 이용하여 설계된 TMD는 현장설치 및 튜닝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평 외팔보형식으로 설계, 제작되었으며 제작된 TMD의 경우 회전축에 대해 질량, 스프링, 댐퍼의 중심거리를 조정함으로써 TMD의 진동수, 강성, 감쇠력을 상대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정범위 또한 광범위하여 일반 TMD에 비해 현장설치시 대상구조물에 동조시키기가 용이하며, 작동시 마찰감쇠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현장설치전에 제작된 TMD를 대상으로 자유진동 시험을 통하여 질량의 중심거리, 스프링 크기 그리고 댐퍼의 설치유무를 각각 변화시키며 TMD의 자유진동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각각의 시험에서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스펙트럼해석을 통하여 고유진동수를 구하였고, 자유진동 파형으로 부터 감쇠비를 구하였다. TMD는 일반적으로 제어모드의 변형형상이 가장 큰 곳에 설치되었을 때 최대의 제진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여건상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미관을 해치는 경우에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TMD 제어효율이 가장 크게 발휘할 수 있는 곳을 선택하여야 한다. 본 보도교의 경우, 중앙경간 중심부에서 가장 큰 모드변형형상을 나타내지만, 보도교의 상판 연결부 등에 따른 TMD 시공문제로 인하여 TMD 설치위치는 교량 중앙에서 양 방향으로 1.25m 떨어진 곳에 대칭으로 총 2기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TMD의 모든 설계변수는 구조물의 설계단계에서 수행된 구조해석결과에 근거하여 설정하므로 완공된 구조물, 즉 실제보도교의 동적특성을 계측하여 정확하게 진동수를 튜닝하여야 한다. 구조해석에 의한 보도교의 수직방향(TMD 작동방향) 고유진동수는 1.5225 Hz이며, 감쇠비는 규준에 의하여 0.6 %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이 값들은 구조해석모델 및 재료적 특성과 시공상의 오차에 의하여 실제와 다를 수 있으므로 현장계측에 의한 확인이 요구된다. 또한 TMD의 제진효율이 설계시의 목표대로 확보되었는지도 확인해야 하므로 현장튜닝 및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보도교의 가진은 사전에 실시한 상시 미진동계측결과를 토대로 2Hz를 목표로 하여 인력가진실험을 수행하였고, 탁월진동 주파수는 1.9896Hz로 나타나 구조해석결과와 오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진실험결과를 토대로 TMD의 진동수를 최적진동수비로 튜닝하고 인력가진 실험을 다시 실시하여 TMD의 진동제어성능을 검토하였다. TMD 튜닝 전, 후의 보도교 감쇠비를 비교한 결과, TMD를 설치함으로써 약 4.218%의 감쇠비 증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pplication of Drone for Analysis of 2D Pollutant Mixing in River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2차원 혼합 분석을 위한 드론의 활용)

  • Seo, Il Won;Baek, Dongh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0-100
    • /
    • 2017
  •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2차원 혼합거동은 하천 주흐름에 의한 이송현상과 유속 성분의 수심평균 값에 대한 공간적 편차로부터 야기되는 분산현상으로 설명 할 수 있다. 이는 3차원 이송확산 방정식으로부터 수심 적분된 2차원 이송-분산 방정식으로 수학적 유도가 가능하며, 수심방향으로 적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농도의 분산항은 Taylor Dispersion 개념에 기초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의 2차원 분산계수로 표현된다. Fischer(1978)는 연직방향 유속분포로부터 2차원 분산계수를 추정하는 해석해를 수학적으로 유도하였으나, 실제 하천에서 정밀한 연직방향 유속분포를 계측하는 것은 많은 비용 및 노동력을 초래한다. 따라서 선행 연구자들은 2차원 혼합모형의 분산계수를 산정하고자 실험적 방법으로써 추적자실험을 수행하였다. 추적자실험은 추적자 물질을 수체에 주입한 후 농도의 변화를 관측함으로써 추적자물질이 하천에서 이송 및 분산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기존의 추적자실험은 고정된 위치에서 농도를 계측하여 시계열적인 농도의 변화를 관측한 후, 오염운 동결가정을 통해 종,횡방향 분산계수의 산정이 가능하지만, 오염물질 농도의 공간적 분포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추적자실험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형광물질을 이용한 추적자실험을 수행함과 동시에 드론에 장착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항공영상을 취득 및 분석하여, 하천에 주입된 형광물질의 농도분포를 시공간적으로 추출하는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오염물질의 2차원 혼합거동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안동하천실험센터의 A3실험수로에서 수행되었으며, 실험수로는 평균 하폭 5 m, 평균 수심 0.44 m, 유량 $0.96m^3/s$의 실제 소규모 하천과 유사한 축척을 가지고 있다. 추적자물질은 Rhodamine WT 용액이 사용되었으며, 실험수로 내 설치된 15개의 형광광도계(YSI-600OMS)를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항공영상의 취득을 위해 이용된 드론은 DJI-Phantom 3 Professional 이며, 3840x2160의 해상도로 초당 30 frame의 동영상으로 취득되었다. 영상의 정합 및 좌표화를 위해 RTK-GPS를 이용하여 12개의 지상 기준점의 좌표를 취득한 후, 사영변환을 통해 영상좌표를 지상좌표로 변환하였다. 영상의 픽셀값을 농도장으로 변환하기 위해 각 RGB 밴드의 픽셀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농도장으로 변환하였으며, 영상으로부터 얻은 농도장은 형광광도계에 의해 실측된 농도와 결정계수 0.9이상의 수준으로 정확도를 나타냈다.

  • PDF

A STUDY OF THE SECOND MOLAR WHICH WAS MALPOSITIONE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교정치료후 부정위치된 제2대구치의 양상에 관한 연구)

  • Yun, Young-Sun;Lee, Dong-Joo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5 no.3 s.50
    • /
    • pp.299-310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about the positional change of second molar when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To know about it, we andlysed cephalogram pre. and post treatment for 54 adult patients who werefinished orthodontic treatment by banding to the first molar and classify them into 4 groups Class I extraction group 15, Class I nonextraction group 12, Class II group 13, class Class III group 14.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 1. In the extraction group of Class I , mandibular second molar showed less extrusion and mon distal inclination than first moarl. But maxillary second molar showed more or less extrusive and mesial inclination to much the same degree of first molar. 2. Inthe non-extractio group of Class I, mandibular second molar in intrusive to first molar, it showed smilar distal inclination to first molar. But maxillary second molar is extrusive similarly to first molar. 3. In the group of Class II , mandibular second molar is less extrusive than first molar and maxillary second molar is more extrusive than first molar. 4. In the group of Class III, mandibular second molar showed similar extrusion to first molar and more distal inclination than first molar. But maxillary second molar showed less extrusion than first molar. 5. A comparision of the positional change of second molar among groups : The change of distance from FH plane to funcation point of maxillary second molar is the difference between Class I extraction group and Class II group, Class I extraction group and Class III group. The change of maxillary second molar to palatal plane and occlusal plane is the difference between Class I extraction group and Class III group. And the change of distance from mandibular plan to furcation point of mandibular second molar is difference between Class I extraction group and non-extraction group, Class I non-extraction group and Class II group, Class I non-extraction group and Class III group. But the change of angle of mandibular second molar to mandibular plane and occlusal plane is make no difference in among groups.

  • PDF

Improvement of GPS positioning accuracy by static post-processing method (정적 후처리방식에 의한 GPS의 측위정도 개선)

  • 김민선;신현옥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9 no.4
    • /
    • pp.251-261
    • /
    • 2003
  • To measure the GPS position accuracy and it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aseline, 30 minutes to 24 hours observations at the fixed location were conducted with two GPS receivers (Ll, 12 channels) on May 29 to June 2, 2002. The GPS data received at the reference station, the rover station and the ordinary times GPS observation station operated by the National Geography Institute in Korea were processed in kinematic and static post-processing methods with a post -processing softwar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the satellite that could be observed continuously more than six hours was 16 and most of these satellites were positioned at east-west direction on May 31, 2002. The number of the satellite observed and the geometric dilution of precision (GDOP) determined by the average of every 10 minute for the day were 8 and 3.89, respectively. 2. Both the average GPS positions before and after post-processing were shifted (standalone: 1.17 m, post -processing: 0.43m) to the south and west. The twice distance root mean square (2drms) measured with standalone was 6.65m. The 2drms could be reduced to 33.8% (standard deviation 0=17.2) and 5.3% (0=2.2) of standalone by the kinematic and the static post-processing methods, respectively.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the baseline x (km) and the 2drms y (m) obtained by the static post-processing method was y=0.00l6x+0.006 $(R^2=0.87)$. In the case of the positioning with the static post-processing method using the GPS receiver, it was found that a positioning within 20cm 2drms was possible when the length of the baseline was less than 100km and the receiving time of the GPS is more than 30 minu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