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절지수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valuation of Dam Inflow Predictability Using Hybrid Seasonal Forecasting System (하이브리드 계절예측 시스템을 이용한 댐 유입량 예측성 평가)

  • Cho, Jaepil;Kim, Chul-G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27
    • /
    • 2017
  • 신뢰성 있는 수개월 선행시간의 댐 유입량 예측은 가뭄 상황으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효율적인 댐 운영을 위해 필수적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의 경년 및 계절 내 변동성이 증가됨에 따라서 기존의 과거 통계치를 이용한 댐 운영 의사결정은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최근 엘리뇨-남방진동(ENSO) 등의 전구기후지수와 지역수문기후와의 원격상관성을 활용하여 수개월 이후에 대한 수문조건을 통계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매월 제공되는 역학적 예측모형으로부터 생산된 월단위 예측정보를 유량예측을 위한 유역모형에 활용하기 위하여 편이보정 및 상세화 기법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유입량 예측을 위해 SWAT 모형을 선정하였고 최장 6개월 선행 강수량 및 기온의 예측을 위해서 하이브리드 계절예측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이 시스템은 전지구역학적 예측모형의 자료를 편이보정을 거쳐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단순 편이보정(Simple Bias Correction, SBC) 방법에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예측자료를 생산하는 전구기후지수 기반의 Climate Index Regression (CIR), 실시간 재분석자료 기반의 Observation-based Moving Window Regression (MWR-Obs), 역학적 예측모형의 예측자료 기반의 Moving Window Regression (MWR) 방법을 통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충주댐을 대상으로 우선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SWAT 모형을 검 보정한 후, 관측기간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의한 예측 기상자료를 적용하여 모의된 댐 유입량과 관측 유입량과의 비교를 통해 예측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후정보를 활용하여 댐 유입량 예측에 있어서 예측성을 높이고자 시도되었으며, 도출된 결과는 향후 충주댐 운영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rought Index Sensibility Analysis using Normal Precipitation (정상강우를 이용한 가뭄지수의 민감도 분석)

  • Kim, Min-Seok;Oh, Tae-Suk;Kwon, Hyun-Han;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55-1559
    • /
    • 2009
  • 우리나라의 연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1280mm 정도로 연강수량의 60%$\sim$80%가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는 특성 때문에 비가 많이 오는 여름에는 홍수대책을, 남은 계절은 용수 확보를 위하여 늘 고심하게 된다. 특히 2008년도 여름철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친 태풍은 단 하나로, 여름철에 많은 강우가 발생하지 않아 연 강수량은 정상대비 강수량에 70%$\sim$80% 수준에 불과하다. 그로 인해 용수확보에 고심하고 있으며 현재 일부지역에서 극심한 물 부족현상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주요지점을 인천, 서울, 대구, 전주, 부산, 목포지점으로 총 6지점을 선정하여, 대표적인 가뭄지수라 할 수 있는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 팔머가뭄심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를 이용하여 가뭄지수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강우자료 및 온도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30년간의 정상(71$\sim$00년)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지수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강우량자료가 정상 강우대비 0%, $\pm10%$, $\pm20%$, $\pm30%$, $\pm40%$, $\pm50%$로 변동 한다 보고 각각의 가뭄지수를 산정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Phenophase Extraction from Repeat Digital Photography in the Northern Temperate Type Deciduous Broadleaf Forest (온대북부형 낙엽활엽수림의 디지털 카메라 반복 이미지를 활용한 식물계절 분석)

  • Han, Sang Hak;Yun, Chung Weon;Lee, Sangh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9 no.4
    • /
    • pp.361-370
    • /
    • 2020
  • Long-term observation of the life cycle of plants allows the identification of critical signals of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plants. Indeed, plant phenology is the simplest approach to detect climate change. Observation of seasonal changes in plants using digital repeat imaging helps in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both traditional methods and satellite remote sensing.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e utility of camera-based repeat digital imaging in this context. We observed the biological events of plants and quantified their phenophases in the northern temperate type deciduous broadleaf forest of Jeombong Mountai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rends in seasonal characteristics of Quercus mongolica (deciduous broadleaf forest) and Pinus densiflora (evergreen coniferous forest). The vegetation index, green chromatic coordinate (GCC), was calculated from the RGB channel image data. The magnitude of the GCC amplitude was smaller in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than in the deciduous forest. The slope of the GCC (increased in spring and decreased in autumn) was moderate in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compared with that in the deciduous forest. In the pine forest, the beginning of growth occurred earlier than that in the red oak forest, whereas the end of growth was later. Verification of the accuracy of the phenophases showed high accuracy with root-mean-square error (RMSE) values of 0.008 (region of interest [ROI]1) and 0.006 (ROI3). These results reflect the tendency of the GCC trajectory in a northern temperate type deciduous broadleaf forest.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that repeat imaging using digital cameras will be useful for the observation of phenophases.

Characteristics of the Lidar Ratio Determined from Lidar and Sky Radiometer Measurements in Seoul (라이다와 스카이 라디오미터 관측 자료를 이용한 서울지역 라이다 비의 특성 분석)

  • Kim, M.H.;Kim, S.W.;Yoon, S.C.;Sugimoto, Nobuo;Sohn, B.J.
    • Atmosphere
    • /
    • v.21 no.1
    • /
    • pp.57-67
    • /
    • 2011
  • Aerosol lidar ratio (extinction-to-backscatter ratio) at 532 nm was determined using 4-year measurements of elastic-backscatter lidar and sky radiomet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eoul, Korea. The mean lidar ratio (with standard deviation) based on 4 years of measurements is found to be $61.7{\pm}16.5$ sr, and weak seasonal variations are noted with a maximum in JJA ($68.1{\pm}16.8$ sr) and a minimum in DJF ($57.2{\pm}17.9$ sr). The lidar ratios for clean, dust, and polluted conditions are estimated to be $45.0{\pm}9.5$ sr, $51.7{\pm}13.7$ sr, and $62.2{\pm}13.2$ sr, respectively. While the lidar ratio for the polluted condition is appears to b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clean and dust conditions tend to have larger ratios, compared to previous estimates. This discrepancy is thought to be mainly due to the anthropogenic aerosols existing throughout the year around Seoul, which may cause increased lidar ratios even for clean and dust conditions.

Detecting Phenology Using MODIS Vegetation Indices and Forest Type Map in South Korea (MODIS 식생지수와 임상도를 활용한 산림 식물계절 분석)

  • Lee, Bora;Kim, Eunsook;Lee, Jisun;Chung, Jae-Min;Lim, Jong-Hwa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4 no.2_1
    • /
    • pp.267-282
    • /
    • 2018
  • Despit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phenology detection studies using satellite imagery, verific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the field observed data is insufficient. Especially, in the case of Korean forests patching in various form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start of season (SOS) by using only satellite images due to resolution difference. To improve the accuracy of vegetation phenology estimation,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large scaled forest type map (1:5,000) with MODIS pixel resolution and produced time series vegetation phenology curves from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Enhanced Vegetation Index (EVI) derived from MODIS images. Based on the field observed data, extraction methods for the vegetation indices and SOS for Korean forest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We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sition ratio of forest types in each pixel and phenology extraction from the vegetation indices. When we compared NDVI and EVI with the field observed SO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EVI was more accurate for Korean forests, and the first derivative was most suitable for extracting SOS in the phenology curve from the vegetation index. When the eight pixels neighboring the pixels of 7 broadleaved trees with field SOS data (center pixel) were compared to field SOS, the forest types of the best pixels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field data were deciduous forest by 67.9%, coniferous forest by 14.3%, and mixed forest by 7.7%, and the mea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0.64. The average national SOS extracted from MODIS EVI were DOY 112.9 in 2014 at the earliest and DOY 129.1 in 2010 at the latest, which is about 0.16 days faster since 2003.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nalysis of deciduous and mixed forests' SOS into the extraction of coniferous forest's SO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climate and geomorphic factors. As such, comprehensive study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forest ecosystems in Korea.

Generation of Fine Resolution Drought Index using Satellite Data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고해상도 가뭄지수 산정모형 개발)

  • Kim, Gwang-Seob;Park, Ha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07-161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뭄을 관측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가뭄지수의 단점 등을 보완하고자 가뭄에 관련되는 식생지수를 연계한 공간해상도 높은 가뭄지수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지상관측을 통해 산출할 수 있는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와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같은 가뭄지수는 기온과 강수량 등의 기후자료만을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두 가뭄지수는 관측하기 어려운 가뭄의 시기와 심도를 설명하고자 여러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지수이지만, 두 가뭄지수만을 가지고 우리나라 전역의 가뭄의 공간적인 분포를 설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PDSI의 경우 강수량과 기온과 토양의 수분함유량을 가지고 산출하는데, 전 관측지점을 똑같은 토양수분함유량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 하에 계산되고, SPI의 경우 강수량만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PDSI의 경우 과거의 가뭄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매우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의 가뭄정도를 나타내는 데는 문제를 가지고 있고, SPI의 경우는 누적강수량을 가지고 시간단위로 계산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가뭄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지만, 입력 자료로 강수량만 들어간다는 점에서 약점을 가진다. 이런 기후지수만을 이용한 가뭄정보 생산이 공간정보를 구현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가뭄에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보다 세밀한 공간정보를 가진 식생, 토지이용, 고도 등의 자료와 기후정보로부터 산정된 가뭄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기후지수보다 고해상도를 가진 위성의 정규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같은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기존보다 더 향상된 해상도의 가뭄지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지상관측소 76개 지점 중에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정규식생지수 자료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자료의 보유기간이 짧은 지점과 섬지점 등을 제외한 57개 지점을 선정하고, 연구기간동안의 강수량과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PDSI와 SPI를 산출하였다. PDSI와 SPI자료를 고해상도 가뭄지수 산정의 기본 변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역거리가중평균법을 이용한 연구기간동안의 한반도 지역 PDSI와 SPI 가뭄지수 지도를 생산하였다. 각각의 가뭄지수와 식생 상태를 나타내는 NDVI와의 상관특성과 계절 변화에 따른 변화특성을 분석하고,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상 자료만을 사용한 가뭄지수가 가지는 시공간적 변화 특성 제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한 보다 해상도가 높은 조합가뭄지수를 제시하였다.

  • PDF

Diversity and Abundance of Ground-beetles (Coleoptera) in Mt. Gabjangsan, Korea (보행성 딱정벌레류의 다양성 및 풍부도에 관한 연구 -경북 상주시 갑장산-)

  • Park Jong Kyun;Yeon Hwa Soon;Trac Dam Huu
    • The Korean Journal of Soil Zoology
    • /
    • v.8 no.1_2
    • /
    • pp.32-36
    • /
    • 2003
  • Diversity and altitudinal distribution of the ground-beetles including Silphidae were investigated on Mt. Gabjangsan, Sangju city, Korea. Of the collected 10 species belonging to 3 families, Synuchus cycloderus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and S. nitidus was the relatively more abundant than the other species. The highest number collected was at alto 700 m. Simpson dominance index was 0.66 the highest at 700 malt., whereas, 0.47 at alto 800 m, was the lowest. The highest Simpson diversity index was noticed at alto 800 m (0.53). Also, seasonal indices of diversity and dominance of Simpson and Menhinick index were provided.

  • PDF

Estimation of optimal dredging timing and period using environmental windows (환경창을 이용한 최적 준설시기 및 기간 산정)

  • Jeong, Anchul;Kim, Seongwon;Moon, Heyjin;Kim, Minseok;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0-30
    • /
    • 2016
  • 환경창(EWs; Environmental Windows)이란, 준설 및 준설토 처리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최소가 되는 기간을 정하고, 그 기간에 준설 및 준설토 처리를 수행하게끔 지정된 기간을 의미한다. 1970년대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2001년을 기준으로 미국의 모든 준설사업의 약 80% 이상을 관리하고 있다. 준설이 가능하도록 규정된 환경창과 준설이 가능하지 않은 계절적 제한(seasonal restric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절적 제한 기간에 준설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준설과 관련된 의사결정권자,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들의 협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환경창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는 준설 수행의 가능/불가능의 양자택일에 대한 정보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의사결정권자 및 이해관계자에게는 정량적인 정보를 주지 못해 의사결정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통계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사회 환경적인 측면에서 준설의 부정적인 영향을 수치화하여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환경창 지수를 개발하였다. 환경창 지수를 적용한 환경창의 검증을 위해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만에 적용하였으며, 적용결과와 현재 샌프란시스코 만에서 운영 중인 환경창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환경창은 샌프란시스코 만에서 운영하고 있는 환경창과 동일한 환경창 기간을 제공함은 물론, 정량적인 환경창 지수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간편한 의사결정이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낙동강에 위치한 다기능보 중, 강정고령보에 적용하여 환경창을 개발하고 최적 준설시기 및 기간을 산정하였다. 개발된 환경창에 의하면 3월에 환경창 지수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임에 따라 가장 준설의 부정적인 영향이 작은 환경창 기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가장 부적절한 환경창 기간은 5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Italian Ryegrass Vegetation Indices across Different Sowing Season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무인기를 이용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계절별 식생지수 비교)

  • Yang Seung Hak;Jung Jeong Sung;Choi Ki C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43 no.2
    • /
    • pp.103-108
    • /
    • 2023
  • Due to the recent impact of global warming, heavy rainfall and droughts have been occurring regardless of the season, affecting the growth of Italian ryegrass (IRG), a winter forage crop. Particularly, delayed sowing due to frequent heavy rainfall or autumn droughts leads to poor growth and reduced winter survival rates. Therefore, techniques to improve yield through additional sowing in spring have been implemented. In this study, the growth of IRG sown in Spring and Autumn was compared and analyzed using vegetation indices during the months of April and May. Spectral data was collected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equipped with a hyperspectral sensor, and the following vegetation indices were utilize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Normalized Difference Red Edge Index; NDRE (I), Chlorophyll Index, Red Green Ratio Index; RGRI, Enhanced Vegetation Index; EVI and Carotenoid Reflectance Index 1; CRI1. Indices related to chlorophyll concentration exhibited similar trends. RGRI of IRG sown in autumn increas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hile IRG sown in spring showed a decreasing trend. The results of RGRI in IRG indicated differences in optical characteristics by sowing seasons compared to the other vegetation indices.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timing of sowing influences the optical growth characteristics of crops by the results of various vegetation indices presented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optimal vegetation indices related to IRG growth, is necessary in the future.

Interrelation Analysis between ENSO Index and Hydrologic Variables (자료의 표준화를 통한 ENSO 지수와 수문변량의 상관관계분석)

  • Chu, Hyun-Jae;Kim, Tae-Woong;Lee, Jong-Kyu;Wi, S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20-1524
    • /
    • 2006
  • ENSO(El $Ni\check{n}o$ Southern Oscillation)은 태평양상의 해양과 대기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일부이며, ENSO 순환(ENSO cycle)의 극한상태인 엘니뇨와 라니냐는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이 많은 연구를 통하여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ENSO와 수문변량들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수문자료의 변동계수가 크기 때문에 이를 단순 표준화하여 해석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표준정규분포화를 통하여 ENSO와 우리나라 수문변량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ENSO를 정량적으로 표준지수화하기 위하여 적도부근 남태평양 Tahiti섬과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Darwin 지역에서의 기압차를 월별로 표준화(standardization)한 SOI(Southern Oscillation Index)지수를 이용하였고, 수문자료를 정량적으로 표준지수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23개 기상관측소의 월강수량, 12개 기상관측소의 월평균기온, 월최저기온, 월최고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를 가지는 표준정규지수로 환산하였다. 환산된 자료의 계절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3개월 단위로 구분하여, 초과확률 등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정지역의 수문변동이 남방진동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수문기상학적 예측모형의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