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절적 변동

Search Result 788, Processing Time 0.152 seconds

Functional Forecasting of Seasonality (계절변동의 함수적 예측)

  • Lee, Geung-H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8 no.5
    • /
    • pp.885-893
    • /
    • 2015
  •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forecasting accuracy of one-year-ahead seasonal factors in order to produce seasonally adjusted series of the following year. In this paper, seasonal factors of 8 monthly Korean economic time series are examined and forecast based on the functional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One-year-ahead forecasts of seasonal factors from the functional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are compared with other forecasting methods based on mean absolute error (MAE) and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Forecasting seasonal factors via the functional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performs better than other comparable methods.

Seasonal Effects on Clonorchicidal substances from Epidermal Mucus of Cyprinus carpio, Ophicephalus argus and Parasilurus asoltus (잉어, 가물치 및 메기의 체표점액에 있는 간흡충 살충성물질의 계절적 변동)

  • 이재구;이상복백병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22 no.1
    • /
    • pp.135-137
    • /
    • 1984
  • 잉어, 가물치 및 메기의 체표면 점액내에 있는 기흡충에 데한 살충성물질의 계절적 변동에 대하여 in vitro에서 검토하였다. 이들 어류 체표점도의 에테르추출물량은 겨울철에는 그 밖에 계절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살충성물질과 에테르추출물을 박롱 크로마토그라휘하여 얻은 각반점물질의 Rf값은 계절적 변동을 가져오지 않았다.

  • PDF

웨이블렛(wavelet)을 이용한 경제시계열의 분해 및 예측

  • Lee, Ge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25-30
    • /
    • 2005
  • 경제정책과 관련하여 경제시계열을 작성하는 중요한 목적중 하나는 순환변동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런데 월별 또는 분기별로 작성되는 경제시계열은 계절변동 및 불규칙변동으로 인해 순환변동 등 기조적 변화를 잘못 파악하기 쉽다. 경제시계열의 기조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원래의 경제시계열에서 계절변동, 불규칙변동을 분해 후 제거해서 분석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웨이블렛(wavelet)을 이용하여 시계열을 분해하고 이를 통해 경제시계열의 순환변동 등을 구하고 분해 요소들을 따로 예측한 후 결합된 예측을 시도한다.

  • PDF

A Numerical Modeling Study on the Seasonal Variability in the Gulf of Alaska (알라스카 만의 계절변화에 대한 수치모형 실험)

  • Bang, In-Kweon;Zygmunt Kowl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6 no.3
    • /
    • pp.309-325
    • /
    • 1994
  • Ocean circulation in the Gulf of Alaska is remarkably constant throughout the year despite of being forced by one of the largest seasonal wind stresses in the world. To explain the small seasonal changes in the transport of Alaska Stream. a set of numerical models is employed. First a diagnostic approach is applied to reproduce circulation from the observed density structure. The results reveals the very small seasonal changes in the Alaska Stream transport. Next a series of the prognostic models is used: a barotropic model. a flat bottom baroclinic model, and baroclinic model with topography. These models reveal the influence of topography and baroclinicity on the ocean's response to the seasonal wind forcing. The intercomparisons of the various model results suggest that the seasonal response of the baroclinic ocean is primary barotropic and the resultant barotropic circulation is weakened by the scattering effect of the bottom topography.

  • PDF

Seasonal adjustment in Korean economic statistics and major issues (우리나라 경제통계의 계절조정 현황과 주요 쟁점)

  • Lee, Geung-H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1
    • /
    • pp.205-220
    • /
    • 2016
  • Seasonal adjustment is useful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underlying trends in Korean economic statistics. The seasonal component also includes calendar effects such as Seol and Chuseok. Most popular seasonal adjustment methods are X-12-ARIMA of the U.S. Bureau of the Census and TRAMO-SEATS of the Bank of Spain. Statistics Korea and the Bank of Korea compile seasonally adjusted series of several Korean economic statistics. This paper illustrates basic principles for seasonal adjustment and the current status of seasonal adjustment in Korea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several issues on seasonal adjustment are addressed.

Seasonal Unit Roots in Stock Prices (계절적 변동과 주가의 형성 : 계절적 단위근)

  • Rhee, Il-Ki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6 no.1
    • /
    • pp.171-191
    • /
    • 1999
  • 시간의 흐름에 걸친 주가시계열의 행동양식에 대한 연구에서는 선형성, 비선형성, 장기기억, 항상성분 등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내리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주가 시계열과정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여러 모형들에 대한 실증연구에는 설명력과 예측력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계절적 변동을 주가시계열에 적용하지 않는 관계로 이와 같은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분기별 종합주가지수의 수익률에 계절적 단위근이 존재하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이 시계열에서는 계절적 단위근을 제거하기 위하여서는 제4계 시차 작용소가 적절한 필터임이 인정되었다. 월별 종합주가지수의 수익률에서도 계절적 단위근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제12계 시차 작용소를 사용하여 계절적 단위근을 제거하여야 할 것이다. 분기별 수익률에는 제4차 시차 작용소를, 월별수익률에서는 제12차 시차 작용소를 필터로 사용하여 이 시계열들을 차분화하고 이 차분화를 통하여 계절적 단위근을 제거한 후에 이 시계열들의 시계열적 성질과 특성을 탐구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할 때 시계열 과정에 대한 계량경제학적 모형에 대한 정확한 추론이 가능하게 된다.

  • PDF

근로일수(勤勞日數)의 변동(變動)과 산업생산(産業生産)의 예측(豫測)

  • Lee, Hang-Yong;Sim, Sang-Da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4
    • /
    • pp.27-45
    • /
    • 1994
  • 경기변동(景氣變動)에 대한 중요한 판단자료인 산업생산지수(産業生産指數)는 음력에 따르는 구정, 추석 등의 기간 및 시점변동으로 계절적 요인이 불규칙하게 나타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지수(指數)의 분석에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산업생산지수(産業生産指數)의 계절변동(季節變動)은 일차적으로 근로일수(勤勞日數)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本稿)에서는 통상의 계절조정방법 대신에 근로일수를 고려하여 1일당 생산을 기준으로 산업생산을 분석하였다. 근로일수(勤勞日數)는 확정적(確定的)(deterministic)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계절성(季節性)의 변동에 대한 예측(豫測)이 가능할 뿐 아니라, 1일당 생산을 고려할 경우 각 관측치의 시간적 길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생산과 재고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생산(生産)과 재고변화(在庫變化)만을 이용한 간단한 오차수정모형(error correction model)을 설정하여 생산의 표본외구간(標本外區間) 예측(豫測)(out of sample forecasting)을 수행한 결과, 근로일수(勤勞日數)로 조정하였을 경우 예측력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mooth Tests for Seasonality (평활 계절성 검정)

  • Lee, Geung-H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4 no.1
    • /
    • pp.45-59
    • /
    • 2011
  • When using X-12-ARIMA for seasonal adjustment, we usually check whether the series has stable seasonality or not via D8 F-tests, Kruskal-Wallis test, and the spectral diagnostics. In this paper, we develop several smooth tests for seasonality based on a Fourier series to improve the spectral diagnostics of X-12-ARIMA. A simulation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five smooth tests for seasonality and X-12-ARIMA's D8 F-test an Kruskal-Wallis test. The simulation study shows that smooth tests for seasonality performed well compared with D8 F-tests and a Kruskal-Wallis test.

Long-Term Fluctuations of Water Temperatures in the Upper 200m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한국 동해안 외해 표층 200m 수온의 장기변동)

  • KANG Yong-Q;KANG Hye-Eu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4 no.6
    • /
    • pp.450-458
    • /
    • 1991
  • The thermal structures and their spatio-temporal fluctuations in the upper 200m layer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are studied using the bimonthly temperature data for 17years(1967-1983) at 37 stations. We analyzed the fluctuations of the temperatures in the surface(0-100m) and in the subsurface(100-200m) layers. The fluctuations of temperatures in the surface water are dominated by the annual variation, whereas the subsurface layer temperatures contain considerable non-seasonal fluctuations. The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anomalies in the subsurface layer are closely related with those in the surface layer. The predominant periods of temperature fluctuations in the subsurface layer, other than the annual variation, are 14 and 70 months. The period of 14 months coincides with that of the pole tide or Chandler wobble. The cluster analysis shows that our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cold, the frontal and the warm regions.

  • PDF

밀양지역 지하수의 계절별 수위변동 특성

  • 김태형;정상용;강동환;이민희;권해우;유인걸;이승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33-236
    • /
    • 2003
  • 밀양지역 지하수의 계절별 수위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500여개 공을 대상으로 총3회 측정하였다. 봄에서 늦가을까지의 시기별로 측정된 현장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밀양시 전역의 충적층 및 암반 대수층의 지하수위 등치선도를 작성하였다.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작성된 밀양지역의 지하수위 등치선도는 계절별로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충적대수층과 암반대수층에서의 지하수위 분포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계절적인 지하수위 변동이 약한 것은 밀양지역의 지하구는 대부분이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봄과 가을에는 용수 사용량이 비슷하며, 여름에는 강수량은 맑지만 농업용수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함양량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대수층유형에 따른 지하수위는 암반대수층의 피압 정도와 충적 및 암반 지하수공들의 공간적인 분포 양상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