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절적변동

Search Result 79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Seasonal Variation on Patients who Visit Health Subcenter in Rural Area (농촌지역 보건지소를 내원한 환자들에서의 계절 변동)

  • Minn, Yang-Ki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6 no.1
    • /
    • pp.115-119
    • /
    • 2001
  • The effect of seasonal variation on social statistic data is important. But in health subcenter in rural areas the effect has not been well known. To determine the seasonal index of medical needs in rural communities, the monthly number of patients were analyzed from Jan. 1994 to Dec. 2000. Seasonal index were calculated using 12 months moving averages and median value of each data. The number of patients excluding common cold were analyzed by same method. The seasonal index from Jan. to Dec. were 0.96, 1.08, 1.23, 0.83, 0.82, 0.75, 1.01, 0.99, 1.02, 1.05, 1.13, 1.13. The seasonal index of patients excluding those with common cold were 0.94, 0.90, 1.42, 0.94, 0.91, 0.77, 1.13, 0.92, 0.84, 1.07, 1.10, 1.16. In a rural area, medical needs are decreased on spring and early summer and increase in winter, and that are the influence of rural area.

  • PDF

A Study on Seasonal Variation of Propagation Loss in the Yellow Sea Using Broadband Source of Low Frequency (황해에서 저주파 광대역 음원을 이용한 전달손실의 계절변동 연구)

  • 김봉채;최복경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3
    • /
    • pp.213-220
    • /
    • 2002
  • The sound wave in the sea propagates under the effect of water depth, sound velocity structure, sea surface and bottom roughness, and bottom sediment distribution. In particular the sound velocity structure in shallow water varies with time and space, an? the sediment distributes very variedly with pla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 of low-frequency sound propagation in the Yellow Sea, the propag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along the same track in the middle part of the Yellow Sea at various seasons of spring. summer, and autumn.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measurement results on the propagation loss with the sound velocity structure, and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propagation loss. As a result, the propagation losses measured in summer were larger than the losses in spring and autumn. And the propagation losses measured in autumn were smaller than the losses in spring. The seasonal change of the propagation loss increased with the rise of sound frequency and the propagation range.

Seasonal rainfall short-term forecasting model considering climate indices (외부기상인자를 고려한 낙동강유역 계절강수량 단기예측모형)

  • Lee, Jeong-Ju;Kwon, Hyun-Han;Hwang, Kyu-Nam;Chun,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1-401
    • /
    • 2011
  • 본 연구는 Bayesian MCMC(Markov Chain Monte Carlo)를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에 외부기상인자를 결합하여 계절단위의 강수량을 예측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홍수 위험도와 관련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여름강수량을 예측 대상으로 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을 기반으로 외부 기상인자에 의한 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대상 수문량을 한정할 필요가 있으며 극대치강수량과 연관성이 높은 장마전선, 태풍 등의 기상인자는 공간적 변동성 및 복합적인 특성들로 인해 예측인자를 구성하는 기상인자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단위의 수문량으로 여름강수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기상인자로서 SST(sea surface temperature)와 OLR(outgoing longwave radiation)을 도입하였으며, 낙동강유역 여름강수량과의 공간 상관성이 높은 지역의 이전 겨울 SST와 6월 OLR을 예측인자로 활용한 7~9월 여름강수량 예측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결과를 알고 있는 2010년 여름 강수량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모형의 적용은 현재시점에서 관측된 2010년 겨울 SST와, 과거 관측 자료를 토대로 가정된 2011년 6월 OLR을 이용하여 2011년 여름 강수량을 예측하였다. 결과적으로 모형 매개변수들의 사후분포로부터 불확실성 구간을 포함한 예측결과를 구할 수 있었다.

  • PDF

해양중층부이(ARGO)를 활용한 북동아시아 근해의 혼합층 깊이의 시공간 변동성 분석

  • Lee, Eun-Yeong;Park, Gyeong-Ae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37-137
    • /
    • 2010
  • 해양 혼합층은 해양-대기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기후 변화 뿐만 아니라,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와 같은 생물학적 측면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단기 기후변동에 많은 영향을 주는 북동아시아 근해 내에서의 혼합층 깊이의 시공간 변동을 분석하였다. 기존에 해양 관측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점을 극복하기 위해 2000년부터 전구 해양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기 시작한 해양중층부이(ARGO) 자료를 활용하였다. 지금까지 제시되어 온 다양한 해양 혼합층 결정 기준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Levitus et al.(1997)의 기준을 적용하여 북동아시아 근해의 혼합층 깊이를 산출하였으며, 그 변화를 위도, 경도,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계절 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계절적 변화에서 겨울철 해양 혼합층 변화의 역전이 나타나는 지역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추후 해양 혼합층 깊이 결정 방법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an Eelgrass Bed in Myoungjuri of Jindong Bay (진동만 명주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 Baeck, Gun Wook;Kwak, Seok Nam;Huh, Sung-Hoi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7 no.1
    • /
    • pp.8-18
    • /
    • 2005
  • A total of 33 fish species were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from an eelgrass bed in Myoungjuri of Jindong Bay, Korea.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Hexagrammos otakii, Pholis fangi, Repomucenus valenciennei, Pseudoblennus cottoides, Pholis nebulosa, Rudarius ercodes, Syngnathus schlegeli, and Sebastes schlegeli. These 8 fish species accounted for 79.5%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fishes collected in the study area were primarily small fish species or juveniles of large fish species. Seasonal variations in both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were large; higher numbers of fish occurred from April to June 2002, while biomass was the highest in September 2001 and 2002. Seasonal changes in fish abundance corresponded with eelgrass biomass and abundance of food organisms.

A Study on GNSS Data Pre-processing for Analyzing Geodetic Effects on Crustal Deformation due to the Earthquake (지진에 의한 측지학적 지각변동 분석을 위한 GNSS 자료 전처리 연구)

  • Sohn, Dong Hyo;Kim, Du Sik;Park, Kwan D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1
    • /
    • pp.47-54
    • /
    • 2015
  • In this study, we developed strategies for pre-processing GNSS data for the purpose of separating geodetic factors from crustal deformation due to the earthquakes. Before interpreting GNSS data analysis results, we removed false signals from GNSS coordinate time series. Because permanent GNSS stations are located on a large tectonic plate, GNSS position estimates should be affected by the tectonic velocity of the plate. Also, stations with surrounding trees have seasonal signals in their three-dimensional coordinate estimates. Thus, we have estimated the location of an Euler pole and angular velocities to deduce the plate tectonic velocity and verified with geological models. Also, annual amplitudes and initial phases were estimated to get rid of those false annual signals showing up in the time series. By considering the two effects, truly geodetic analysis was possible and the result was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analyzing post-seismic deform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Tohoku-oki earthquake.

동해 포항연안에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 손종철;김기태;한경호;황동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28-429
    • /
    • 2001
  • 어류상에 대한 연구는 연안 어족자원의 정량적 평가와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며. 또한 연안어장에 어획량의 지속적인 확보와 자원량 예측평가를 가하기 위하여 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영일만 연안 정치망 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한 등, 1997), 삼중자망에 채집된 동해 홍해 연안어류의 종조성(황 등, 1997,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이, 1999) 둥의 연구가 있다. (중략)

  • PDF

Seasonal precipitation prediction using ICON model (ICON모델을 이용한 계절 강수 예측)

  • Kim, Ga Eun;Oh, Ja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0-360
    • /
    • 2017
  • 이상기상현상의 발생횟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기상 예측은 국가 재난 관리에 중요한 요소로써 부상하고 있다. 계절예측 또한 재난관리의 한 부분으로, 농업, 에너지, 수자원 그리고 공공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적 위험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조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ICON(ICOsahedral-Nonhydrostatic) 모델을 이용하여 2015년 여름철(JJA) 강수를 예측하였다. 2015년은 장마기간을 포함한 여름철 동안 평년대비 약 절반수준(54%)에 그치는 비가 내렸으며, 태풍으로 인한 강수량도 적어 연 강수량이 평년대비 72%로 역대 최저 3위를 기록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도와 남해안 지방을 제외한 대부분 지방에서 강수량이 적게 나타났으며, 수도권을 중심으로는 60% 미만의 강수량을 보였다. ICON 모델은 독일 기상청(DWD)과 막스플랑크 연구소(MPI-M)에서 공동 개발하여 현업 운영중인 전 지구 모델로 비정역학 코어를 사용한다. 전 지구를 정 20면체의 삼각형으로 격자화 시켜 모든 격자의 크기가 동일하고, 극점은 1개의 꼭짓점으로 구성되어 CFL(Courant-Friderich-Lewy)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hybrid의 병렬구조를 사용하여 전산사용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특징이 있다. 강수의 계절 예측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계절예측 자료 분석 시 활용할 ICON모델의 기후값을 생산하기 위해 30년(1980년~2009년)간의 AMIP기반 규준실험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SST와 Sea ice의 평년대비 현재 변동량을 계산하고, 이 자료는 모델 적분을 수행할 때 경계 자료로서 활용하게 된다. 계절 예측은 시간 지연기법(Time-lagged method)를 이용한 앙상블예측으로 수행하며, 예측하고자 하는 계절이 시작하기 약 1개원 이전부터 1일 간격으로 전 지구 모델의 초기자료를 다르게 선택하여 총 10개의 앙상블 멤버를 구성한다. 모델의 해상도는 수평 40km, 수직 90개 층으로 구성하였으며, 적분이 완료되면 AMIP기반 실험을 통해 모의된 기후값을 토대로 예측된 계절전망 자료의 변동성을 분석한다.

  • PDF

Seas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eiobenthos at Gwangyang Bay, Korea (남해안 광양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계절별 분포 특성)

  • LEE, HEEGAB;KANG, TAE WOOK;RHO, HYUN SOO;KIM, DONGSUNG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4 no.3
    • /
    • pp.400-42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eas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eiobenthic communities to understand the benthic ecosystem of Gwangyang Bay, one of the representative bay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faunal sampling was conducted eight times seasonally at 20 stations from 2010 to 2011. Among the meiobenthic fauna that appear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ematodes and harpacticoids were the most dominant. In the summer of 2011, the lowest density ($13ind.10m^{-2}$) was seen at station 10 on the inner part of the bay. In the winter of 2011, the highest density ($3,109ind.10m^{-2}$) was seen at station 4 on the inner part of the bay. Although the trend of seasonal changes in density was not clear, the meiobenthic community was seen to be affected more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each season. Particularly, while the density of the harpacticoids, a dominant faunal group,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organic content and average particle size in the summer sediments (p<0.05, p<0.01), the density of the nematode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except with the winter average particle size and the bottom layer's water temperature. The density change of meiobenthos showed irregular changes in Gwangyang Bay, instead of a general trend showing a low density in winter due to low water temperature but an increased density in spring and summ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rises and a decreased one again in fall. Considering such a seasonal trend, it seems that the benthic ecosystem of Gwangyang Bay is affected more by artificial environmental factors than by natural environmental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