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절내 변동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1초

잉어, 가물치 및 메기의 체표점액에 있는 간흡충 살충성물질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Effects on Clonorchicidal substances from Epidermal Mucus of Cyprinus carpio, Ophicephalus argus and Parasilurus asoltus)

  • 이재구;이상복백병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135-137
    • /
    • 1984
  • 잉어, 가물치 및 메기의 체표면 점액내에 있는 기흡충에 데한 살충성물질의 계절적 변동에 대하여 in vitro에서 검토하였다. 이들 어류 체표점도의 에테르추출물량은 겨울철에는 그 밖에 계절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살충성물질과 에테르추출물을 박롱 크로마토그라휘하여 얻은 각반점물질의 Rf값은 계절적 변동을 가져오지 않았다.

  • PDF

의복기후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changes in clothing microclimate)

  • 김양원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4-168
    • /
    • 2001
  • 의복착용시의 쾌적성은 의복의 보온력 조절에 의해 의복내 기후를 형성하여,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건강이나 쾌적성 평가의 측면에서 의복내기후가 체계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무실 환경에서 의복착용시 착용실험을 실시하여 계절적인 의복내기후의 변동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겨울 31.8$^{\circ}C$, 48.6%, 봄 33.5$^{\circ}C$, 47.9%, 여름 32.7$^{\circ}C$, 64.6%, 가을 31.9$^{\circ}C$, 43.6%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절간의 차이는 의복내온도에 있어서 가을과 겨울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봄과 여름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의복내습도는 여름과 겨울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계절간에는 차이가 뚜렷하였다.

  • PDF

농촌지역 보건지소를 내원한 환자들에서의 계절 변동 (The Seasonal Variation on Patients who Visit Health Subcenter in Rural Area)

  • 민양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1호
    • /
    • pp.115-119
    • /
    • 2001
  • 사회적 통계 작성할 때 계절변동효과는 자료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농촌의 의료기관에 내원한 환자들의 수도 계절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1994년에서 2000년까지 농촌 보건지소에 내원한 환자 수를 분석하여 계절지수를 구하였다. 의료고유의 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감기 환자를 제외하고 계절지수를 구하였다. 각각의 계절지수는 다음과 같다. 1. 전체지수는 1월에서 12월 0.96, 1.08, 1.23, 0.83. 0.82, 0.75, 1.01, 0.99, 1.02, 1.05, 1.13, 1.13이다. 2. 감기환자를 제외한 지수는 0.94, 0.90. 1.42, 0.94, 0.91, 0.77, 1.13, 0.92, 0.84, 1.07, 1.10, 1.06이다. 위의 결과를 보면 봄, 초여름에 환자 수가 감소하고 한여름과 겨울에 환자가 증가한다. 이것은 감기 환자를 제외하고 분석하여도 같은 결과이다. 또한 이것은 농사의 주기와도 일치한다. 계절변동 지수를 잘 활용한다면 농촌을 대상으로 한 보건 연구나 사업계획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청미천 유역 내 산림사면에서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특성의 공간적 및 계절적 변동 (Spati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Responses along Transect Line on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 곽용석;김상현;이정훈;이연길;정성원;김수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73-473
    • /
    • 2015
  • 토양수분은 수문학적 과정의 시공간적 변동과 수자원 관리 및 계획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원인규명에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의 분포 및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청미천 유역내의 사면에서 10개월 동안의 토양수분들을 측정하여, 토양깊이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토양수분특성은 간단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토양수분의 감쇄기울기 값으로 표현하였다. 추가적 연구로, 측정지점의 위치, 지형, 토성의 토양수분에 대한 반응분석을 하였다. 깊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는 지표층에서의 공간적 분포 경향과는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사면의 지형 및 위치 그리고 토성의 공간적 분포는 토양수분의 시 공간적 분포특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부흐름의 기여를 받는 측정지점에서는 토양수분 변동의 안정화가 진행이 되는 것으로 보이며, 수문학적 경계(Hydrologic Threshold)에 대한 추가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부사면에서의 높은 토양수분 변동성 및 뷸 균질적인 공간적 분포는 우선적 흐름발달의 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GMS 상층운량의 40~50일 계절만 진동 (The 40~50Day Intraseasonal Oscillation of the 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High Cloud Amount)

  • 하경자;서애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619-633
    • /
    • 1996
  • 인도양 및 서태평양 부근의 적도 대류의 계절안 변동을 GMS 상층운량을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이 연구는 90E-l7IW와 495-5ON 영역에서의 여름 몬순의 계절안 및 경년 변동 주기내의 열대-중위도 상호 관계를 찾는데 방향이 맞추어져 있다. 특히 상층운량에서 적도 대류와 연관된 동아시아 몬순의 계절안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대규모 대류의 이동과 진화에 대한 공간 및 시간 구조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공간과 시간 발전을 동시에 보기 위해 연장 경험적 직교함수 분석이 적용되었다. 그 첫째는 정규 구조로 간주될 수 있는, 90E-l2OE의 강한 대류의 동쪽 확장이 뚜렷한 모드이나 우리나라와 일본 부근에서는 해마다 변동하는 모드이다. 둘째, 세째 및 네째 모드들은 여름 몬순 동안 계절안 변동성을 가지고 증폭되는 모드들이다. 적도 대류에서 가장 강력한 계절안 모드가 바로 40~50일 부근에 탁월 주기를 갖고 있는 공간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해양중층부이(ARGO)를 활용한 북동아시아 근해의 혼합층 깊이의 시공간 변동성 분석

  • 이은영;박경애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7-137
    • /
    • 2010
  • 해양 혼합층은 해양-대기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기후 변화 뿐만 아니라,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와 같은 생물학적 측면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단기 기후변동에 많은 영향을 주는 북동아시아 근해 내에서의 혼합층 깊이의 시공간 변동을 분석하였다. 기존에 해양 관측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점을 극복하기 위해 2000년부터 전구 해양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기 시작한 해양중층부이(ARGO) 자료를 활용하였다. 지금까지 제시되어 온 다양한 해양 혼합층 결정 기준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Levitus et al.(1997)의 기준을 적용하여 북동아시아 근해의 혼합층 깊이를 산출하였으며, 그 변화를 위도, 경도,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계절 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계절적 변화에서 겨울철 해양 혼합층 변화의 역전이 나타나는 지역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추후 해양 혼합층 깊이 결정 방법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2007년 가막만 먹이생물의 변동

  • 오현주;김숙양;김상수;정창수;김병만;임창용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68-169
    • /
    • 2008
  •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변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해양환경변화에 따른 먹이생물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온은 하계에 높고 동계에 낮았으며, 염분은 동계에 높고 하계에 낮은 계절변동을 보였다. 용존산소는 하계 내만에서 3 mg/L 이하의 빈산소 수괴가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춘계인 5월에 4,500 cells/L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나, 6월에 급격히 낮아졌다.

  • PDF

호주에서의 ECMWF 계절내-계절 수문기상 예측치 평가 (Evaluation of ECMWF subseasonal-to-seasonal (S2S) hydrometeorological forecast across Australia)

  • 박종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8-268
    • /
    • 2023
  • 전 지구적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수문기상인자들의 비선형적 변동성이 발생함과 동시에 가뭄, 홍수와 같은 수재해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세계의 유수기관 (NASA, ESA 등)에서는 대기모형과 해양 모형의 결합 및 수치해석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계절내-계절 (Subseasonal to seasonal; S2S) 예측치를 생산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 (ECMWF)에서 산정되는 수문기상인자 (강수량, 증발산량 및 유출량)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으로는 다양한 기후대 및 토지 피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El-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Indian Ocean Diapole (IOD)와 같은 기후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호주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ECMWF S2S 자료에 대한 통계적 검증은 1) 지점 기반 관측치와 더불어 2) 물수지 모델 기반 수문 추정치 (The Australian Water Resources Assessment Landscape Model; AWRA-L)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S2S 강우 및 증발산량 산정치의 경우 비교적 짧은 예측기간(약 2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 (R=0.5~0.6)와 낮은 편차 (강수량 = 0.10 mm/day, 증발산량 = 0.21 mm/day)를 나타내었다. 유출량의 경우, 강우 및 증발산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예측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불확실성이 상당히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S2S 계산과정에서 강우 및 증발산량 뿐만아니라 지표 유출로 도달하기 전까지의 수문기상인자들의 불확실성이 모두 모여 유출량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계절적 검증에서는, 강우 및 증발산량 모두 여름철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불확실성은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내었다. 자세한 분석을 위해, 공간적인 불확실성을 분석해본 결과 ECMWF S2S가 매우 습윤하거나 건조한 지역에서 수문기상인자를 예측하는데 있어 한계성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 S2S 예측치에 대한 보정과 더불어 미래의 수재해 발생 위험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남해 연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문성용;오현주;서호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411-426
    • /
    • 2010
  •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와 주요 분류군의 변동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5월부터 2006월 2월까지 사계절 동안 실시하였다. 사계절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전체 74개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평균 출현 개체수는 2,426~23,793 indiv./$m^3$ 범위였으며, 이 중 N. scintillans가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N. scintillans, A. omorii, A. erythraea, P. parvus s. l, 십각류 유생, Aidanosagitta crassa, 따개비 유생으로 나타났다. 여름철의 동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 지수는 내만 해역에서 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철에 외만에 위치하는 조사해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남해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 변동이 계절에 따른 수온, 염분과 엽록소-a 농도, N. scintillans의 대량 증식에 따라서 변동할 수 있으며, 또한 계절에 따른 대마난류의 세력확장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ank모델에 의한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의 계절변동 예측 (Seasonal Variation Estimation of Inflow Pollutant Loads of Yeong-il Bay by using Tank Model)

  • 이인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63-71
    • /
    • 2003
  • 형산강 유역의 일별 하천유량과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기 위한 유역유출모형(강우-유출모형)인 Tank 모델을 구축하여 영일만으로 유입하는 오염부하량의 계절별 변동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산정된 영일만으로 유입되는 형산강의 연평균 하천유량은 878.34×10/sup 6/㎥/year로 형산강 유역면적내 연평균 총강우량의 약 73%로 나타났다. 영일만내 유입되는 연평균 오염부하량은 각각 15.11 ton-COD/year, 23.24 ton-SS/year, 10.65 ton-TN/year, 0.54 ton-Tp/year로 산정되었다 또한 계절별 변동특성으로 하천유량이 증가하는 하계 6~7월과 춘계 10월에 유입오염부하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일만내로 유입하는 주된 오염부하원은 형산강 하구인근에 위치한 포항시와 포항공단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영일만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오염부하원으로부터의 오염부하량 저감대책수립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