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속활용

검색결과 1,278건 처리시간 0.034초

사서직 계속교육 동향 분석 - 온라인교육과 역량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 (Trends in the Onlin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Librarians and Applications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 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15-24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교육과 역량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사서직 계속교육의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 사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70% 이상이 온라인교육방식으로 수행되고 있었고, 주로 온라인 코스웨어 형태의 표준화된 콘텐츠가 동영상으로 제작되어 반복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미국과 호주에서는 주로 웨비나 등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이러닝 방식을 사용하여 도서관 안팎의 최신 이슈를 다양한 교육강좌로 구성한 비표준화된 콘텐츠가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최근 주목할 동향으로 미국, 영국, 호주 등 해외에서 전문직 역량기준에 기반하여 계속교육을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기 개발된 사서직 역량기준들을 계속교육에 접목시킴으로써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이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해외 모범사례들은 향후 국내 온라인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의 계속교육 수요와 요구에 부응하며 현장사서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역량기반 사서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지표 및 콘텐츠개발 - NCS적용 타당성 분석 및 보완방안 연구 -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s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 이종창;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07-2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서직 역량기준을 조사하는 한편, NCS 및 사서직 역량요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사서직 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한 핵심역량에 대비하여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체계(NCS-CPD)"는 각종 도서관에 근무하는 현장사서에게 필요한 전문 및 기초 핵심역량을 체계화하고 있다. 이 체계는 향후 사서직 계속교육 연구 및 현장에서의 균형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상공인의 긍정심리자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SNS활용정도중심으로

  • 윤지영;오상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3-107
    • /
    • 2018
  • 최근 SNS사용범위 및 활용 목적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급격하게 발전하는 환경에서 마케팅은 개인 또는 소상공인, 기업에서 중요한 경영전략이 되고 있다. 그중 모바일 온리시대에 들어와 소상공인의 홍보 및 마케팅에서 온라인마케팅의 모바일이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소상공인의 마케팅을 돕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마케팅교육을 준비하고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모바일에 집중된 다양한 SNS온라인 마케팅 교육이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에도, 실제 SNS온라인마케팅을 교육을 통해 모두가 성공적인 경영성과를 올리고 있지는 않다. 이에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하고 있는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소상공인의 긍정심리자본이 SNS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SNS활용이 경영성과인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참여형 콘텐츠 관리 시스템 설계 (Participatory Contents Management System Design for Self-Directed Learning)

  • 강혜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1-202
    • /
    • 2012
  • 본 논문은 강의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교육자, 학습자가 수준별로 다양하게 활용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 한다. 이를 위해 학습 콘텐츠를 객체 기반화하며, LCMS를 도입하여 참여형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계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되는 시스템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교육과정 종료이후에도 계속 활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학습자들이 계속 참여하여 풍부한 콘텐츠를 구축하며 상호교류 하여 소셜 학습 네트워크(Social Learning Network)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평생학습이라는 사회적 요구에도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고리 1호기 계속운전 추진 현황

  • 정성두
    • 원자력산업
    • /
    • 제27권4호통권290호
    • /
    • pp.46-50
    • /
    • 2007
  • 고리 1호기는 한국에서 최초로 규제 기관에 계속운전을 신청한 원전이다. 2007년 6월에 설계 수명 기간 만료가 되는 고리 1호기는 규제 기관으로부터 계속운전(Continued Operation)에 대한 안전성 심사를 받고 있다. 한수원은 고리 1호기 계속운전 승인을 금년 12월에 받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의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해 노력중이다. 고리 1호기의 계속운전 기간 동안 안전성을 평가하고 정리한 안전성평가보고서를 한수원은 2006년 6월에 정부에 제출하였다. 고리 1호기는 웨스팅하우스의 2루프 가압경수로이다. 이와 동일한 원전인 일본의 미하마 1,2호기와 겐까이1호기가 계속운전중이며, 미국의 기네이와 포인트 비치 1,2호기가 계속운전 승인을 받았다. 제출한 안전성평가보고서에 대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심사중이며, 해외 원전과 같이 계속운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계속운전을 위한 사회적 수용성(Public Acceptance) 확보는 설비의 철저한 안전성 확보 및 지역 주민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설계 수명 이후 원자력발전소를 계속 운전하는 것은 이미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다. 2007년 3월 기준으로 미국에서 48기가 운영 허가 갱신 승인을 받았고, 영국은 8기, 일본은 12기가 계속운전중이다. 고리 1호기 성능 지표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한수원은 증기발생기, 저압 터빈, 원자로 냉각재 펌프 내장품, 주변압기, 주발전기 등을 교체하였으며, 수명관리 연구, 주기적안전성 평가, 환경 영향 평가를 수행하였다. 2005년 9월에는 미국의 운영 허가 갱신 제도를 참조하여 원자력법이 개정되었다. 이에 한수원은 개정된 원자력법에 맞추어 주기적 안전성평가, 주요 기기에 대한 수명 평가 및 방사능 환경 영향평가를 하였다. 이 세가지 보고서들로 구성된 안전성평가보고서를 2006년 6월에 규제 기관에 제출하였다. 계속운전은 한국을 비롯하여 부존 자원이 부족한 국가들에게는 에너지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온실 가스 배출을 고려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 PDF

일부지역 성인의 계속구강건강관리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The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on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Experience in Some Local Adults)

  • 최유리;김효진;최은미;이영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31-138
    • /
    • 2017
  • 본 연구는 일부지역사회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와 계속구강건강관리 경험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계속구강건강관리 경험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보조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군에 계속구강건강관리 경험이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p<0.05). 정기적 치과를 방문하는 사람은 계속구강건강관리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예방치과서비스를 경험한 군이 계속구강건강 관리에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계속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경험과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임상 치위생분야에서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보인다.

전자 학술정보의 공동 구매 촉진 및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ystem for Electronic Aacademic Information Promoting and Utilizing co-Purchase)

  • 조성남;김환민;김완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58-460
    • /
    • 2017
  • 연구자들이 연구 및 학술활동을 위해서 필연적으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참조하고 인용하고 있으며, 특히 학술연구물의 하나인 해외 학술저널 및 논문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그러나 해외 학술정보 시장은 대형 출판사의 주도로 시장이 형성되고 독과점 형태로 운영됨에 따라 그 비용이 계속 상승하고 있고 이와 반대로 국내에서의 해외 저널에 대한 예산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국가 차원의 KESLI 컨소시엄(전자정보 공동구매 및 활용 체제)을 구성하여 전자정보 공동구매의 장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협의회, 전문도서관 등 컨소시엄 운영주체의 다변화에 대한 대응과 구매의사결정 지원을 강화하고 대체 정보자원의 제공 등 기존의 KESLI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연구소, 기업 그리고 학술정보 출판사 및 공급사의 전자정보 공동구매 활성화 및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하였다.

계속조사에서 상대표준오차를 이용한 표본크기 결정에 관한 고찰 (A Note on the Decision of Sample Size by Relative Standard Error in Successive Occasions)

  • 한근식;이기성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3호
    • /
    • pp.477-48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계속조사에서 과거의 조사결과에서 얻은 추정값의 상대표준오차를 이용한 표본크기 결정 문제에 대하여 실제 사업체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통계청 사업체 조사결과 중 건설업을 모집단으로 이용하여 표본크기를 500에서 3,000까지 500씩 증가시켜가면서 표본을 1,000개씩 단순임의추출 또는 층화추출하여 추출된 각 표본으로부터 상대표준오차들의 사분위수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이들 값들을 토대로 계속조사에서 시점 (t-1)에서의 상대표준오차를 이용한 시점 t에서의 표본크기를 추출법에 따라 구하였다. 그 결과 단순임의추출의 경우는 층화추출의 경우보다 시점 (t-1)에서의 상대표준오차들의 크기에 따라 표본크기가 매우 크게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층화추출의 경우도 어떻게 층화를 하느냐에 따라 표본크기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계속 조사에서 과거의 조사결과에서 얻은 추정값의 상대표준오차를 이용한 표본크기 식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휴대정보단말을 위한 에이전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자동 설치 시스템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An Agent-Based Automatic Software Installation System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박지은;한동원;황승구;사공준;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12호
    • /
    • pp.1183-1192
    • /
    • 2000
  • 기존의 휴대정보단말 사용자는 단말 소프트웨어의 특성 상 웹을 통해 게시되는 소프트웨어 정보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직접 단말에 다운로딩하는 단순 반복 작업을 계속해야 한다. 이는 컴퓨터 비전문가인 일반 사용자가 활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단말기에 익숙한 사용자에게도 새로운 소프트웨어 정보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여 획득 및 활용하기에는 많은 오보헤드가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 작업을 하지 않아도 늘 가장 최신의 소프트웨어가 자신의 단말에 자동으로 업그레이드 되고, 관심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가 릴리즈 될 때 마다 실시간으로 이 정보를 알려주고 사용자가 원한다면, 자동으로 설치 작업까지 해서 곧바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록 하는 ‘에이전트 기반의 유대정보단말용 소트프웨어 자동 설치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유동적인 웹 환경과 다양한 휴대정보단말을 고려하여 실행시간(Runtime)에도 새로운 기능 추가가 가능하며, 동일한 통신 언어를 통해 개발 플랫폼이 서로 상이한 에이전트간에도 협동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 에이전트 기반 구조인 OAA(Open Agent Architecture)상에서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