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속거주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New Town Residents' Living Intention - Focused on the Residents of Bundang New Town (신도시 거주민의 계속거주의사 결정 요인 분석 - 분당신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 Kim, Yong-Jin;Kim, Seong-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5
    • /
    • pp.405-411
    • /
    • 2016
  • Given the importance of ensuring continued residency and maintenance of the 1st Planned New Town, which is the first of more than 20 such projec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determining the residents' living intention. The results show that age, gender, length of stay, and occupancy type a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ir living intention.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hopping environment are crucial. This means that in order to achieve the "Ageing in Place" concep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provide a variety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expand the living facilities. While it has no direct influence on the pros and cons of building re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living intention is used as a parameter, the transportation, educational, and shopping environment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pros and cons of building remodeling.

The Effects of Older Persons' Inclination to Choose Aging in Place(AIP): Focusing on Living Arrangements (노인의 지역사회 내 계속거주(AIP)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거형태를 중심으로)

  • Lee, Mee-Ae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9
    • /
    • pp.131-13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sure that the elderly do not enter a facility even if their health deteriorates, but continue to live in the community and receive necessary care.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elderly, the cohabitation type of the elderly in Korea was that they lived with married adults and/or unmarried children in addition to single and married households. Therefore, in this study, using the SPSS 25 program, the effects of the elderly'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habitation typ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iving in the community was analyzed using the 2020 elderly welfare status survey data.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age, and residence type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ingle households, married households, and households living with the eldest son reveal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the elderly. Based on this, we were intending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such as strengthening care and an age-friendly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inued residence of the elderly in the local community.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Safety in Urban Spaces and Aging in Place (도시공간의 물리적 안전과 노인들의 계속 거주와의 관계분석)

  • Park, Jong Yo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1
    • /
    • pp.109-120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afety of the urban spaces and the aging in place tendency of the elderly. Method: For analysis, the physical safety of the urban space is divided into four elements: outdoor space and building safety, pedestrian safety, transportation safety and living safety, and for aging in place, the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411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Seoul for each of the five urban community in Seoul. Results: 78.6%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are good at continuing to live in the present living area, the elderly living in Seoul has the high tendency of aging in place. The ratio of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good at living continuedly is in the order of southeast, northwest, southwest, northeast, and downtown. Conclusion: When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are good at staying in the current living area is high, not only the overall physical safety but also the average of the physical safety factors of the urban space are also high, physical safety of urban spaces is a factor affecting aging in pl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be applied as a method to create a safe city in the process of city development or urban renewal in the future.

Factors Affecting Residents' Propensity to Stay in Their Current Residence: Focused on Aging Effect (지역소멸 위기감이 계속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You, Na-young;Lee, Gi-Hun;Ma, Kang-Ra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8 no.4
    • /
    • pp.19-29
    • /
    • 2022
  • Previous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s' migration have shown that residents who feel dis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re more likely to move to another area than those who feel satisfi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decline of the place and its impact on the intention to stay.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Hankyoreh 21 survey of the residents who have been residing in the declining regions.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residents have a much higher propensity to stay as they become older. The fact that residents' staying intention tends to increase with age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physical and economic constraints of older residents.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from the result that the elderly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disadvantageous environments than the young residents in the declining regions.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Aging in Place : Analysis of Moderated Effects of Housing Characteristics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 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 : 주거특성의 조절효과 분석)

  • Baek, Seong-Wook;Lee, Chan-Ho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8
    • /
    • pp.25-31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AIP(Aging in Place), and analyzes how their relationship differs depending on housing characteristic variables (ownership type, housing type, and residential area). For this purpose, as of November to December 2020, a questionnaire analysis was conducted on 373 adult males and females residing in Busan and Gyeong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wo ways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higher the AIP.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IP was higher in ownership than in rental cases, and further decreased in detached houses compared to apartment houses.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metropolitan cities 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ad a higher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IP.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related to population and urban planning.

연령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 최초이동, 계속이동, 귀환 이동

  • Lee, Sang-Rim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3
    • /
    • pp.43-72
    • /
    • 2009
  • 일반적으로 인구이동은 전형적인 연령패턴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령에 따른 이동률의 변화는 생애주기와 지역애착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되어왔다. 많은 인구이동 연구들은 인구이동이 갖는 다양한 형태에 대한 고민 없이 단순한 거주지역의 변화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인구이동의 다양성에 주목한 연구들은 인구이동이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패널데이터(NLSY79)를 사용하여, 인구이동을 최초이동, 계속이동 및 귀환이동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구분을 바탕으로 생애주기 및 지역애착 등을 반영하는 사회경제적 변수들을 통제한 후 연령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인구이동이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한 연령패턴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초이동은 이동률이 성인초기 연령대의 매우 높은 수준에서 급감하여 중년에 이르러 일반적 이동률 수준으로 나타났고, 계속이동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선형으로 꾸준히 감소하지만 그 폭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귀환이동은 이동률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령패턴의 다양성을 설명을 위해 이 연구는 인구이동에서의 보수성 증가라는 심리적 접근을 제안하고 있다.

고수동굴의 동굴지형적 고찰

  • 서무송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 no.2
    • /
    • pp.7-8
    • /
    • 1976
  • 고수동굴명은 원래 고수동명에서 유래된 것이나 시대의 변천을 따라 키큰풀 藁가 예 古로 변한 것 뿐이다. 이 마을의 역사를 더듬어 보면, 멀리 임진왜란(1592)과 연관된 전설일화가 있으니, 한양을 떠나 피난길에 오른 밀양박씨 형제분중 아우는 청주에 정착하고 형은 안식처를 찾아 계속남하중 말의 발병으로 키큰풀이 우거진 이곳에 정착하여 고수라 부른 것이 오늘의 고수리의 기원이며 밀양박씨 13대손 박노환씨가 거주하고 있다. (중략)

  • PDF

바닥 급기 공조의 전망

  • 김영일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8
    • /
    • pp.54-59
    • /
    • 2001
  • 바낙 공기 급기(UFAD, underfloor air distribution)는 사무실과 상업 건물의 공조를 위하여 바닥 하부 공간을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북미에서는 UFAD가 기존 천장 공기 급기 방식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지니므로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잘 설계된 UFAD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 건물의 용도 변경에 따픈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건물의 생애 주기 비용을 감소시킨다. - 개별 쾌적성 제어가 가능하므로 온열 쾌적성, 거주자의 만족도 그리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 거주자주변에 직접 선선한 공기를 공급하므로 환기 효율, 실내 공기질 그리고 건강 상태를 향상시킨다. - 이코노마이저 운전, 온도 성층화 그리고 낮은 정합 운전에 의하여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킨다. - 설비 공간이 축소되고 표준 철골 구조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 변경이 가능하므로 새 건축 공법에서는 충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1995년까지만 해도 UFAD는 파격적인 설계 기법이라고 여겨졌지만, 이제 설계자와 건축업자들은 2004년까지 신축되는 사무용 건축품의 35%는 바닥을 높인 기법이 적용되며 이 중 반 정도가 UFAD를 채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000년 2억불이라고 추정되던 바닥을 높이는 건축의 시장 규모가 2004년에는 최소 10억불이 되리라고 예측된다. UFAD는 기본 연구에 의한 정립된 표준화된 설계 기법과 지침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설계, 시공되고 있다. 이라한 경향은 펄수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관련 업계가 지식과 경험을 충분히 쌓기 전까지는 계속될 전망이다. 본고는 시스템 설계와 운영의 주요한 특징,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장점, 한계와 기술 개발의 필요성, UFAD 기술 개발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연구 분야 등을 서술함으로써 현재 UFAD 기술에 대한 평가를 한다.

  • PDF

Housing Environment Type And Resident Housing Satisfaction (주거환경유형과 거주자의 주거만족)

  • 진양교;수와이드만;제임스앤더슨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9 no.1
    • /
    • pp.45-5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환경지표와 그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반응간 의 인과적 관련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주자의 주관 적 반응인 주거만족과 객관적 환경지표의 하나인 주거환경유형들(건물유형 과 건물배치유형)과의 인과적 관련도가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토의된다. 한국의 6개 대단위 공동주택단지가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되었고, 표본 추출시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형을 고려한 다단계 표집방법(multistage sampling)이 사용되었다. 설문면답방법(modified structured survey)에 의해 646명의 처리 가능한 응답이 수거되었다. 인과모형 검증의 첫 단계로서 다 수의 설문문항을 원래 관심있는 소수의 변수로 정선, 추출하기 위한 방법 으로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요인분석으로부터 정선, 추출된 변수를 이용 해서 본 연구의 가설모형이 정립되고, 그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볼 때,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 형 모두가 거주자의 지각, 인식, 태도 등의 적절한 매개변수들을 통해 거주 자의 주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유형은 일반 적으로 저층주거에서 고충주거로 바뀌면서, 거주자의 주거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고층주거가 거주자에게 주는 시각적 단 조로움, 과밀감, 그리고 주차장을 포함한 옥외공간 이용상의 불편들과 또 그들로 인한 낮은 안전성 및 경관에 대한 불만족 등이 그 이유로서 밝혀졌 다. 건물배치유형의 경우, U자형의 배치유형이 선형배치유형에 비해 과밀 감 해소, 시각적 명료성 향상, 그리고 옥외공간 이용상의 편리 등 및 또 그 에 따른 경관에 대한 만족의 향상 때문에 거주자의 주거만족을 높이는 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와 관련된 설계 및 계획분야를 위한 여러 다 양한 제안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추후 관련 연구들을 위한 가능성들 도 토의되었다. 그 유용성 때문에, 아직 많은 이론적, 방법론적, 그리고 분 석상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환경지표들과 이용자들의 만족을 포함 한 다양한 주관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밝히려는 시도가 계속되 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mpirical Analyses on Intention to Liv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of Urban Residents in Neighboring Counties of Naepo New Town (도심 거주의향과 지역 내 소비지출에 관한 실증분석; 내포신도시 주변도시 도심거주민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 Im, Jun-Hong;Hong, Sung-Hy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2
    • /
    • pp.678-686
    • /
    • 2017
  • This study is performed with the view point that a strategy to maintain the existing residents as well as to attract people outside is necessary in order to revitalize the downtown of an area. Empirical analyses of this study are focused on the residents in downtowns of the two counties, Hongsung and Yesan which are concerned of becoming hollow.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sidents who want to continue living in the downtown are the old and the owner-occupants of detached housing units while those who hope to leave to Naepo, a neighboring new town are in their 30's or high income-earners. Thus, policies such as renovating detached housing for the old are required. In addition, policies to reduce outflow of the people who are in their 30's or high income-earners are also needed. Especially, since the resident who is highly probable to leave is estimated to spend 553 thousand Korean Won per year in the downtown, on-going outflow of residents would weaken the local market and threaten the local economy. Consequently, local governments need to set up directions of urban renovation policies by considering decline in population, change in demographic structure, appropriate allocation of limited budget, and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based on empirical research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