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산 복잡성

Search Result 1,09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Flow Analysis and Pressure Loss Calculation in the Ducts of FGD System (탈황설비 배관내 유동장 해석 및 압력손실 계산)

  • 고성모;이진욱;황금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8.05a
    • /
    • pp.21-25
    • /
    • 1998
  • 탈황설비 배관내 연소가스의 삼차원 유동장에 대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복잡한 형상으로 주어진 배관내의 유동장 특성을 관찰하고 압력손실을 계산하였다. 특히 안개깃의 설치유무에 따른 유동장 특성 변화 및 압력손실 감소효과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안내깃의 설치에 따라 유량배분이 적절하게 되고 압력손실이 현저하게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계산하여 배관설계 및 송풍기 용량 산정의 적절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ideo Sequence Segmentation using Distributed Genetic Algorithms (분산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동영상 분할)

  • 황상원;김은이;김항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08a
    • /
    • pp.317-320
    • /
    • 2000
  • 동영상 분할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중요한 단계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동영상 분할은 계산 복잡도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분산 유전자 알고리즘에 기반한 계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동영상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에서 연속한 두 프레임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한 프레임의 분할 결과는 이전 프레임의 분할 결과를 사용해서 연속적으로 얻어진다. 그리고 중복된 계산을 제거하기 위해 움직이는 객체에 대응되는 염색체만을 진화시킨다.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의 효율성을 보여준다.

  • PDF

신뢰도와 Weibull 모델의 적합성 연구

  • Won, Hyeong-Gyu
    • ETRI Journal
    • /
    • v.14 no.1
    • /
    • pp.76-86
    • /
    • 1992
  • 시스팀의 구조가 복잡하면 할수록 신뢰도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다. 신뢰도는 시스팀의 신뢰도 예측, 시스팀 설계시 신뢰도 배분, 장기간에 걸친 운영시 시스팀 유지와 보수 또 이에 따른 인원계획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시스팀의 효율성 및 경제성 파악에 중요한 척도로 이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신뢰도 모델로서 와이블 (Weibull) 분포의 이용과 적합도 판정문제를 고찰한다. 특히 새로운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계산이 간편한 적합도 판정법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of Digital Signature Based on the Security (안전성에 근거를 둔 디지털서명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 이지영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4 no.2
    • /
    • pp.39-45
    • /
    • 1999
  •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its cryptographic analysis for digital signature and compare it with other complexity measures such as discrete logarithm problem and factorization problem which are based on the security. The paper especially tries to computational complexity so that it can compare and checks the performance analysis, comparison of data size and processing speed through the simulation me

  • PDF

A Software Complexity Measurement Technique for Object-Oriented Reverse Engineering (객체지향 역공학을 위한 소프트웨어 복잡도 측정 기법)

  • Kim Jongwan;Hwang Chong-S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9
    • /
    • pp.847-852
    • /
    • 2005
  • Over the last decade, numerous complexity measurement techniques for Object-Oriented (OO) software system have been proposed for managing the effects of OO codes. These techniques may be based on source code analysis such as WMC (Weighted Methods per Class) and LCOM (Lack of Cohesion in Methods). The techniques are limited to count the number of functions (C++). However. we suggested a new weighted method that checks the number of parameters, the return value and its data type. Then we addressed an effective complexity measurement technique based on the weight of class interfaces to provide guidelines for measuring the class complexity of OO codes in reverse engineer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proposed complexity measurement technique ECC(Enhanced Class Complexity) is consistent and accurate in C++ environment.

A Study on Optimal Evaluation Model for FMSs Using Activity-Based Costing (활동원가를 이용한 FMS의 최적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Kim, Man-Kyun;Hahm, Hyo-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19 no.38
    • /
    • pp.147-157
    • /
    • 1996
  • 전통적인 원가계산 시스템에서 원가의 정확성은 생산량의 증감에 다라 변동하는 제조간접비에 의존하게 되며, 원가 배부기준은 대부분 생산하고 있는 제품의 수량과 밀접하다. 그러나, FMS 혹은 CIM등의 고도로 발달한 제조환경에서의 제조간접비는 반드시 생산량에 비례하지 않는다. 즉, 제품원가 구조변화 및 생산의 복잡성과 다양성에 따른 기업환경 변화 등이 주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BC 원가계산 시스템과 LP Model에 의한 전통적인 원가계산 방식과는 다른 ABC 원가계산 시스템을 만들었으며, 원가 활동동인에 따라 생산성 및 생산성 향상, 최적투자 활동 등을 수행할 수 있는 FMS 생산시스템의 최적평가 Model을 구축하였다.

  • PDF

지하 파일 탐지를 위한 시추공 자력탐사 자료의 역산

  • 차영호;신창수;서정희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1999.04a
    • /
    • pp.80-8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토목분야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는 기초 파일의 깊이 탐지와 관련하여 시추공 자력탐사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추공 자력탐사 모형 반응 계산 및 역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모형 반응 계산은 시추공 자력탐사에 적합하고 삼성분 이상을 계산할 수 있도록 기존의 방법을 수정하였으며, 역산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자력탐사 자료 역산의 불안정성을 고려하여 광역적 최적화 기법의 하나임 ASA(Adaptive Simulated Annealing : Ingber, 1993)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모형 반응 및 역산 알고리즘을 간단한 모형 및 합성자료에 대해 적용한 결과 그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무작위 잡음을 첨가한 자료, 주변 파일의 영향 및 지표 구조물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복잡한 모형에 대해 기초 파일의 깊이를 탐지해 낼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실제 현장 적용시 고려해야할 현장지침에 대해서도 고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자료에 적용한 결과 실제 파일의 깊이를 역산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기초 파일의 깊이 탐지를 위한 시추공 자력탐사의 적용성 및 본 알고리즘의 현장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Novel Low-Complex and High-Performance Image Quality Assessment Metric based on Simple Gradient Operators (단순 기울기 연산자 기반의 새로운 저복잡도 고성능 영상 화질 측정 척도)

  • Bae, Sung-Ho;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11a
    • /
    • pp.81-83
    • /
    • 2015
  • 객관적 영상 화질 측정(Image Quality Assessment: IQA)방법은 영상 화질 최적화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및 컴퓨터 비전 분야에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다. 이를 위해, 저복잡도, 고성능 및 좋은 수학적 특성(예를 들어, 척도성(metricability), 미분가능성(differentiability) 및 볼록 성질(convexity))을 모두 만족시키는 객관적 IQA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위해 위에서 언급한 좋은 수학적 특성을 가지는 대부분의 객관적 IQA 방법들은 좋은 수학적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당한 예측성능의 감소를 초래했다. 본 논문은 위에서 언급한 좋은 수학적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예측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IQA 방법을 제안한다. 인간 시각 체계의 감수영역은 광도 입력에 대해 공간 도메인에서 미분 형태의 응답을 가지므로, 제안 방법은 이러한 시각 체계 응답을 모방하여 기울기 연산자를 도입한다. 제안한 방법에서 도입한 기울기 연산자는 매우 단순하게 설계되어, 계산 복잡도가 매우 낮다. 광범위한 실험 결과, 제안하는 IQA 방법은 기존 수학적 특성이 좋은 IQA 방법들 대비 더 좋은 성능을 보이면서 계산 복잡도 또한 낮았다. 따라서 제안 IQA 방법은 다양한 영상 화질 최적화 문제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PDF

Complexity Reduction of Blind Algorithms based on Cross-Information Potential and Delta Functions (상호 정보 포텐셜과 델타함수를 이용한 블라인드 알고리듬의 복잡도 개선)

  • Kim, Namyo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5 no.3
    • /
    • pp.71-77
    • /
    • 2014
  • The equalization algorithm based on the cross-information potential concept and Dirac-delta functions (CIPD) has outstanding ISI elimination performance even under impulsive noise environments. The main drawback of the CIPD algorithm is a heavy computational burden caused by the use of a block processing method for its weight update process. In this paper,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 new method of the gradient calculation is proposed that can replace the double summation with a single summation for the weight update of the CIPD algorithm. In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method produces the same gradient learning curves as the CIPD algorithm. Even under strong impulsive noise, the proposed method yields the same results while having significantly reduced computational complexity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lock data, to which that of the e conventional algorithm is proportional.

Improving the Slope Calculation Method for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the Land Development (토지 개발 적정성 평가를 위한 경사도 계산 방법 개선)

  • Lee, Byoung K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3
    • /
    • pp.85-92
    • /
    • 2016
  • Slop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land development permission standards. In guideline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or "Forest Land Conversion Standard", average slope can be measured using digital map and GIS for target area. Inputs in slope calculation are 1/5,000 digital map of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or digital information of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Many confusions occur in the field, as there is no standard for slope calculation and are lots of slope calculation methods using contour lines or DEM derived from them. Avoiding these confusion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pose a standardized method for slope calculation and a selection method for a suitable resolution. In this study, using DEM of optimum grid size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opography with finite difference method is suggested as improved slope calculation method, after comparing several representative slope calcula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