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류안전성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환경 외력 변화에 따른 계류안전성 민감도 분석

  • Yang, Yeong-Hun;Gong, In-Yeong;Seo, Tae-Ho;Baek, Mi-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6-158
    • /
    • 2011
  • 2010년 1월부터 발효된 국토해양부의 해상교통안전진단 시행지침에 따라 신설되는 부두 등에 대해서는 계류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계류안전성 평가 초기 환경 외력 설정 결과가, 최종적인 계류안전성 평가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각각의 환경조건을 변화시키면서 검토하였다. Pre-Tension 및 파랑주기, 조류의 방향, 조위 변화 등에 대하여 계류삭에 작용하는 장력 및 QRH(Bollard)의 작용력, Fender의 최대 반력 변화 등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계류안전성 최종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PDF

대산항 씨텍 제3번 돌핀부두 5만 DWT급 VLGC의 계류안전성 평가

  • Kim, Se-Won;Kim, Seong-Jin;Park, Yeong-Su;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44-346
    • /
    • 2012
  • 대산항 씨텍 제3번 돌핀부두에 최초 설계의 접안능력기준을 약간 상회하는 5만 DWT급 VLGC 선박이 접안작업을 할 경우, 돌핀의 용량에 따른 접안작업 동안의 안전성 여부를 대산항만의 입출항 제한 자연 환경조건을 적용하여 선박 계류측면에서의 안전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상선박의 부두에서의 최악의 외력조건과 계류장력과의 관계를 OCIMF에서 연구 발표한 결과를 바탕으로 계류안전성 계산공식을 적용하여 계류안전성을 평가하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Mooring Safety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Bitt Against Gust (돌풍 대비용 직주 배치에 따른 계류안전성 민감도 분석 연구)

  • Kim, Seung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7
    • /
    • pp.767-776
    • /
    • 2020
  • Due to the recent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weather changes in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past have occurred, and the increase in seawater temperature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size and intensity of typhoons.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bitts that can be used to secure mooring safety of the ship when a sudden gust occurs. Based on 12 scenarios of a mooring safety evaluation program, this study analyzed the criteria for arranging bollard and bitt, and analyzed the sensitivity of mooring safety when using storm bitt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mooring factor value decreased compared to the general mooring line arrangement when the fore and stern breastline were added to the bitts for gu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posing storm bitts arrangements for gus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erth ships and 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ship operators, storm bitts at the pier will be an effective method for securing the ship's mooring safety in case of a gust of wind.

부유체식 Container Yard 접안선박의 계류안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Seung-Yeon;Park, Seong-Hyeon;Kim, Cheol-Seung;Lee, Sa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7-49
    • /
    • 2013
  • 항만 확장 시 기존의 매립 방식은 건설비용 및 환경 파괴 등의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부유체식 구조물을 이용한 해상 부두의 활용이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계류안전성평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부유체식 Container Yard에 적용하기 위한 자연환경, 선박 및 부두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자료를 토대로 향후 부유체식 Container Yard에 접안한 선박의 환경외력 및 계류삭의 장력 평가, 방충재와 계선주에 작용하는 반력 및 견인력 평가, 부두의 운동에 따른 안전성을 파악하고, 해상 부두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여 안전한 부두의 설계 기준 및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Hydraulic Experiments on Tension of Perforated both side type Floating Breakwaters (투수성부유식방파제(카테너리계류)의 장력특성 실험)

  • Yoon, Jae Seon;Jung, Ja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4-254
    • /
    • 2015
  •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부유식방파제는 상치의 공기주입량에 따라 흘수심을 조절할 수 있으며, 부유식방파제 입사면과 투과면에 하부슬릿을 두어 입사파랑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수리 모형실험에서는 카테너리(catenary) 계류시스템의 계류각 변화에 따른 장력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계류시스템은 계류점, 계류형상 및 인장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식방파제의 6자유도 운동 중 2차원운동에 따른 장력특성 분석을 위하여 4점 계류를 채택하였으며, 계류형상은 일정 동요량을 허용하지만 안전성이 높은 카테너리형을 적용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투수성 부유식방파제의 장력특성을 분석하고, 입사파랑 변화에 따른 계류시스템의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 투수성부유식방파제는 계류각 전 구간에서 무공형부유식방파제에 비하여 최대장력이 낮게 측정되었으며 안전성이 확보되었다.

  • PDF

해상교통안전진단 정량적 평가 방법에 대한 개선 방안 고찰

  • Yang, Yeong-Hun;Gong, I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17-218
    • /
    • 2012
  • 국토해양부 해상교통안전진단 시행지침에는 안전진단 항목으로 해상교통현황조사 및 측정, 혼잡도 분석, 선박조종시뮬레이션에 의한 통항 및 접이안 안전성 평가, 계류안전성 평가 등을 명시하고 있으며, 각 진단 항목별로 평가 방법 및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해상교통안전진단 수행과정에서 이러한 평가 방법 및 기준에 대한 개선 방안 등을 고찰하였다.

  • PDF

신보령 1,2호기 해상교통안전진단 사례

  • Lee, D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23-325
    • /
    • 2012
  • 충남 보령시 오천면 인근해역에 건설될 신보령화력 1,2호기 건설사업과 관련하여 항만공사(연료하역부두, 석회석하역부두 축조)로 인하여 선박통항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조사 측정 및 평가하여 설계에 반영토록 하고, 부두축조에 따른 대상 선박 항로 통항 및 접 이안에 대한 안전성 평가,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 계류안전성 평가 등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afe Operation Standards of Piers based on Mooring Safety Evaluation to Increase Efficiency of Local Management Trade Ports (지방관리 무역항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계류안전성 평가 기반의 부두 안전운용기준에 관한 연구)

  • Kim, Seungyeon;Yu, Yongung;Lee, Yuns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1
    • /
    • pp.107-116
    • /
    • 2022
  • Local management trade ports are small-sized trade ports, which require active operation to strengthen the local cities' economic power and enhance the local industries' added value. In addition, local management trade ports should berth ships larger than the existing ships to increase efficiency and keep up with the international trend where ships are becoming larger. Furthermore, they should also prepare operating standards. This study selected Okgye Port among local management trade ports. We performed a mooring safety simulatio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cenario where a 50,000 DWT vessel is moored at the current 20,000 DWT class pier. The emergency departure criteria were 27kts at 3.2s of wave period and 22kts at 5.0s of wave period at the existing pier. Results showed that mooring limit condition increased by about 50% to 41kts at 3.2s of wave period and 36kts at 5.0s of wave period. This study can be used for strengthening mooring facilities and setting operational standards for safe port operation when large ships are berthing.

A Study on the Sensitivity Analysis of Ship Mooring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Sea Level Rise in Mokpo Port (목포항 해수면 상승에 따른 선박 계류평가요소의 민감도 분석 연구)

  • Seungyeon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5
    • /
    • pp.445-455
    • /
    • 2023
  • Sea level rise due to global warming is accelerating. According to the IPCC survey, the expected sea level rise in 2100 was analyzed to be 47cm in the low-carbon scenario (SSP 1-2.6) and 82cm in the high-carbon scenario (SSP 5-8.5). Sea level rise can cause serious damage to port infrastructure and reduce the safety of ships docked inside ports. In this study, Mokpo Port, which frequently suffers from flooding during high tide, was selected and the sensitivity of mooring evaluation factors was analyzed for actual berthing ships according to sea level rise scenarios. From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tension of mooring line, the load of bollard, vertical angle of mooring line, and ship's motion of 6-DOF, which are evaluation factors, generally increased when the sea level increased. The most sensitive evaluation factor was sway motion of 6-DOF. Also, we analyzed that the value of mooring evaluation factors decreased when the crown height was raised. This was beneficial in improving ship and pier saf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ecure measures to improve port and ship safety according to sea level rise in Mokpo 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