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량용수량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Optimum Irrigation Level and the Project Water Requirement for Upland Crops (밭 작물의 최적관개수준과 계획용수량 산정)

  • 윤학기;정상옥;서승덕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2 no.1
    • /
    • pp.72-86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of irrigation plans for upland crops such as the optimum irrigation level and the project water requirement. Red peppers and cucumbers were cultivated in PVC pot lysimeters filled with 60cm deep clay loam soil. Four tensiometers were installed in each pot to measure the soil water pressure head. Six levels of irrigation were u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optimum irrigation level. The irrigation level of FC-PF2.7 was found to be the optimum level for both red pepper and cucumber with respect to the yield and the weight per fruit. In case of FC-PF2.7, total ET during the irrigation period were 1005.2mm for red pepper, and 429.6mm for cucumber, respectively. 2.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s. Average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s (SMEP)during the irrigation period were from 1st soil layer 43% : 32% : 16% : 9% for red pepper and 39% : 34% : 15% : 12% for cucumber, respectively. The extraction ratio of the upper soils showed very large values during the early stage of growth and decreased largely during the middle stage, and became larger in the last stage. 3.The project water requirement. Among the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ETo) computation methods presented by FAO, the Penman method was found to be the best. The effective rainfall was computed by a modified USDA-SCS curve number equation. Availability ratios of the total rainfall during irrigation season were 59.2% for red pepper and 48.9% for cucumber, respectively. Net project water requirement of design year are 837.3mm for red pepper. and 502.Smm for cucumber, respectively.

  • PDF

An Analysis of the usage unit area by estimating usage of agricultural groundwater wells (농업용관정의 사용량추정을 통한 단위면적당 사용량 분석)

  • Jeon, Ju Young;Oh, Jun Oh;Jun, Sang Mi;Lee, Jo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7-67
    • /
    • 2020
  • 일반적으로 농업용수 이용량은 기후, 토양, 지역별 재배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용수공급 계획을 위해 수요량 추정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농업용수 수요량은 논과 밭 등에서 작물 재배에 필요한 용수량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작물 재배에 소요되는 전체 용수량에서 강우에 의해 공급되는 양을 제외한 수량으로 볼 수 있다. 현재 농업용수 수요량의 추정 방법은 현장에서 직접 실측하는 방법, 대표 작물을 대상으로 계측한 후 일반화 하는 방법, 증발산 이론에 의하여 추정하는 방법 등으로 구분 되며, 최근 광역적인 분석으로 증발산 이론에 의한 추정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농업용 지하수 이용은 국내 지하수 이용량의 51%를 차지하고 있어 보다 적확한 농업용 지하수 사용량조사는 지하수의 효율적 정책 추진을 위하여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조사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해 각 조사지역의 사용량을 추정하고 월별사용량 및 단위면적당 사용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조사지역은 창녕함안보(오천리, 성산리), 합천창녕보(율지리), 달성보(좌학리, 위천리), 구미보(궁기리)이고, 지하수사용량을 분석하기 위해 유량계(계량기) 검침, 전력사용량 검침, 수중모터펌프 가동시간을 이용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8년 12월 부터 2020년 02월 까지 이다. 농업용관정 조사시 실제 지하수를 사용하는 면적(ha)도 같이 조사해, 월별 지하수사용량에 실제사용면적(ha)을 나누어 면적당 지하수사용량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창녕함안보 오천리는 20,956㎥/mon/ha, 창녕함안보 성산리는 19,911㎥/mon/ha, 합천창녕보 율지리는 3,648㎥/mon/ha, 달성보 좌학리는 2,417㎥/mon/ha, 달성보 위천리는 3,546㎥/mon/ha, 구미보 궁기리는 619㎥/mon/ha로 분석되었다. 수막재배가 많은 창녕함안보가 지하수사용량이 가장 많았으며, 구미보의 경우 지하수사용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월별 지하수 사용량을 살펴보면 2019년 01월 ~ 02월 보다 2020년 01월 ~ 02월의 평균 지하수 사용량이 793㎥/mon/ha 적게 분석되었고, 평균기온은 2019년 01월에 0.3℃, 2020년 1월은 2.6℃로 2.3℃ 높다. 이는 겨울철 지하수 사용량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겨울철 지하수 사용량차이는 재배작물과 겨울철 기온차이가 원인으로 판단되며, 다년간 지하수사용량과 기온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 PDF

A time rivers outflow interpreting according to an agriculture reservoir operation (농업용저수지 운영에 따른 시기별 하천유출 해석)

  • Oh, Seung-Tae;Kim, Jin-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3-177
    • /
    • 2007
  • 현재 농업용수 이용량은 158억$m^3/yr$로 우리나라 전체 수자원이용량의 48%에 해당되며 하천유지수량을 제외하였을 경우 61%에 해당된다. 농업용수의 이용은 노후화된 농업수리시설과 관리기술 부족 등의 원인으로 이용효율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황을 뒷받침해 줄 측정 및 조사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농업용수의 물관리 연구는 장기간의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의 획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물관리 상황을 조사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다. 이러한 자료의 축척은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농촌공사에서는 2000년에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이동저수지 유역을 종합시험지구로 선정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이동시험지구는 경기도 용인시, 평택시, 안성시, 사이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다. 저수지와 양수장 시설이 복합적으로 운영되어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지구로 농업용수의 물관리 연구 수행을 위해 적합한 지역이다. 이동시험지구에 강우계, 저수지 수위계, 하천 수위계, 수로 수위계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유지 관리 및 자료수집을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농촌지역 수문자료를 축척하고 있다. 이동시험지구의 운영은 농업용수 물관리와 관련된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축척하고 축척된 현장 자료의 분석을 통해 물관리 기초자료를 계량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운영에 따라 하천에서의 유출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농업용저수지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시험지구 덕성교 하천수위관측지점의 하천유출율은 65 %, 재인교 하천수위관측지점의 경우 하천유출율은 60 %를 나타내었다. 이동유역의 경우 상류에 저수지가 있으며 저수지의 시기별 저수상태와 강우량에 따라 유출에 영향을 받고 있다. 1월에 상류 저수지의 저수상태가 만수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예년에 비하여 많은 강우가 발생하여 저수위 조절 차원에서 인위적으로 방류한 양이 많았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두 지점의 1월 유출이 100 % 이상인 것은 동절기 하천 결빙으로 인한 유량파악이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1월의 하천수위는 계측기에 기록된 수위값으로 유량을 산정한 것이다. 3월, 10월, 12월의 유출이 많은 것은 전월말 발생한 강우의 영향으로 크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Liquid Aluminum sulfat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utomation Measurement System (자동화 계측 시스템 설계를 통한 액상황산알루미늄 제조 공정의 개선에 관한 연구)

  • Ryu, Jeong Ta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2 no.5
    • /
    • pp.31-37
    • /
    • 2017
  • In this Paper, we have Improve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Liquid Aluminum Sulfate using the Design of Automated Measurement System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Liquid Aluminum Sulfate uses a Large Weight. The Quality of a Product Depends Highly on the Proportion of the Raw Material Input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Raw Material. For Automation Design, Load Cell Sensor which can Measure Large Weight Accurately and PLC Technology which is most used in Automation Process are Applied. The Content of Aluminum Oxide in the Aluminum Sulfate Produced before the Automation Design Varies from 8.023% to 8.250%. However, after Automation Design, the Amount of Change from 8.09% to 8.19% was Greatly Reduced. As a Result, we could Reduce the Quality Defect rate Due to Weighing Errors and Reduce Safety Accidents by Applying Automation System.

Agricultural Geography of Rice Culture in California (미국 캘리포니아주(州)의 벼농사에 관한 농업지리학적 연구)

  • Lee, Jeon;Huh, Moo-Y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 no.1
    • /
    • pp.51-67
    • /
    • 1996
  • There are three main rice-growing regions in the United States: the prairie region along the Mississippi River Valley in eastern Arkansas; the Gulf Coast prairie region in southwestern Louisiana and southeastern Texas; and the Central Valley of California. The Central Valley of California is producing about 23% of the US rice(Fig. 1). In California. most of the crop has been produced in the Colusa, Sutter, Butte, Glenn Counties of the Sacramento Valley since 1912, when rice was commercially grown for the first time in the state(Fig. 2). Roughly speaking, the average annual area sown to rice in California is about 300,000 acres to 400,000 acres during the last forty years(Fig. 3). California rice is grown under a Mediterranean climate characterized by warm, dry, clear days, and a long growing season favorable to high photosynthetic rates and high rice yields. The average rice yield per acre is probably higher in California than in any other rice-growing regions of the world(Fig. 4). A dependable supply of irrigation water must be available for a successful rice culture. Most of the irrigation water for California rice comes from the winter rain and snow-fed reservoir of the Sierra Nevada mountain ranges. Less than 10 percent of rice irrigation water is pumped from wells in areas where surface water is not sufficient. It is also essential to have good surface drainage if maximum yields are to be produced. Rice production in California is highly mechanized, requiring only about four hours of labor per acre. Mechanization of rice culture in California includes laser-leveler technology, large tractors, self-propelled combines for harvesting, and aircraft for seeding, pest control, and some fertilization. The principal varieties grown in California are medium-grain japonica types with origins from the cooler rice climates of the northern latitudes (Table 1). Long-grain varieties grown in the American South are not well adapted to California's cooler environment. Nearly all the rice grown recently in California are improved into semidwarf varieties. Choice of variety depends on environment, planting date, quality desired, marketing, and harvesting scheduling. The Rice Experiment Station at Biggs is owned, financed, and administered by the rice industry. The station was established in 1912, as a direct result of the foresight and effort of Charles Edward Chambliss of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ow, The station's major effort is the development of improved rice varieties for Californ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