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량서지학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초

학술대회 논문의 참고자료 인용패턴 분석 - 정보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 (A Bibliometric Analysis of Citation Patterns in Conference Papers of Information Science)

  • 이다니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52
    • /
    • 2017
  • 본 논문은 정보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학술대회 논문에서 참고자료를 인용하는 패턴을 분석하고 피인용된 참고자료의 다양한 특성이 추후 그 자료를 참고한 학술대회 논문의 인용수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였다. 참고자료의 인용패턴에 관한 계량서지학 연구는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졌다. 하지만 점점 커지는 중요성에도 학술대회 논문을 대상으로 한 계량서지학 연구는 그 자체가 아직 초기 단계이다. 특히, 학술대회 논문에서 참고자료를 인용한 패턴이나 학술대회 논문의 인용수와 관련이 깊은 피인용 자료의 특성들을 조사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00여편의 정보과학 관련 학술대회 논문을 표본논문으로 삼고 그 표본 논문에서 참고자료가 어떻게 인용되었는지 패턴을 살펴보았다. 또, 참고자료의 다양한 특성들(참고자료의 유형 및 개수, 피인용 당시 참고자료의 인용수, 피인용 당시 참고자료의 나이, 저자의 자기인용 비율)이 표본논문과 추후 얻게 될 인용수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피인용 참고자료의 53%가 학술대회 논문이었고, 29%가 학술지 논문이었다. 특히, 참고자료의 14%가 학술지 논문이나 단행본이 아닌 비전형적인 참고자료의 유형이었다. 그리고 참고자료의 60% 이상이 5년 이내에 발표된 자료이고, 최신자료일수록 학술대회 논문, 웹 페이지, 기타자료의 비중이 높았다. 참고자료 중 자기 인용비율은 1.7%로 미비했다. 마지막으로 표본논문의 인용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참고자료의 특성은 참고자료로 쓰인 학술대회 논문의 수, 기타 자료의 수, 그리고 참고자료의 평균나이였다. 즉, 학술대회 논문과 기타자료를 참고자료로 많이 사용하고 최신의 자료를 많이 참조한 표본논문일수록 많이 인용되었다.

저자서지결합분석을 통한 한중 IT 아웃소싱 연구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IT Outsourcing Research in Korea and China on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 민형진;박성식;김우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1-20
    • /
    • 2020
  •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기법인 저자서지결합분석을 활용하여 2017년까지의 한국과 중국의 IT 아웃소싱 연구들을 분석하여 주요 연구자와 주제 분야를 파악하고 IT 아웃소싱 분야의 지적구조를 확인하여 후속연구자들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자학술데이터베이스인 한국의 NDSL(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과 중국의 CAJD(China Academic Journal network publishing Database)를 통해 IT 아웃소싱 관련 문헌들을 수집하였으며, 문헌게재빈도 2회 이상인 저자들을 파악하고 저자서지결합분석을 통해 연구자와 주제 분야를 파악할 수 있는 저자지도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IT 아웃소싱에 관한 연구는 중국보다 일찍 출현하고 발전하였으며, 한국의 연구는 이미 성숙기에 진입하였고 문헌 분포는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중국은 아직 발전기와 정체기 사이의 과도기에 있으며 문헌 분포는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분산되어 있었다. 저자 군집과 저자 지도에 나타난 주제 분야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IT 아웃소싱 전략이, 중국은 IT 아웃소싱 관리에 대한 연구가 상위저자들에 의해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계량정보학의 지적구조 분석 연구: 2001-2010년 연구영역 분석 (Intellectual Structure and Infrastructure of Informetrics: Domain Analysis from 2001 to 2010)

  • 이재윤;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6
    • /
    • 2011
  • 1990년대부터 계량정보학은 정보학자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는 분야로 발전해오면서 현재 계량서지학, 사이언토메트릭스 등 모든 계량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계량정보학의 역동적인 발전을 조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계량정보학 연구출판물을 기반으로 하여 이 분야의 지적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적용된 기법은 통계적 기법과 프로파일링 기법이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는 SC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으며 2001년부터 2011년까지의 Web of Knoewledge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음과 같은 5개의 질의를 가지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informetrics', bibliometrics', scientometrics', webometrics', citation analysis.' 프로파일링 기법으로 주요 주제, 저자, 저널별로 지적구조도를 제시하였으며 계량정보학 연구를 수행한 주요 국가, 기관, 저자도 분석되었는데 미국과 영국이 이 분야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 M. Thelwall이 10년동안 생산성이 가장 높은 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의 현황 및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esent status and curriculum reform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 in Korea)

  • 박일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7-221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한 후, 이와 개선을 통하여 효율적인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적인 서술방식과 계량적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질적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현황에 근거한 문헌정보학의 최근 동향에 대하여 서술하고, 기록보존 관련과목과 사서교사교육과정과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계량적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는 먼저 문헌정보학을 3개분야 (도서관학, 정보학, 서지학과 기타분야), 15개 세부영역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이 분류방식에 근거하여 준비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구경북지역 내 도서관 현장근무자 및 재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6개의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여러 종류의 기술적, 추리적 통계분석방법과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한 계량적 연구의 주요발견사항을 함께 기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속히 변화되는 사회 및 교육환경에 맞는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개편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 통계학 문헌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A Bibliometric Analysis of Korea Statistic Literaure)

  • 박성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4-130
    • /
    • 1988
  • 본 논문은 계량서지 학적 연구 방법론을 국내 통계학분야에 적용해 봄으로써 국내 통계학자들의 연구 활동 및 통계학분야의 학문적 속성을 수량학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저자의 생산성 및 인용 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문헌으로는 [정기간행문 기사색 인] 1945-1986년호에 수록되어 있는 통계학관련 학술 논문 총 648편의 출판 문헌과 [통계학 연구] 1975-1986년호에 수록된 논문 137편에 인용된 1,171편의 인용 문헌을 선정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10 Lotka 법칙을 통한 통계학 저 자의 생산성 분석에서 Lotka의 상수 $\alpha$=2의 수정없이도 Lotka 법칙이 적용됨을 입증하 였다. 2) Bradford 법칙의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법을 통계학 저자의 생산성에 적용하여 통계학분야의 국내 핵심 저자 17명을 선정하였다. 3) 통계학 인용 문헌의 형태별 분석 결과 잡지가 62.43%, 단행본이 27.07%, 기타 자료가 10.50%로 나타났으며, 언어별 분석 결과 영 어 자료가 96.07%, 한국어 자료가 2.65%, 기타어 자료가 1.28%로 나타났다. 4) Bradford 법 칙의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법을 통계학 인용 저자의 생산성에 적용하여 통계학분야의 핵심 인용 저자 20명을 선정하였다. 5) Brookes의 이용율 감소 법칙을 적용하여 통계학분야 의 인용 문헌의 이용율 감소 현상을 측정한 결과 이용율 감소 인자는 0.917이며 반감기는 7.987년으로 나타났다. 6) Bradford 법칙의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통계 학 인용 문헌의 잡지내 분포를 분석한 결과 S값이 0.566인 Zipf 분포를 이루었다. 7) 통계학 분야에 인용된 잡지를 발행국별로 분석한 결과 미국 자료가 74.28%, 영국 자료가 17.24%, 한국 자료가 4.10%, 기타국 자료가 4.38%로 나타났으며,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주제 자기 인용도는 43.77%, 타 주제에의 의존도는 56.23%로 나타났다.

  • PDF

사회과학, 자연과학기술 및 융복합 분야의 약물중독 연구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비교 분석 연구 (A Comparative Bibliometric Analysis of Substance Use Disorder Research in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Multidisciplinary Field)

  • 남동인;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03-232
    • /
    • 2022
  • 약물중독 혹은 약물사용장애(substance use disorder)는 세계적으로 그 위험성과 유행성이 지속적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수많은 관련 연구들이 진행이 되어왔지만, 이와 관련한 계량서지학적 분석은 미진한 상황이다. 특히, 약물중독과 관련된 다양한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거시적 차원의 계량서지학적 접근법을 활용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힘든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약물중독의 다차원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사회과학, 자연과학기술, 융복합 분야에서의 약물중독 연구 동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002년부터 2021년까지의 약물중독 연구 논문을 Web of Science로부터 검색 후 수집하였으며, SCI(E) 및 SSCI 정보를 토대로 학문 분야를 분류하였다. 저자 키워드 동시출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자연과학기술은 신경정신약물과 보상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이보다는 인구학적 특성이 반영된 약물중독 연구가 수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고, 융복합 분야에서는 이러한 동향을 모두 아우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자 동시인용 분석도 수행을 하였는데, 이를 통해 자연과학기술 분야는 슈퍼 저자들이 관측된 반면,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개인 저자뿐 아니라 기관 저자까지도 인용이 많이 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Smart specialization의 정책적 유용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신상우;박정호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9-333
    • /
    • 2017
  • Smart specialization은 새로운 산업정책의 유용한 아이디어임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논의는 소극적이었다. 이 글은 smart specialization에 관한 논의는 관련문헌에 비해 어떠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어떠한 이론적인 관련성과 정책정 유용성을 가지는가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 전문화의 핵심적인 개념을 계량서지학(bibliometrics)으로 개관한 후, 정책적 유용성에 대해 노정한다. 본 논문의 주된 내용은 스마트 전문화의 장점과 단점을 이론적으로 논의하는 것인데, 이를 스마트 전문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라고 할 수 있다.

  • PDF

국내 건강정보관련 연구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Bibliometric Analysis on Health Information-Related Research in Korea)

  • 김진원;이한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11-438
    • /
    • 2024
  •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여러 영역으로 나누어진 국내 건강정보 관련 연구를 통합적인 시각으로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02년부터 2023년까지의 국내 '건강정보' 관련 논문 1,193편을 수집하여 시기별 동향, 학문분야, 지적구조, 키워드 변화 시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강정보 관련 논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21년 이후 감소하고 있다. 건강정보 관련 연구의 주요 학문분야는 '의공학', '예방의학/직업환경의학', '법학', '간호학', '문헌정보학', '학제간연구'로 볼 수 있다. 건강정보 관련 연구의 지적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단어동시출현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도출된 네트워크의 구조와 군집파악을 위해 병렬최근접이웃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건강정보에 대한 의료공학적 관점'과 '건강정보에 대한 사회과학적 관점'이라는 2개의 대군집을 중심으로 그에 속한 4개의 중군집, 17개의 소군집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문분야와 키워드의 변화 시기를 추적하기 위해 변곡점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공통적으로 2010년과 2011년 사이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평균 출판년도와 단어출현빈도를 통해 전략 다이어그램을 도출하였으며 고빈도 키워드를 '유망', '성장', '성숙'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내용분석 중심의 선행연구들과 다르게 여러 가지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통해 건강정보 관련 연구영역을 통합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계량서지적 기법을 활용한 LED 핵심 주제영역의 연구 동향 분석 (A Bibliometric Analysis on LED Research)

  • 이재윤;김판준;강대신;김희정;유소영;이우형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3호
    • /
    • pp.1-2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계량서지적 기법으로 LED 제조기술 분야의 핵심 연구주체와 동향을 파악하여 관련 연구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최근 10년의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핵심 소주제별 동향 및 핵심 연구자와 연구기관, 주요 국가별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주제 및 기관 차원의 전략 다이어그램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서 효과적인 전략 다이어그램을 도출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일부 LED 생산 기술 부분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차세대 LED 제조 기술과 같은 미래 유망 영역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 차원에서는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LED 분야에 대한 연구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LED 분야에 대한 실제적인 기술 개발은 주로 대기업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LED 분야에 대한 계열화된 기술과 유망 영역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세부 영역별 관련 전문기업에 대한 지원 및 육성과 함께, 공동연구 및 산학협력 등 기관 간 협력활동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의학문헌의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 대한한의학회지를 대상으로 - (Fundamental Study for Bibliometric Analysis of Oriental Medical Literature - Based on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

  • 권영규;변성희;서미령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0-43
    • /
    • 1999
  • This is a fundamental study for bibliometric analysis investigating the general, research, copyright activities and cited literature related to the field of Oriental Medicine,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these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Society over a period of nine years, from 1990 to 1998, We investigated the productivity of national authors, distribution of cited literature and subject analysis about Oriental Medicine and its authors quantitatively, So we were able to reach several conclusions: 1. The rule of Lotka is applied considerably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authors in the field of Oriental Medicine, When it comes to the analysis of national authors it was found that most authors in this field of study published 2 to 10 volumes, likewise other studies. And the rate of co-authorships was high, because most surveys are clinical. 2. When it comes to distribution of cited literatures, independent volumes were cited more than journals. This represents that the citing style of Oriental Medicine has a tendency to follow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3. Scholars in the field of Oriental Medicine mainly tend to cite self-subjects among cited literatures. After analysing self-subjects in this field, the result is that the order of frequency used as cited literatures is as follows: Internal Medicine, Herbology and Oriental Prescription, Acupuncture & Moxibustion. Acupuncture point, and subjects with the circulatory system diseases were mainly cited as far as subordinary subjects of Internal Medic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