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화시멘트페이스트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초

시멘트 경화체의 해수침식에 의한 성능저하 및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n the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of Cement Matric due to Seawater Attack)

  • 문한영;이승태;김홍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75-183
    • /
    • 2001
  • 국내에서 생산되는 5종류 시멘트로 제조한 시멘트 경화체의 해수침식에 대한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2배농도 인공 해수에 각각 400일 및 800일동안 침지시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길이변화를 측정한 결과, 혼합시멘트계 모르타르가 광물질혼 화재의 영향으로 포틀랜드시멘트계 모르타르와 비교하여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XRD분석에 의한 수 화 및 반응생성물의 피크강도비를 살펴보면, 포틀랜드시멘트계 페이스트 중 저열포틀랜드시멘트의 피크강도비가 가장 작았으며, 혼합시멘트계 페이스트의 경우 portlandite 및 brucite의 피크강도비가 포틀랜드시멘트계 페이스트보다 작았다. 인공해수 침식으 로 인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공극량을 수은압입법으로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보통포틀랜드시멘트 페이스트의 총공극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포틀랜드시멘트에 고로슬래그미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혼합한 혼합시멘트계 페이스트의 경우 총공극량이 각각 약 56% 및 약 32 % 정도 저감되는 효과가 있었다.

황산염침식을 받은 실리카 퓸 혼합 시멘트 경화체의 성능 평가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Silica Fume Blended Cement Matrix Exposed to External Sulfate Attack)

  • 이승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21-128
    • /
    • 2007
  • 본 연구는 실리카 퓸을 사용한 시멘트 경화체의 황산염침식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리카 퓸을 시멘트 중량에 대하여 0, 5, 10 및 15%의 4단계로 대체한 모르타르 및 0 및 10%의 2단계로 대체한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침지실험을 실시하였다. 황산나트륨용액에 510일 동안 모르타르 및 페이스트를 침지한 후 재령별 외관조사, 팽창, 압축강도 감소율 및 공극특성을 조사한 결과, 실리카 퓸 대체율에 관계없이 실리카 퓸을 대체한 시멘트 경화체는 황산염침식에 대하여 저항성이 매우 우수하였으나,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모르타르 및 페이스트는 황산염침식에 의한 극심한 성능저하 현상이 관찰되었다.

나노 섬유를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미세구조와 강도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Strength and Microstructure of Hardened Cement Pastes Including Nanofibers)

  • 응유옌 트리;김정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177-18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혼합된 나노 섬유가 경화된 시멘트페이스트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2종류의 나노 섬유를 사용하였다. 나일론 66 나노 섬유와 카본 나노 튜브로 보강된 나일론 66 나노 섬유를 전기방사로 제작하여 시멘트 파우더에 각각 혼합하였다. 물-시멘트비 0.5의 시멘트 페이스트 시편을 제작하고 28일간 양생하였다. 실험 결과, 나노섬유의 혼합이 시멘트 페이스트 시편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나노 섬유의 보강 매카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전계방사 투과전자 현미경(FE-TEM) 분석 및 열 중량 분석(TGA)을 수행하여 나노섬유를 포함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미세 구조를 분석하였다.

경화촉진제와 조강시멘트를 사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발현에 대한 기초적 연구 (Fundamental Study on the Strength Development of Cement Paste using Hardening Accelerator and High-Early-Strength Cement)

  • 민태범;조인성;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7-41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 조강 콘크리트 개발에 앞서서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경화촉진제에 대한 역학적 성능평가 및 미세분석을 통하여 시멘트 페이스트 내에서 경화촉진제의 성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상온양생 하에 $C_3S$를 다량 함유한 조강시멘트와 경화촉진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재료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경화촉진제는 시멘트와의 수화반응시 Ca이온의 포화도를 높여 초기에 $Ca(OH)_2$를 생성 시키는 것을 시차열 분석법으로 검정 하였다. 또한 $C_3S$의 수화생성물이 모세관 공극을 채워 공극률 또한 빠른 시간내에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미소수화열측정시험기로 실험을 한 결과 경화촉진제를 1, 3% 혼입하였을 경우에는 조강시멘트에 비해 1차 피크점이 사라지기 전 이미 2차 피크점을 향해 수화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촉진제를 첨가함에 따라 시멘트성분 중 $C_3S$의 수화속도를 촉진 시킨 결과로 판단 할 수 있다. 수화 생성물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서 SEM찰영을 한 결과 촉진제의 첨가량에 따라 $Ca(OH)_2$의 생성과 재령에 따라 C-S-H의 형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경화촉진제는 초기강도발현 시키는 것에 대해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3A함유량이 세공용액 Cl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3A Content on Chloride Concentration in Pore Solution)

  • 소승영;박홍신;소양섭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9-96
    • /
    • 1995
  • 본 연구는 시멘트 경화체 중의 Cl 고정화 메카니즘을 규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시멘트의 C3A 함유량에 따른 Cl 고정화 효과를 세공용액 분석방법에 의해 조사한 것으로 C3A함유량 0.46 9.65%의 4가지 시멘트와 C3A를 함유하지 않은 초속경 시멘트 페이스트를 밀봉용기내에서 양생시켜 재령 28일에 세공용액을 추출하여 세공용액 중의 Cl 과 OH 농도를 측정, C3A함유량이 Cl 고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 세공용액 중의 Cl 농도는 NaCl 혼입량에 관계없이 시멘트 중의 C3A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져 시멘트 경화체 내에서 Cl 의 고정화에 C3A가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세공용액의 Cl /OH 는 Cl 혼입량이 시멘트 중량의 0.3%인 경우 강재부동태막을 파괴하는 0.3보다 낮았으며 X선회절분석에 의해 C3A에 의한 고정화 메카니즘은 프리델씨염(Friedel's salt)의 생성에 의함을 확인하였다.

경화촉진제와 조강시멘트를 사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조기강도 발현 메커니즘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Early Strength Development Mechanism of Cement Paste Using Hardening Accelerator and High-Early-Strength Cement)

  • 민태범;조인성;이한승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84-92
    • /
    • 2014
  • 본 연구는 조강시멘트와 경화촉진제를 사용하여 조기강도 발현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경화촉진제는 시멘트와의 수화반응시 $Ca(OH)_2$의 촉진시키는 것을 TG/DTA 실험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압축강도 측정결과 경화촉진제의 사용량이 증가 할수록 초기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소수화열 측정결과 경화촉진제는 시멘트의 성분중 $C_3S$의 수화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XRD분석결과 재령별 수화생성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경화촉진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수화물들의 피크점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EM찰영을 한 결과 촉진제의 첨가량에 따라 $Ca(OH)_2$의 생성과 재령에 따라 C-S-H의 형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경화촉진제는 초기강도발현 시키는 것에 대해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멘트 경화체의 반투과성에 따른 삼투압의 발생에 관한 검토 (Osmotic Pressure Induced by Semi-Permeability of Hardened Cement Paste and Cement Mortar)

  • 배기선;김용로;박선규;김무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160-165
    • /
    • 1999
  • Osmotic pressure induced by semi-permeability of hardened cement pasts and cement mortar was studied, which was considered to be a cause of failure such as separation and blistering of floor coatings or wall coatings from the concrete substrate. The specimens with a water cement ratio of 45, 60 and 75% were installed between the solution of sodium chloride and distilled water. First, we measured water flux from distilled water to sodium chloride and the ion flux of Na+ and Cl- through the specimens. Then, we measured osmotic pressure induced by semi-permeability of the specimens using an apparatus which was specially developed for this study. It was made clear that hardened cement paste and cement mortar have properties of semipermeability, and the osmotic pressure is closely related to their water cement ratio. Finally, we calculated the osmotic pressure according to Staverman's equation, which was obtained for organic membranes, and tried to explain quantitatively the observed pressure.

  • PDF

시멘트 경화체 중에서의 C1-의 확산과 세공용액의 pH에 미치는 혼화재의 영향 (Influence of Blending Materials on C1- Diffusion and pH of Pore Solution in Cement Pastes)

  • 김남중;최상흘;정재동;한기성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7-106
    • /
    • 1992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수쇄고로 슬래그, 플라이 애쉬, 실리카흄 등을 치환첨가한 시멘트 페이스트 경화체를 통한 C1-이온의 겉보기 확산계수를 구하고 경화체에서 추출한 세공용액의 C1-이온의 결합능력을 구하였다. C1-이온의 확산계수는 W/C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혼화재를 치환첨가한 경우 감소하였다. 세공용액의 C1-이온의 농도 및 OH-이온의 농도도 혼화재의 첨가로 감수하였다.

압축 유동하에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변학적 거동에 관한 모델링 (Modeling on Rheological Behavior of Cement Paste under Squeeze Flow)

  • 민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05-413
    • /
    • 2020
  • 압축 유동하에서 측정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직 응력은 변형률의 증가에 따라 변형률이 0.0003에서 0.003 사이 구간인 탄성 고체 구간과 변형률이 0.003에서 0.8 사이 구간인 변형률 경화 구간으로 나누어진다. 두 구간 중 변형률 경화 영역에서 유변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모델링 식이 제안되었다. 첫째, 유체 거동의 관점에서, 지수법칙 일관성 지수 m=700 및 멱지수 n=0.2를 갖는 지수법칙 비뉴토니언 모델이 적용되었다. 적용 결과는 탄성 고체 구간을 제외하고는 실험 결과와 좋은 일치를 보여주었다. 둘째, 연성 고체 거동의 관점에서 힘 평형 모델이 적용되었으며, 하중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시멘트 페이스트 표면 간의 마찰 계수가 실험데이터에 반구간탐색법을 적용하여 변형률의 다항식으로 도출되었다. 적용 결과는 변형률이 0.003에서 0.3 사이 구간인 중간 영역에서만 실험 결과와 좋은 일치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압축 유동 하의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변학적 거동은 변형률 경화 구간에서 연성 고체 거동의 관점보다는 지수법칙 비뉴토니언 유체 거동의 관점에서 실험 결과와 더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CO2 반응경화 시멘트를 혼입한 페이스트의 탄산화 양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arbonation Induction in Paste with CO2 Reactive Cement)

  • 김영진;류동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79-80
    • /
    • 2023
  • After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as global warming caused by environmental issues has intensified, the CO2 emissions from the cement industry have become an urgent challeng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duce and utilize CO2 emissions by using CO2-reducing Calcium Silicate C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