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화수지처리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Mixing Ratio and the Survey of the Current Situation for Epoxy Resin used in Conservation (문화재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에폭시수지의 사용현황과 배합비율에 따른 물성 변화 연구)

  • Lee, Eun Ji;Jang, Sung Yoo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2 no.2
    • /
    • pp.223-234
    • /
    • 2016
  • Two-component epoxy resin is widely used in the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field. However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resin and hardener, curing property, mechanical strength and chemical structure differ which have possibility to effect the stability of cultural heritag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shows hands-on workers in the conservation field tend to mix the epoxy resin with his or her eye measurement when the using amount is small or mix additional hardener to shorten the pot life of epoxy resin.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uring property, mechanical strength and chemical structure of rapid curing type epoxy resin and medium curing type one depending on relative ratio of 0.25~4 of hardener to resin. When the amount of hardener was 0.5~2 times more than the resin, exothermic heat and curing speed were both increased. In case of included hardener to resin was lower than official ratio, mechanical strength (tensile shear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compressive strength) became higher along with active cross-linking bonding of the epoxy resin. Medium curing type epoxy relatively had lower exothermic heat and slower reaction during curing process. It was observed to be put to definite point of mechanical strength under lower content of hardener than official ratio. While, hardener ratio more than twice the resin slowed down the curing greatly and lowered the adhesion strength also. In conclusion, under the lower mixing rate of hardener than official ratio would show relatively fast reaction with similar mechanical strength. Over the official ratio on the other hand, material property drops rapidly. Accordingly, mixing ratio of epoxy resin is expected to be influential to the stability of cultural heritage.

Synthesis of Water Soluble Anti-Static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for PVC Floor (수용성 대전방지제의 합성 및 이를 이용한 PVC 바닥재 코팅)

  • 이도현;하진욱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73-7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무용제 타입의 알킬(alkyl)기를 가진 친수성 4차 암모늄염인 대전방지제(Ultramer 5530)를 합성, 유/무광 수용성 수지와 배합하여 PVC 바닥재에 열경화 코팅을 행하였다. 대전방지 코팅액은 Ultramer 5530을 광택조절이 가능한 유/무광 수용성 수지에 무게 기준으로 5-20 wt%(이하 ‘part’로 표기)범위로 첨가,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대전방지 코팅 처리전 PVC 바닥재의 표면저항은 10/sup 12/Ω이었으나 코팅 후 표면저항은 유광 수지의 경우 최대 10/sup 8/Ω, 무광 수지의 경우 최대 10/sup 6/Ω까지 감소하였다. 유/무광 수지 모두 경화조건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Ultramer 5530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코팅된 PVC 바닥재의 표면저항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경화온도 l00℃에서 1분간 경화한 콜이도막은 Ultramer 5530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저항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경도 및 부착률 등의 코팅도막 물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물성 저하는 경화온도를 80℃로 낮추고 경화시간을 20분으로 늘리면 해결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PVC 바닥재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도막의 물성은 Ultramer 5530의 첨가량을 8 part로 하고 120℃에서 1분간 열경화를 시켰을 때 가장 좋았다.

The present state and developing trend of the vacuum/automatic pressure gelating resin-casting technology for electric applications (전기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진공/자동가압 겔화 수지-주형기술의 현황과 개발동향)

  • 왕종배;정일형;김재환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7 no.1
    • /
    • pp.64-72
    • /
    • 1994
  • 본 고는 현재 전기적 응용을 위한 수지 절연물의 진공/가압 수지-주형처리 분야에서 가장 앞선 기술과 연구개발력을 보유하고 있는 스위스의 Ciba-Geigy사와 최신의 진공성형 시스템을 개발, 생산하고 있는 독일의 Hedrich사 및 진공주형/자동가압 성형장비를 생산하는 스위스의 Vogel사 등을 최근에 방문하여 Epoxy, Polyurethane, Polyester 및 Silicone 수지 등의 수지절연시스템을 가지고 구조적으로 기포가 없으며 전기적, 기계적, 열적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매끄러운 표면이 요구되는 수지 mold제품을 생산하는데 적용되고 있는 진공 수지-주형처리기술의 현황과 아울러 경화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생산자동화가 가능한 최신의 자동가압겔화(Automatic pressure gelation)/주입몰드공정(Injection molding process)의 특징 및 기술개발현황에 대해 파악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Hydrogenated Bisphenol-A Epoxy Resin/Inorganic Additives Composites for Stone Conservation by Controlling Their Composition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HBA계 에폭시 수지/무기 첨가물 복합체의 혼합조건에 따른 성능 개선 연구)

  • Choi, Yong Seok;Lee, Jung Hyun;Jeong, Yong Soo;Kang, Yong Soo;Won, Jongok;Kim, Jeong-Jin;Kim, Sa Dug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8 no.3
    • /
    • pp.265-276
    • /
    • 2012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BA epoxy resins were controlled by varying hardener mixture and reactive diluent to improve applicability for stone conservation. The epoxy risen comprises hydrogenated Bisphenol-A based epoxide (HBA), fast curing agent (FH), slow curing agent poly(propyleneglycol)bis(2- aminopropylether) (SH) and difunctional polyglycidyl epoxide (DPE). Talc was used as an inorganic additive. The changes in viscosity and temperature during curing reaction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epoxy resins were investigated. Additionally, bending, tensile and adhesive strengths were measured to identify the effective mechanical strength in stone conservation. Finally various compositions of epoxy resin/inorganic additives were developed for stone conservation by controlling cure kine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Stress intensities at the interface corner of the co-cured lap joint with composite and steel adherends (복합재료와 강재료를 이용한 동시경화조인트의 계면 모서리에서의 응력집중계수)

  • 신금철;이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Conference
    • /
    • 2003.04a
    • /
    • pp.83-86
    • /
    • 2003
  • 동시경화조인트는 경화 시 복합재료로부터 흘러나오는 수지를 접착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간편할 뿐 아니라 복합재료를 표면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접착제에 의한 접합방법에 비해 장점을 지닌다. 최근 동시경화조인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해석적인 방법을 통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하다. 실험적으로 연구된 결과를 보면 동시경화 조인트는 계면 모서리에서 파괴가 시작되어 계면을 따라 파괴가 진행된다. 그러므로 조인트의 계면 모서리에서의 응력집중계수에 관해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유치 문제를 고려하여 복합재료와 강재료로 구성된 동시경화조인트의 계면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응력 및 변위장을 결정하고, H-적분을 이용하여 응력집중계수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hysical Properties of Epoxy Resin Filled with Surface-treated Silica : II. Properties of Cured Epoxy Resin (표면처리 실리카를 충전한 에폭시 수지계의 물성에 관한 연구 : II. 에폭시 수지 경화물의 물성)

  • Hong, Suk-Pyo;Choi, Sang-Goo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 no.2
    • /
    • pp.232-239
    • /
    • 1990
  • ${\gamma}$-Glycidoxy propyl trimethoxy slilane, CTBN rubber(carboxyl 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 rubber) and GMA(glycidyl methacrylate) were reacted with the surface of silica one by one in existence of TEA(triethylamine) or BPO(benzoyl peroxide). The amount of reactant was 2.5~5.8% of treated silica weight. The treated silica was mixed with epoxy resin and MTHPA(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 in the range of 0~60% (wt. %) of total component. The flexural and thermal properties were tested for cured products. In filler content 35~55%, the using of silica treated with silane/rubber or silane/rubber/vinyl represented 25% higher flexural strength, 5% lower flexural modulus and 13% higher than mixing liquid rubber 3% with epoxy resin containing untreated silica.

  • PDF

Surface Melting and Alloying Process for Surface Hardening of Aluminum Alloys (표면용융합금화법에 의한 Al합금의 후막표면경화기술의 현상)

  • ;中田一博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4 no.2
    • /
    • pp.10-18
    • /
    • 1996
  • Al합금과 경합을 하는 경량재료에는 금속재료로서는 Mg 및 Ti이 있는데, 이들 은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또 비금속재료로는 플라스틱.수지등이 있는데, 산업폐기물 등의 문제가 있으나, Al합금은 재활용이 용이하다. 그러나 구조재료로서의 Al합금의 특성에는 아직 많은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큰 결점의 하나는 철강재료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점이 개선된다면, Al합금은 경량구조용 재료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철강재료를 대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Al합금에 대한 내마모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종래의 표면경화기술로서는, 고경도합금 의 채용, 알루마이드처리등이 있는데, 충분한 경도가 얻어지지 않거나, 또는 고경도가 얻어져도 경화층의 깊이가 마이크론단위에 불과하여 고하중하에서의 내마모특성 등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 이들 방법 이외에도 PVD, CVD, 도금 등에 의한 표면피복 방법과 표면의 합금화에 의한 표면경화법 등에 있어서 여러 방법들이 있으나, 경도가 높고 또한 후막의 경화층으로서 박리의 위험이 적은 표면경화처리기술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이 산업계로부터 강하게 요구되 고 있으며, 또한 이것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해설에서는. 내마 모특성에 따른 Al후막기술의 현상과 그 대표적인 기술로서, 표면용융에 의한 합금화 를 이용하는 표면경화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 PDF

Recent progress and development of surface coated steels in posco (포스코의 철강 표면처리 기술개발 현황)

  • Ju, S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5-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가전 및 건설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요 표면처리강판에 대한 제품 소개 및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포스코에서는 자원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종래 아연도금 강판보다 더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고내식 합금도금강판을 개발을 추진하여 양산개발에 성공 하였으며 박막형 고내식강판 개발을 위해 신공법인 진공증착기술을 접목한 제품생산 프로세스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성의 유기수지코팅 제품인 흑색수지강판, UV 경화코팅 강판, 프린트강판, self-healing 및 self-cleaning 강판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산업과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과 제품개발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rol and Removal of Formaldehyde for the Urea-formaldehyde Resin Bonded Plywood -Adhesive control- (요소수지접착합판(尿素樹脂接着合板)의 유리(遊離)포름알데히드 방산(放散)제거 및 조절방법에 대한 비교연구(比較硏究))

  • Lee, Hwa-Hyo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9 no.3
    • /
    • pp.16-23
    • /
    • 1981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make a comparative study for the adhesive control methods specifically developed for application to formaldehyde. The method for formaldehyde determination used in this report is the improved chromo tropic acid determin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oaking treatment in aqueous solution of urea wok the most scavenging effect on the formaldehyde release from a plywood sample glued with a urea formaldehyde adhesive, and other removal treatment such as resorcinol, albumine-, and hardener-treatment gave significant reduction too. 2. In glue shear strength of dry test, 2% of resorcinol treatment and soaking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strength and all the other treatment met the standard, but in hot water soaking test, 2% of resorcinol treatment gave the best results, on the other hand, adding the hardener showed the lowest strength and failed in meeting the standard. 3. Air dried moisture content of all treated plywood met the standard which calls for 13% or bellow. 4. In this comparative study, we can make a strong combination each other or go into the details of one treatment for the best result through the more study.

  • PDF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Halosite Nanotubes with Silane Coupling Agent (실란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개질한 할로이사이트 나노튜브가 함유된 에폭시 조성물의 열적·기계적 물성)

  • Kim, TaeHee;Lim, Choong-Sun;Kim, Jin Chul;Seo, Bongkuk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18 no.2
    • /
    • pp.68-74
    • /
    • 2017
  • Epoxy resins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due to their excellent thermal,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poxy composition after curing, various materials are mixed in the epoxy resin. Among the nano materials, CNT is the most widely used. However, CNT has limitations in terms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naturally occurring HNTs having similar structure to that of CNT. In this study,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ions containing HNTs treated with two types of silan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ilane-treated HNT were measured by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thermomechanical analysis (TMA) were used to measure thermal properties. As a result of the above tests, when the HNT was surface-treated with aminosilan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epoxy composition containing the H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poxy composition containing epoxy silane treated HNT. The linear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CTE) obtained from the thermomechanical analysis of the two epoxy compositions for the comparison of dimensional stability showed that the HNT composition treated with aminosilane showed a lower value of CTE than that of epoxy composition including the pristine H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