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향면분석

Search Result 75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Operating License Renewal for Power Plant in USA (미국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인가 갱신에 관한 분석)

  • CheonYeop, O-Rang
    • Nuclear industry
    • /
    • v.28 no.3
    • /
    • pp.50-59
    • /
    • 2008
  • 미국의 원자력발전소는 당초 인가된 운전 기간은 40년이었으나 지금까지 많은 발전소가 운전 인가 갱신에 의해 운전 기간을 20년 연장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발전소의 장기 운전을 가정한 고경년화 대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전력 회사는 고경년화 기술 평가 등 보고서를 작성하여 국가의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분석에서는 경년 열화(經年劣化) 대책 상황을 조사하여 미.일 양국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미국과 일본의 진행 방법, 배경, 노력(努力) 및 심사 기간 등에 다른 면이 있으나 미.일 모두 60년간의 장기 운전을 예정한 기기 등의 건전성 확인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면에서는 다름이 없다. 또, 원자력안전시스템연구소(INSS : Institute of Nuclear Safety System)의 해외 부적절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경향 분석을 하고, 운전 인가 갱신신청의 유무가 기기 등의 경년 열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분석 평가를 했다. 그 결과 인가 갱신 미신청 Unit에 경과년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경년 열화 과실 발생 건수가 증가되는 향이 있는 것을 알았다. 이에 의해 미국의 인가 갱신 제도가 발전소의 고경년화 대응에 유효하게 기능하고 있다고 생각되어, 동등한 제도를 운용하고 있는 일본의 고경년화 대책의 유효성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 PDF

Feminization of Poverty : its Trends and Causes (빈곤의 여성화(feminization of poverty) : 경향 및 원인)

  • Hong, Baeg-Eui;Kim, Hye-Yo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9 no.3
    • /
    • pp.125-14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s under process in Korea and what factors are key determinants of these trends.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from 1998 to 2005 is used and the sample includes all individuals who aged 18 or m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s still under process since 1998 and the economic status of females is getting worse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Regarding the causes of these trends, the level of education and type of employment a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explaining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n cross-sectional data analysis. In the longitudinal analysis, however, the number of persons in households and the number or working person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nact social policies preventing discriminations against females in the labor markets and to introduce social welfare benefits for females based on citizenship. In addition, the welfare benefits for the elderly are also necessary because their economic status is the worst among all age groups.

  • PDF

Comparis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Oceanic Buoys and Satellite Microwave Measurements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한반도 서해 연안 해역에서의 해양 부이 관측 수온과 위성 마이크로파 관측 해수면온도의 비교)

  • Kim, Hee-Young;Park, Kyung-A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9 no.6
    • /
    • pp.555-567
    • /
    • 2018
  •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ifferences between microwave SST from GCOM-W1/AMSR2 and in-situ measurement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a total of 6,457 collocated matchup data were produced using the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from marine buoy stations (Deokjeokdo, Chilbaldo, and Oeyeondo) from July 2012 to December 2017. The accuracy of satellite microwave SSTs was presented by comparing the ocean buoy data of Deokjeokdo, Chilbaldo, and Oeyeondo stations with the AMSR2 SST data more than five years. The SST differences between the microwave SST and the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showed some dependence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speed and water temperature. The AMSR2 SSTs were tended to be higher than the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during the daytime when the wind speed was low ($<6ms^{-1}$).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positive deviation increasingly as the wind speed increased for nighttime. In addition, increasing tendency of SST differences was related to decreasing sensitivity of microwave sensors at low temperatures and data contamination by land. A monthly analysis of the SST difference showed that unlike the previous trend, which was known to be the largest in winter when strong winds were blowing, the SST difference was largest in summer in Deokjeokdo and Chilbaldo buoy stations. This seemed to be induced by differential tidal mixing at the collocated matchup points. This study presented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use of microwave SSTs with high contribution to the SST composites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f the Korean peninsula.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El-Nino and Winte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Korea (엘니뇨와 한국의 겨울 기온 및 강수량과의 상관에 관한 연구)

  • Min, Woo-Ki;Yang, Jin-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4 no.2
    • /
    • pp.151-164
    • /
    • 1998
  • I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l-Nino phenomenon and our country'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laying the stress on the anomaly, an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extraction of the occurrences of El-Nino at the place of sea surface around Nino.3 which was known as the sea area under observation for El-Nino reveals that there are 9 years (1969, 1970, 1973, 1977, 1987, 1992, 1995, 1998) when the temperature anomaly in January is more than 1.0 during the period of research years ($1969{\sim}1998$). (2) The tendency of chan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Nino.3 and that of our country are about the same, but the anomaly of Pusan and Inchon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Jangki in the East Coast. (3) The anomaly of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Nino.3 and that of the ground temperature showed the similar changing tendency, the temperature of our country has something to do with that of sea surface as the correlation of ground temperature with the temperature of sea surface showed 0.31. Anomaly warm winter has something to do with El-Nino because the temperature of our country was high when El-Nino phenomenon appeared. (4) As for the precipitation, we can see that it has generally increased after 1989 when the phenomenon of warm climate was intense than before that year. But as we study the change of anomaly, the precipitation has less correlation in comparison with the ground temperature. The precipitation in 1973, 1983 and 1987 which were El-Nino years was correlated with El-Nino. While the chan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has showed a tendency of plus(+)increase since 1990, the precipitation has showed a tendency of minus (-)decreas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temperature of sea surface has littl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rainfall.

  • PDF

Prediction of Potential Shoreline Retreat by Sea Level Rise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선의 잠재적 후퇴거리 산정)

  • 손창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1 no.1
    • /
    • pp.34-40
    • /
    • 1999
  • Models of beach response due to sea level rise were verified by experiments and potential shoreline retreat around Korea and Japan was predicted. Wave tank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not only static retreat by water level rise but also additional retreat by wave 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otal retreat and additional retreat becomes important on the condition of high waves. The result of long-term analysis of tidal data over past 3 decades shows the tendency toward rise by an average of 1.79 mm/year, which is the result of rise in 29 regions and fall in 12 regions. Based on analyzed rate of long-term sea-level rise, potential shoreline retreats of study area after 50 years were calculated and the result shows serious loss of beach.

  • PDF

l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of Future Extreme Rain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비정상성을 고려한 한반도 미래 극치강우 빈도해석)

  • Jeong, Min Su;Yun, Seon-Gwon;Oak, Young Suk;Lee, Young Sub;Jung, Jae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2-162
    • /
    • 2018
  • 지난 100년간(1996~2005년)의 전지구 평균 온도는 $0.74^{\circ}C$ 상승하였고 이러한 온도 상승은 온실효과의 영향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장래에는 이러한 상승 경향이 가속화되어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IPCC 2014; Baek et al 2011). 전지구 기온 상승은 극한 해수면 증가 및 호우 빈도와 평균 강수량 증가로 나타나며, 이로 인한 상당한 홍수 및 침수피해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GCMs 모델별 연 최대 일 강수량을 추출하여 정상성 및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수행하고 빈도별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였다. 정상성 및 비정상성 분석을 위해 모델별 연최대치 일강우 자료를 산정하고, 모델별 경향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모델별로 2021년부터 30년을 기준으로 1개년씩 자료이동을 통해 30세트를 구성하고, 각 세트별 80mm 이상의 강우의 평균 발생횟수 및 여름철(6월~9월) 평균 강우 총량의 산정을 통해 순위 도출에 적용하였다. 경향성 검정 및 순위도출 결과를 토대로 8개 GCMs 자료 중에서 4개의 GCMs를 선정하였고, 시나리오별 세트구성에 따른 연 최대 일 강우량의 평균 및 Gumbel 분포형의 위치 및 축척매개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위치 및 축척 매개변수 추정에 따른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연구경향 분석

  • Kim, Yeong-Jun;Wa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873-900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이론을 통해 원자력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의 경향적 특징을 파악하고, 동 분야의 주요 연구주제와 하부 연구분야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195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분야 연구논문 605건으로, 저자가 제시한 키워드 간 관계망 형성을 통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에서 수행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연구의 기술통계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원자력 사회과학 연구는 1957년부터 시작되어 꾸준히 수행되어졌는데, 2011년을 기점으로 논문발표가 급격히 증가했다. 주로 법학, 행정학, 정책학, 정치학의 연구가 대학 내 연구자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다. 원자력 관련 기술개발이 주로 정부 출연연구기관에서 수행된다는 점을 고려 했을 때, 향후 사회과학 분야에 있어 대학과 출연기관 간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둘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 2011년을 기점으로 사회과학의 원자력에 관한 연구가 양적, 질적으로 본격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지식 네트워크는 2011년 이전에 비해 규모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결과, 후쿠시마 사고 이전 사회과학 연구자들의 연구경향은 핵비확산, 과학기술 정책, 사회수용성이었다면, 후쿠시마 이후에는 원전해체, 손해배상, 에너지믹스, 탈핵운동 등과 같은 다양한 원자력 현안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하부 연구분야 도출을 통해 특정 연구주제별 쏠림현상을 확인했다. 하부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제시된 9개의 하부 연구분야는 네트워크 속성 값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법학 관련 연구주제가 가장 높은 밀도를 갖는 반면 지속가능 발전과 에너지 믹스 관련 연구주제의 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자력에 관련된 학자의 인식을 연구경향 분석을 통해 파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는 추후 원자력 관련 정책연구자 혹은 정책결정자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of Practical Classes for Students Majoring in Radiology in a Non-face-to-face Class Environment (방사선학 전공 학생의 비대면 전공 실습 수업에 대한 학습효과와 만족도에 관한 고찰)

  • Sung-Jin, K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6 no.7
    • /
    • pp.995-100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ractical course operation in a non-face-to-face online environment, learning effects, and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for radiology major students using a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34 items in 5 are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urrent learning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environments,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s, improvement and requirements. For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ponse frequency, ratio, and scale for each item.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respondents, cross-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test for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learning, learning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mplemented. Improvements and requiremen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for the repetition frequency of words with the same meaning. Throug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ponses of a total of 397 questionnaires, the direction of design and development of practical classe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in the future and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efficient operation were confirme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think and make effort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non-face-to-face practice classes in the post-corona era.

Analysis of Backwater Effect due to Group of Piers (군교각에 의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분석)

  • Kim, Chu-Hwang;Yoon, Byung-Man;Ryu, Kwon-Kyu;Ko, Taek-J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56-1260
    • /
    • 2006
  • 하천 복개나 하상 도로 등 교각이 밀집된 군교각은 홍수시에 큰 수위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군교각에 의한 배수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경우에 대한 실험과 2차원 수치 모의를 수행하였다. 수리 실험은 수치 모형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교각 배치 경우에 대해서는 수치 모의를 위주로 분석하였다. 수리 모형 실험을 통하여 2차원 수치 모형인 RMA-2의 신뢰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이 모형은 교각에 의한 수위 상승 효과를 상당한 정확도로 모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군교각에 의한 수위상승 인자를 흐름 횡단면 교각 수, 흐름 방향의 교각 간격, 흐름방향의 교각 수로 선정하여 이들 변수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경우에 대하여 수리 실험과 수치 모의를 병행하였다. 단일 횡단면의 교각 수 증가에 따른 배수위 상승은 횡단면의 차단율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다가 차단율이 어느 정도 이상에 이르면 수위 상승이 매우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흐름방향 교각 수 증가에 따라 배수위는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교각에 의한 상호 간섭 및 중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흐름방향 교각 간격을 증가시켜도 배수위 상승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교각의 지름의 약 9배 (9D) 이상 떨어진 다음부터는 배수위 상승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군교각은 교각 지름의 9배 정도 떨어진 경우 배수위 상승 효과가 중첩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부유성 HNS의 근접영역의 확산 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 Go, Min-Gyu;Jeong, Chan-Ho;Lee, Mun-Jin;Jeong, Jeong-Yeol;Lee, Seong-Hyeok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7.11a
    • /
    • pp.162-163
    • /
    • 2017
  • 해양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의 유출 사고 시, 막대한 인명 피해와 환경 훼손을 피하기 위해 유출 사고 조기 예측과 정확한 확산 경로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HNS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위험구역을 적절히 예측할 수 있는 수치해석기법을 개발하고, 다양한 해양사고조건과 환경영향을 고려하여 근접역에서의 2차원 확산 특성을 고찰하고 확산 현상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코드인 ANSYS FLUENT(V. 17.2)을 사용하여 근접역에서의 2차원 확산특성을 모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누출된 HNS의 위치별 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종수송방정식(Species Transport Equation)을 이용하였으며 RANS(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과 표준 $k-{\varepsilon}$ 모델을 이용하여 난류유동을 모사하였다. 해석된 결과는 문헌에서 얻어진 실험데이터와 상호비교하였으며 해수의 유속, HNS의 밀도에 따른 유층 두께, 해수면 HNS 평균 농도 그리고 HNS 전파 속도를 분석하였다. 유층 두께는 해류 유속에 따라 변화하며 변화 경향에 따라 두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해류 전파 속도는 대체로 해류 유속과 선형적 비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 평균 HNS 농도는 해류 유속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감소하며, HNS 밀도가 큰 경우 해수면 평균 HNS 체적 농도는 더 빠르게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HNS 확산 특성을 분석하고 관련된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