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찰위원회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71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Korea Police Committee - Focus on the National Police Committee - (우리나라 경찰위원회의 개선방안 연구 - 국가경찰위원회를 중심으로 -)

  • Lee, Young-Woo;Jang, Su-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13-114
    • /
    • 2021
  • 우리나라 경찰은 광복 이후 경찰제도가 국가경찰제도로 자리 잡아 오랜 기간 동안 중앙집권적 경찰제도로 운영되어 왔으며, 1991년 「경찰법」의 제정으로 경찰위원회가 설립되었다. 경찰위원회는 경찰행정과 관련된 주요 정책 등을 심의·의결하는 기능을 가진 합의제 행정기관이지만 본래의 경찰위원회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단순 자문기관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2020년 12월 「경찰법」 전부개정안이 통과되어 법이 개정됨에도 불구하고 국가경찰위원회의 운영과 구성에 있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경찰위원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lice Committee System in Korea - Focus on the National Police Committee -

  • Lee, Young-Woo;Jang, Su-Ye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3
    • /
    • pp.143-146
    • /
    • 2021
  • Korean police have been established as a national police system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and have been operated as a centralized police system for a long time, and a police committee was established under the enactment of the Police Act in 1991. However, the National Police Commission has a problem that it cannot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original National Police Commission because it is only a simple advisory body, not an institution that reviews and decides major policies related to police administration. As a result, despite the passage of a full amendment to the Police Act in 2020 and the revision of the Act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National Police and Local Police, operational and compositional problems still exis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and problems of the police committee system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A Study on the new autonomous police system in Korea

  • Oh, Yoon-Sung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13
    • /
    • pp.551-575
    • /
    • 2007
  • 한국에서의 경찰제도는 국가경찰의 형태로 운영되어와 획일적이고 중앙집중식의 경찰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전반적으로 있어왔다. 그러나 지역주민의 의사에 따른 자율규율에 의한 다원적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지난 1995년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지방의회 의원의 동시선거가 시행되어 온 이래 10여년이 흘렀다. 그러나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기 이전부터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자치경찰제에 있어서 주요쟁점의 핵심사항은 자치경찰제를 도입하는 것의 득실관계라고 볼 것인데 이는 관점과 어느 측면에 중점을 둘 것인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지방자치의 존재 이유 중에는 주민 복지적 차원에서 주민의 안전보호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자치경찰제는 수사권독립과 함께 지난 몇 대에 걸친 각 대통령의 선거공약이었기 때문에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정부는 지방분권차원에서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에서 여러 가지 검토를 해 온 바 있다. 2004년 1월에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의 지방 분권과제 주요과제로 자치경찰제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위원, 관계 공무원 10명으로 자치경찰 T/F를 구성하여 운영한 이 후 자치경찰제 도입방안에 대하여 경찰정과 실시 단위 및 수행 사무 등 주요 쟁점에 대해 협의하면서 실천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스페인, 프랑스, 이태리, 그리스 자치경찰기관을 현지 방문하여 외국 자치경찰 제도를 조사한 후 2004년 9월 중순에 자치경찰(안)을 발표하였다. 이 안은 크게 경찰을 사법경찰과 행정경찰로 구분하는 개념 하에 최초로 나온 자치경찰제에 대한 구체적 시행 안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나 지금까지의 기대수준에 과연 부응하는 안이 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동 사안은 2005년 하반기에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민선 4기 자치단체장이 출범하는 2006년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시행될 것으로 발표하고 발표와 동시에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에서는 본 자치경찰제 기본방향과 법안제정의 원칙과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홍보를 하였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아직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과연 이 안이 한국에서의 자치경찰제 시행에 효과적인 안인가 그렇지 않으면 대선공약을 지키기 위한 일종의 정치적 고려를 한 졸속적인 안이 아닌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자치경찰에 대한 많은 토의가 있어 왔으나 이번에 제하고 있고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존 법집행방식과 거의 차이가 없는 상태시된 안은 적어도 지금까지 논의되어왔던 제도와는 매우 생소한 자치경찰 제도를 근간으로 에서 ‘무늬만 자치경찰’ 이라는 비판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자치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행정 경찰적 기능을 다소 보완하고 제복착용과 조직을 하나 더 만든 정도가 아닌가 하는 정도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에서 제시한 자치경찰제도(안)을 중심으로 자치경찰제도 운용의 목적 충족과 실질적인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바람직한 자치경찰제도의 운용에 대해 살펴본다.

  • PDF

Implications of Focused Deterrence Strategy for Municipal Police in South Korea (집중억제전략이 자치경찰제에 주는 시사점)

  • Park, Si Young;Choi, Eu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89-290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집중억제전략(focused deterrence)이 자치경찰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검토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집중억제전략이 실시된 보스턴 총기 프로젝트의 성공 원인을 검토하고, 국내 자치경찰위원회의 시책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집중억제전략이 자치경찰제에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고, 국내에서 집중억제전략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a Potential Integrity on Korean Police (우리나라 경찰의 잠재청렴도 향상방안)

  • Cho, Ho-D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7
    • /
    • pp.268-275
    • /
    • 2009
  • Today,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s and the citizen demand actively and efficiently, the Korean police is attempting a great change inside and outside such a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decentralized police system. Police's corruption is serious in various statistical data that present from lower part that is show. compares to continuous upright improvement effort and evaluation of the inside of the police system. the citizens recognition against it is evaluated lowly.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n police potential integrity between members of the police organization, the citizen and the external agency points the insufficiency of police improvement, deficiency of effective system and policy, organization culture as causes.

The improvement of a potential integrity on Korean Police (우리나라 경찰의 잠재청렴도 향상방안)

  • Cho, ho-dae;Han, sang-am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315-318
    • /
    • 2007
  • Today,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ing security enviornments and the citizen demand actively and efficiently, the Korean police is attemting a great change inside and outside such a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decentralized police system and investigation structure regulation. Compares to continuous upright improvement effoer and evaluation of the inside of the police system, the citizens recognition against it is evaluated lowly.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n police potential integrity between members of the police organization, the citizen and the external agency points the insufficiency of police improvement, deficiency of effetive system and policy, organization culture as causes.

  • PDF

School Resource Officers' Perception toward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학교전담경찰관의 인식)

  • Lee, Chang-Bae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44
    • /
    • pp.117-137
    • /
    • 2015
  • As school violence gets serious, the school system created the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in order to respond to school violence effectively. Yet, there are not many studi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A few studies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local board while the information about the school resource officers' perception is not known much. The current study surveyed school resource officers about their perception towards the function of the local board, its member, and the response of the principal to school violence. Participants are the school resource officers working for the four metropolitan police agencies(Seoul, Kyunggi, Busan, and Ulsan) in Korea, and were asked to answer to structured and open-ended ques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fficers thought the local board did not very well for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victim's rights. In addition, they believed that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needs to be limited in the membership, and more experts should be included in the membership of the local board. They also thought the principals should be tough in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The discussion includes ideas about improving professionalism of the membership and making changes on the related regulations.

  • PDF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e Facility Guide System for Asian Games using GIS (GIS를 이용한 아시안게임 경찰시설 안내 시스템 구현)

  • 정동호;윤승현;김종우;김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79-84
    • /
    • 2002
  • 2002년 9월 29일부터 제 14회 부산 아시안게임이 개최되며 안전하고 원활한 대회 운영을 위하여 대회 조직위원회, 정부기관 및 경찰에서 노력하고 있지만 실제 관광객이 필요할 때 경찰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부족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경기장, 숙박시설, 교통시설 등의 편의시설과 인근 경찰서를 쉽게 검색한 수 있고 편의시설간의 경로검색이 가능한 안내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향후 GPS 기능을 추가하여 현재 위치에서도 인근 경찰서의 검색 및 경로검색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ntroduction of Autonomous Police System in Korea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연구)

  • Sung, Su-Young;Kim, Sang-W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4
    • /
    • pp.573-58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Police Reform Committee on May 10, 2017, with the aim of enforcing the nationwid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2020.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promoting reforms of autonomous police and investigative structures, On April 5, 2018, a special committee of autonomous police system consisting of academics, civic groups, and legal professors was established. In 1991, the local council was established in Korea. In 1995,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 era was launched with the election of local autonomous governors, but the field of security did not bring decentralization.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 of organization and manpower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and distribution, financial management, and political neutrality in order to introduce autonomous police system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lso, it should be promoted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the decentralization system and national police without causing civil unrest and social disorder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rapid system. Self-governing police should reflect on the trend of autonomous decentralization in order to secure the Republic of Korea with a more secure policing policy, along with organic cooperation and mutual competition system with the national police.

The Equity about Disciplinary and Disadvantageous Disposition of Police Officers Focused on Appeal System Cases Analysis (경찰공무원의 '징계 및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에 대한 적정성 연구: 소청심사 결정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Kim, Jung-G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2
    • /
    • pp.223-232
    • /
    • 2015
  •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sciplinary suspensions of police officers. Research is based on reviews of prior research and related documents, in addition to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isciplinary action through public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researcher examined cases in appeal commission example book and analyzed the types and reasons for such cases. This study offers three proposals for improving the disciplinary system. First, the discipline guidelines of police officers should be examined in relation to those of other government employees. Second, a comprehensive manual for data from the disciplinary process should be created and used institutionally. Lastly, police officers should establish an appeals commission that already exists within various civil service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