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주지역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35초

2016년 9월 경주지진 소고(小考) (Discussions on the September 2016 Gyeongju Earthquakes)

  • 이기화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0권3호
    • /
    • pp.185-192
    • /
    • 2017
  • 2016년 9월 12일 규모 5.8의 본진을 포함한 일련의 지진들이 경주에서 발생했다. 본진은 1905년 한반도에서 지진관측을 시작한 이래 반도 남부에서 발생한 최대의 지진으로서 양산단층이 명백한 활성단층임을 입증하였다. 콘래드 불연속면이 없는 단층의 한반도 지각 모델에 의한 경주지진들의 전진, 본진, 여진들의 평균깊이는 12.9 km로 콘래드 불연속면이 있는 2층 구조의 IASP91 모델에 의한 평균깊이보다 2.8 km 낮다. 경주지역에서 발생한 역사지진 및 계기지진들의 진앙분포는 주 단층인 양산단층과 부속 단층을 포함하는 양산단층계가 광범위한 파쇄대임을 시사한다. 규모 5.8의 경주지진에 수반한 지진들의 진앙분포는 양산단층계의 몇 단층들이 응력에너지의 방출에 관여하였음을 지시한다. 경주지진들의 주요 지진들이 지표가 아닌 10 km 이하에서 발생한 것은 양산단층계의 심부 활성단층들의 분포를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경주지역의 지진자료에 근거하여 추정한 이 일대의 최대지진의 규모는 7.3이다. 한반도의 가장 완전한 1978년 이후의 지진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경주지역의 규모 5.0, 6.0, 7.0을 초과하는 지진들의 재현간격은 각기 80년, 670년, 그리고 5,900년이다. 2016년 9월 경주지진들은 본질적으로 판내부지진활동의 범주에 속하며 2011년 3월 11일 일본해구에서 발생한 판경계지진횔동인 동일본대지진과는 무관하다.

최근 경주지역 미소지진 진원 위치 (Location of Recent Micro-earthquakes in the Gyeongju Area)

  • 한민희;김광희;손문;강수영;박정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2호
    • /
    • pp.97-104
    • /
    • 2016
  • 우리나라 남동부에 위치한 경주와 그 주변지역에서는 과거부터 최근까지 크고 작은 지진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계기지진자료를 검토하여 경주 주변 약 $20km{\times}30km$ 지역 내에서 지진이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에서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 사이에 발생했지만, 그 규모가 너무 작아 미처 보고되지 않은 300개 이상의 미소지진을 식별하고 그 발생위치를 결정하였다. 연구지역 지하의 속도구조와 진원요소 결정에 사용하는 속도모델의 차이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JHD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지역에서는 활성으로 의심되는 제4기 단층들이 여러 장소에서 보고되고 있으므로, 이 단층들과 미소지진발생과의 관련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로이 발생사실이 보고되는 미소 지진들은 연일구조선의 남측분절, 석읍단층 그리고 와읍분지 경계단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신라기와의 지방확산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Diffusion of Silla Roof-End Tile)

  • 양종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3호
    • /
    • pp.100-113
    • /
    • 2012
  • 최근 활발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영남지방에서 신라기와가 다량 출토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특히 경주에서 출토되는 신라기와와 동범관계의 기와가 확인된다. 이에 영남지역의 신라시대막새에 대해서 경주지역 출토품과 비교하여 문양구성 등이 동일한 막새 중 동범막새와 동형막새로 구분하고 검토해 보았다. 그 중에서 특히 주목되는 유적은 인각사이다. 인각사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신라기와 중 연화문수막새를 포함한 당초문암막새 등 일부가 경주 월성과 황룡사지 등에서 출토되는 막새와 같은 틀로 제작한 동범막새의 관계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경주에서 제작된 막새가 각 지방으로 직접 이동한 경우와, 와범만이 이동하여 현지에서 제작된 경우, 와공이 이동하여 현지에서 제작한 경우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지방출토 신라기와는 인각사의 경우, 시기를 구분하여 나타나는 기와의 양상을 통해서 공존과 확장, 그리고 보수가 거듭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황은 경주로부터 비단 한시적으로 공급된 것이 아닌 지속적 관계로 이해하는 단서로서 의미가 깊다고 하겠다. 한편 신라기와가 경주에서 생산되어 각 지방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도 직접유입이 이루어졌다면,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육로운송 보다는 수로운송이 유리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대상 유적이 크고 작은 강과 하천 부근에서 확인된 것과도 깊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 특산품의 지속 성장을 위한 경쟁력 고찰 : 고도 경주빵과 찰보리빵 사례연구 (Exploring the Competitiveness for Sustainable Growth of Well-known Local Products : Ancient Capital Gyeongju Bread and Waxy Barley Bread Case Study)

  • 허정미;권상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5-26
    • /
    • 2020
  • 지역 경제 성장의 핵심 요인인 지역 특산품은 해당 지역 특유의 영감과 감성을 창출할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지역 특산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문적으로는 지역 특산품의 성장 비결에 대한 노하우 분석의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기존 선행 연구가 지역 특산품의 브랜드 및 관광 효과를 분석했지만 지역 경제 차원에서 지역 특산품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방안 및 특산품 사업가들의 의식 정립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를 감안, 경주빵과 찰보리빵을 대상으로 지역 특산품 발전 및 지속 성장을 논의할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지역 특산품을 육성할 수 있는 실무적 교훈을 함께 제안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주에서 가장 전통 있는 제빵 브랜드인 고도 경주빵과 고도 찰보리빵을 대상으로 깊이 있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 제빵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 지역 특산품을 만드는 사업가의 장인정신 및 기업가정신이 가장 중요한 성장 요인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이 과정에서 지역 특산품 사업가들의 기업가적 의지와 장인정신의 핵심 동력으로 가업승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핵심적으로 이를 고찰하였다.

경주지역 한옥형 단독주택의 평면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anok(Korean traditional houses) planes in the Gyeongju Area)

  • 정준현;이윤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5-20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sponding mechanisms between residential spaces and living by analysing the physical spaces of Hanok residential buildings with the architectural financial program of the Gyeongju city, and their residents' needs for living, and to afford architectural planning data needed to develop new aspects of residence in a traditional cultural ci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n attempt was made in this study to suggest the architectural planning approach to the Hanok type houses by taking both cultural continuity and historical views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restore the bedraggled old houses in the Gyeongju areas and create a new house ty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