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 특산품의 지속 성장을 위한 경쟁력 고찰 : 고도 경주빵과 찰보리빵 사례연구

Exploring the Competitiveness for Sustainable Growth of Well-known Local Products : Ancient Capital Gyeongju Bread and Waxy Barley Bread Case Study

  • 허정미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권상집 (동국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부)
  • Heo, Jeong-Me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
  • Kwon, Sang-Jib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 투고 : 2020.06.18
  • 심사 : 2020.07.27
  • 발행 : 2020.07.31

초록

지역 경제 성장의 핵심 요인인 지역 특산품은 해당 지역 특유의 영감과 감성을 창출할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지역 특산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문적으로는 지역 특산품의 성장 비결에 대한 노하우 분석의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기존 선행 연구가 지역 특산품의 브랜드 및 관광 효과를 분석했지만 지역 경제 차원에서 지역 특산품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방안 및 특산품 사업가들의 의식 정립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를 감안, 경주빵과 찰보리빵을 대상으로 지역 특산품 발전 및 지속 성장을 논의할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지역 특산품을 육성할 수 있는 실무적 교훈을 함께 제안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주에서 가장 전통 있는 제빵 브랜드인 고도 경주빵과 고도 찰보리빵을 대상으로 깊이 있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 제빵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 지역 특산품을 만드는 사업가의 장인정신 및 기업가정신이 가장 중요한 성장 요인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이 과정에서 지역 특산품 사업가들의 기업가적 의지와 장인정신의 핵심 동력으로 가업승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핵심적으로 이를 고찰하였다.

Local product is the key driver of regional economic growth. Despite abundant attention - there remains to examine about sustainable growth of local product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local product brand and tourism effects, we need to know more about other way or mind-set that upgrade local product quality in local circumstances. This research topic's goal is to provide an academic implication to discuss sustainable growth and local product developments in Gyeongju bread and waxy barley bread from succession and entrepreneurship view with practical lesson for fostering local products. In-depth case study conducted within ancient capital Gyeongju bread and waxy barley bread provided combined evidence that craftsmanship and entrepreneurship is vital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local bread. Our study suggests that how succession is deployed serves as a key engine for the craftsmanship and entrepreneurial mind of local product business ownership.

키워드

참고문헌

  1. 이덕순(2015). 축제만족이 방문객의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지역 특산품 브랜드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40(4): 83-103.
  2. 조용상, 김정희, 이현태, 최지호(2010). 특산품 개성과 만족이 지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28(5): 63-72.
  3. 김경량, 김지용(2008). 지역 특산품 및 관광 자원을 이용한 지역농업 경영모델 연구, 농촌관광연구, 15(2): 25-46.
  4. 최세현(2006). 지역특산품 생산농가의 인터넷 쇼핑몰 운영 속성 분석: 상주곶감을 중심으로, 농업경영정책연구, 33(4): 1006-1025.
  5. 전태영, 이윤주(2011). 가족기업의 가업승계에 대한 상속세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국제회계연구, 38: 293-330.
  6. 김완일(2010). 가업승계의 지원과 자본이득과 세제도 도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세무와 회계저널, 11(1): 399-429.
  7. 백서인, 권상집(2017). 중소 제조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가업승계 역량 고찰: 탐색적 사례연구, 기업경영연구, 24(5): 23-55.
  8. Danes, S. M.(2013). Entrepreneurship success: The lone ranger versus it takes a village approach, Entrepreneurship Research Journal, 3: 277-285. https://doi.org/10.1515/erj-2013-0056
  9. 조병선, 조봉현(2011). 가족기업 승계 지원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안, 중소기업연구, 33(3): 49-71.
  10. 조병선, 조봉현(2007). 중소기업의 경영승계 원활화를 위한 정책 과제, 중소기업연구, 29(4): 237-264.
  11. 신우성(2009). 문화관광축제 서비스품질과 가치가 관광객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농촌관광연구, 16(3): 107-125.
  12. 김충기, 이준혁(2000). 고도경주의 관광이미지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4(1): 41-56.
  13. 전원배(1996). 경주관광지의 이미지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관광연구, 16(1): 187-200.
  14. 손삼호(2006). 지방자치단체의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1(1): 153-176.
  15. Ekinci, Y., & Hosany, S.(2006). Destination personality: An application of brand personality to tourism destina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 127-139. https://doi.org/10.1177/0047287506291603
  16. 이후석, 오민재(2006). 문화유산에 대한 관광 이미지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관광연구저널, 20(1): 1-15.
  17. 박동진, 손광영(2004). 관광동기, 이미지, 기대, 만족 및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안동지역 방문자를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28(3): 65-83.
  18. 권상집(2016). 한류 증진을 위한 CGV의 성장 전략: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576-588.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576
  19. 권상집(2016). 한류 확산을 위한 CJ E&M의 디지털 및 글로컬 콘텐츠 전략,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12): 78-90.
  20. Eisenhardt, K. M., & Graebner, M. E.(2007). Theory building from cas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0: 25-32. https://doi.org/10.5465/AMJ.2007.24160888
  21. Gilbert, C. G.(2005). Unbundling the structure of inertia: Resource versus routine rigid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8: 741-763. https://doi.org/10.5465/AMJ.2005.18803920
  22. 권상집(2019). 대한민국 기업의 고용창출 증진을 위한 전략 및 정책적 함의: 기업, 정부, 대학, 구직자를 위한 제언, Korea Business Review, 23(2): 117-148. https://doi.org/10.17287/kbr.2019.23.2.117
  23. 백서인, 권상집(2015). CJ E&M의 혁신 및 성장 메커니즘: 기업가적 지향성, 융.복합 전략, 공유가치 창출, 기업경영연구, 22(5): 201-228.
  24. 권상집(2018). 대한민국 벤처기업의 성장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기업가정신, 산업 환경, 정부 정책에 의한 기회 추구 메커니즘, 한국창업학회지, 13(3): 140-167. https://doi.org/10.24878/TKES.2018.13.3.140
  25. Puffer, S. M., & McCathy, D. J.(2001). Navigating the hostile maze: A framework for Russian entrepreneurship,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s, 15: 24-36.
  26. Bartunek, J. M., Rynes, S. L., & Ireland, R. D.(2006). What makes management research interesting and why does it matt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 9-15. https://doi.org/10.5465/AMJ.2006.20785494
  27. Kellermanns, F. W., & Eddleston, K. A.(2006).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family firms: A family perspectiv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0: 809-830. https://doi.org/10.1111/j.1540-6520.2006.00153.x
  28. Stafford, K., Duncan, K. A., Dane, S., & Winter, M.(1999). A research model of sustainable family businesses, Family Business Review, 12: 197-208. https://doi.org/10.1111/j.1741-6248.1999.00197.x
  29. Gallo, M. A., & Sveen, J.(1991). Internationalzing the family business: Facilitating and restraining factors, Family Business Review, 4: 181-190. https://doi.org/10.1111/j.1741-6248.1991.00181.x
  30. Ibrahim, A. B., & Ellis, W. H.(1994). Family business management: Concepts and practices, Dubuque, IA: Kendall/Hunt.
  31. Habberson, T. G., Nordqvist, M., & Zellweger, T. M.(2010). Trans-generational entrepreneurship, In M. Nordqvist & Zellweger, T. M.(Eds.), Trans-generational entrepreneurship: Exploring growth and performance of family firms across generations (pp. 1-38), Cheltenham, England: Edward Elgar.
  32. Dyer, W. G., & Mortensen, S. P.(2005). Entrepreneurship and family business in a hostile environment: The case of Lithuania, Family Business Review, 18: 247-258. https://doi.org/10.1111/j.1741-6248.2005.00045.x
  33. 정지용, 권상집(2016). 창업자의 기업가적 의지에 의한 기회 포착 및 기회 실현: 넷마블 게임사에 관한 사례 연구, 기업경영연구, 23(4): 1-25.
  34. 정지용, 권상집(2017). 대전시 문화기술 기업의 기회 탐색: 기업가적 지향성과 조직의 폐기 학습.흡수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지, 12(2): 1-30. https://doi.org/10.24878/TKES.2017.12.2.1
  35. 윤정현, 김대수(2020). 가족기업 지속가능성장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경영연구, 35(1): 185-205. https://doi.org/10.22903/JBR.2020.35.1.185
  36. Kim, T. H., Lee, S., Oh, J., & Lee, S.(2019). Too powerless to speak up: Effects of social rejection on sense of power and employee voi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9(10): 655-667. https://doi.org/10.1111/jasp.12625
  37. 권상집(2016). 변혁적 리더십 및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조절초점 성향이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지식경영연구, 17(3): 137-159. https://doi.org/10.15813/kmr.2016.17.3.007
  38. 이인혜, 권상집(2017). tvN의 콘텐츠 혁신: 폐기학습 및 흡수역량을 통한 탐험과 활용,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8): 355-368.
  39. 정미아, 김기석, 정형원(2019). 체험형 게임을 활용한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3): 1-12.
  40. 김윤철(2020). BTS의 선호요인이 팬덤 동일시 욕구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및 동남아 팬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2):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