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제적 자원 교류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Study on the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 the Technology Planning: An Empirical Study of Technology Planning on National R&D Program (기술기획 과정에 있어 조직학습을 통한 지식창출에 관한 연구: 국가연구개발사업 에너지R&D 과제기획에 대한 실증분석)

  • Kim, Bonggyu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1 no.1
    • /
    • pp.303-330
    • /
    • 2013
  • Korea has started new value creation which is the post catch-up innovation system from the catch-up innovation. Post catch-up innovation system is becoming the main R&D issue for Korea and is needed for the new concept of R&D management and planning frame. This study posed questionnaires : how to promote the knowledge creation in technology planning and what the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 the technology planning is. This paper suggests the relationship of success factors of knowledge creation in technology planning which is organized and operated by experts with different background. Based on the prior research on organizational learning, communications and collaborative interactions, four hypotheses that factors of knowledge creation in technology planning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learning are extracted. This study adop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successful technology planning. The approach based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teraction will be useful for constructing the planning framework in the era of post catch-up innovation. This paper, therefor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new theoretical development and new research agenda.

  • PDF

The Study of Establishing the Multi-pass Eurasian Railroads (유라시아 철도의 다중경로 구축에 관한 연구)

  • Hahm, Beom-Hee;Huh, Nam-Kyun;Hurr, Hee-Young
    • Korean Business Review
    • /
    • v.21 no.2
    • /
    • pp.137-170
    • /
    • 2008
  • This study is presenting the logistics strategy in the international logistics markets which makes competition and corporation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to establishing the multi-pass Eurasian railroads. The countries located in north-east area of Eurasia like China, Japan, Russia and Korea are paying higher costs and disutility to the transportations and communications due to repeated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causes from the politic problems. They are being used surface transportation for most of all logistics between Europe and Asia except special merchandises because of characteristic of cargo to be air, the Silk Road remains vestige only which was main logistic passage to this area since BC. So far the Trans-Siberian Railway is being used by Russia mostly as north of Eurasian transport because of difficulties of service. The Trans-China Railway built in 1992 is not accomplishing as a international logistic passages. It is expected to take a long lead time because of characteristic of resource development and poor logistic infrastructure to the countries like Uzbekistan, double landlocked country, Mongolia and Azerbaijan, the countries do not be adjacent to the sea, even they have great economic jump-up pla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resources.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SCO) start to sail officially in 2001 is constructed with China, Russia, Tadzhikistan, Kyrgyzstan, Kazakhstan and Uzbekistan as regular members of 6 countries and Mongolia, India, Pakistan, Afghanistan and Iran as observers 5 countries. It is started as a military alliance to protect terror, but now, it is expended to cooperate with the traffic, transportation, trade and share of energies. The Russia is doing their best to activate TSR as a government target to developnorth area equivalently, and economic develop of far-east Siberia. And also it is agreed provisionally to improve and repair of rail road between Nahjin and Hassan to connect TSR and TKR( Trans-Korea Railroad) by Russi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with Russian's aggressive efforts. The development plan of this area is over lapped with GTI(Greater Tumen Initiative) promoted by UNDP, and is a cooperated project by 5 countries of South Korea, Mongolia,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subject to review the appropriation of energy, tour, environment, rail road connection between Mongolia and China and establishing a ferry route to north-east Asia. It is Japanese situation to pay attention to Russia and China even they have been supplying large-scope of infrastructure in Mongol area without any charges, target to get East Asia Main Rail Road to connect Mongolia and Zalubino of Russia. In case of the program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not creeping, it will be accelerated to connect the TKR and TSR, TKR and TCR by somehow attending United States, including developing program promoted by UN ESCAP. As the result, Korean peninsular will continue the central rol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s in the past, now and future of north-east Asia, as of geographical-economics and geographical-politics whether it is requested or not wanted by neighbor countries.

  • PDF

The R&D paradigm for the Materials Technologies involving Environmental (한국의 생명공학 기술과 산업)

  • 현병환;조성복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 no.1
    • /
    • pp.135-151
    • /
    • 1999
  •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은 보건·의료, 농업, 환경, 자원분야에서의 급격한 산업적 응용에 따라 21세기에는 세계경제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구조가 점점 고도화되어 한 국가의 기술능력이 산업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미래첨단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생명공학기술에서의 성공여부는 앞으로 다가올 21세기의 국가 경쟁력 결정에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인식하에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과 전망을 살펴본 뒤 선진국의 생명공학기술 산업화 동향을 진단하고, 우리나라 생명공학산업 현황과 정부의 지원 정책을 조망한 뒤 생명공학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생명공학기술은 정부의 주도하에 산업계의 연구투자비 및 연구인력의 꾸준한 증대와 아울러 생명공학 제품도 수적으로나 판매규모면에서 큰 증가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우리나라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연구는 선진국에 뒤져있기 때문에 기초연구의 역량이 부족하고, 산업계의 과감한 기술개발 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또한 기술개발과 상업화를 위한 기술하부구조의 구축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WTO체제의 출범에 따른 지적재산권 보호의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IMF체제까지 당하여 기업의 연구개발 능력은 매우 심각한 위기에 봉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명공학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인식하에 정부의 생명공학산업 활성화를 지원정책으로 연구자금, 시설 등 직접적인 지원정책 중심의 한계적 시각에서 벗어나 기업을 비롯한 기술혁신 주체간 상호작용과 기술혁신 환경조성을 위한 간접적 지원중심의 정책전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생명공학 기술혁신시스템을 재정비하기 위한 중점 개선방안으로 연구개발 투자의 확대, 기초연구 역량의 강화, 벤쳐기업형 생명공학기업의 육성, 기술하부구조의 구축, 산업계·학계·연구소간 연계·교류 시스템의 강화를 제시하고 있다.

  • PDF

A Case Study of Simulation Game Development based on SNS Environment: Planet (SNS 기반 육성시뮬레이션 게임 개발 사례 : 행성)

  • Kim, JiHye;Park, HyeonChan;Mun, Seung-Gwan;Yun, Min-Seok;Kim, Yeong-Hwi;Kim, YeonSuk;Choi, YoungMee;Noh, WoongGi;Choo, MoonW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1.11a
    • /
    • pp.1422-1425
    • /
    • 2011
  •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행성' 게임은 소셜 네트워크 접속자들이 주어진 공간과 자원으로 상품을 생산하거나 가공하고 교환함으로써 더 많은 상품을 생산해내는 물물교류 개념을 기본으로 한다. 새로운 행성에 정착한 인간들의 수렵과 채집, 육성, 가공, 건축을 위한 각자의 역할에 따른 생산과 소비, 그리고 상호간의 거래를 위한 의사소통 행위를 통하여 게임적인 재미와 동시에 경영과 유통과 관련된 경제활동의 기본적인 개념을 습득할 수 있게 하였다. 현재까지의 프로토타이핑 과정과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Discontinuing Formal Education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Yang, Young Eun;Bae, Imh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4
    • /
    • pp.189-224
    • /
    • 2010
  • Nowadays Korean society has a fast growing population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Especially,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who are discontinuing formal education, experience difficulties in social exclusion and adapt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discontinuing formal education, and to seek affirmative supporting plans and solutions for their adaptation. The methodology utilized for this study was a case study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d categorization, 'a network between overall categories and of early adaptation' was deriv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experienced major difficulties during 'economical adaptation', and their economical adaptation was strongly interrelated with their 'educational adaptation'. The discontinuing of their education resulting from their fleeing period caused 'academic differential and age disparity.' Thus they could not enroll in the formal education system, and their insufficient educational background resulted in low wages and overwork due to manual labor jobs. Second, participants recognized 'interpersonal relations' as the most essential factor in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from the interpersonal rel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daptation to and comfort in Korean society. 'Interactions with South Koreans' wa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resource for gaining informational and appraisal support, but was not activated satisfactorily.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 with North Korean immigrants was avoided by the reason that 'there's nothing to learn', however emotional support from North Korean immigrants of close relationshi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articipants' adaptation, especially in all aspect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Third, participants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ies and stresses in their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ir chronic diseases worsened by remaining untreated, and female perceived symptoms were observed more often than in male. Meanwhile, excessive 'stresses' from the unfamiliar environment of South Korea negatively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However, they were satisfied with sense of liberty and security from living in a democratic society.

중소기업구조개선(中小企業構造改善)과 지역기술혁신체제(地域技術革新體制)

  • Park, Ju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2
    • /
    • pp.3-61
    • /
    • 1996
  • 80년대초 이후 기술혁신의 가속으로 중소기업에서도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이 경쟁력의 유지를 위한 핵심과제가 되면서, OECD 국가는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의 이전(移轉)을 촉진하는 정부지원을 확충하였다. 경제성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기술혁신만이 아니라 기술혁신의 성과를 확산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향상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정보의 공급확대를 위하여 연구개발사업(硏究開發事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의 이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의 공급원(供給源)(대학, 시험연구기관 등)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다양한 중개(仲介)(촉매(觸媒))기관(機關)의 설립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연구개발과 과학기술정보이전에 관한 과학기술공급원과 중소기업간의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교환(情報交換)과 인적교류(人的交流)를 확대하고 과학기술공급원이 제공하는 지식을 중소기업이 이용하기 쉬운 기술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개기관이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사업자와 신뢰관계(信賴關係)를 구축하는 것이 긴요하며, 기술변화를 인지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초기단계에서는 중소기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술확산과정(技術擴散過程)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역혁신체제(地域革新體制)의 구축과 기술혁신정책(技術革新政策)의 지역화(地域化)가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 통상산업부와 과학기술처도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를 시도하고 있다. 연구기반과 산업기반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다양한 유형의 산학연 공동연구기반이 구축될 계획이다.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는 시도단계에 불과하며 효율적인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여건도 불리하다. 선진국에 비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자원(硏究資源)에서도 현격한 차이가 있으나, 네트워크의 혁신성을 좌우하는 지식집약형 중소기업의 비중과 중소기업기술개발의 혁신성에서도 선진국에 비하여 절대열위에 있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현장에 밀착된 지역의 전문가집단이 지역경제의 비전과 지역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연구개발사업(地域硏究開發事業)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며, 기획 추진과정에 참여하는 지역대학 지역시험연구기관 지역산업단체 등이 구성하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협의체(協議體)가 정보공유(情報共有)와 공동학습(共同學習)을 통하여 지역혁신체제의 형성을 주도하고 경쟁과 협력의 조화를 통하여 기술혁신을 가속시키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규범(規範)과 문화(文化)가 정착되도록 노력하며 중앙정부는 지역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지원에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지역산업의 혁신성과에 의하여 지원을 차등화(差等化)하는 경쟁원리를 도입하여 지역사회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유도해야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o effectively utilize human and intellectual resources of the universities (대학의 인적.지적 자원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지식 관리 시스템 구현)

  • 최재원;박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05a
    • /
    • pp.473-476
    • /
    • 2002
  • In this paper by realizing the knowledge base on the web,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f the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s of the universities, which is the mecca of the knowledge management, technology information in various segment, education information, visible anti invisible knowledge information like technical advice, etc, and scholaristic knowledge like basic science technologies, economic theories which are verified by experts of the field, and pragmatic knowledge like technical patent, software, data base, also, hands on experience and knowledge like field technology, customer service, front line management. All those related information provides easy access to anyone who need of. This system is also designed for the utilization of the study, company activities, and professionals of the basic science technology which enables not only professor to exchange the research results but also, general public, companies, students can effectively share and exchange the information.

  • PDF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Career Development of Researchers at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of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출연(연) 연구자의 경력개발 현황과 개선방안)

  • Hong, Seong-Min;Cho, Hyun-Sook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43 no.3
    • /
    • pp.101-12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R&D activities, where knowledge convergence and exchange and the growth of researcher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s to promote the growth of outstanding researchers by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researcher career development (intensifying expertise) and career fluidity (change in core research topics). Us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548 researchers from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analyze environmental factors of research that promotes career development suitable for the growth of researchers after quantitatively verifying the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mobility on research outco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more desirable to strengthen career liquidity after stable career development, but the human resource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systems of research institut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policy measures to support researcher career development and liquidity were proposed in four stages.

  • PDF

모바일 컨텐츠 공급파트너와 서비스 제공업체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전략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특성을 중심으로-

  • 송영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2a
    • /
    • pp.169-200
    • /
    • 2003
  • 소비자의 욕구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정보경제시대, 신경제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가치사슬이 변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신산업이 등장하고 있다.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선으로부터의 자유, 개인성, 즉시성이 가능한 모바일 비즈니스가 우리나라에서도 태동하고 있다. 모바일 비즈니스는 금융업체, 정보제공업체, 통신망 운용업체, 최종이용자간의 새로운 가치의 결합이 특징이며, 막 흐름이 만들어지고 발전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개입하고 있어 협력이 특히 강조되고 또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들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비즈니스를 주도하고 있는 통신망 제공업체와 모바일 컨텐츠 공급 파트너간의 조직간 협력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계마케팅, 거래비용, 자원기반관점, 네트워크 이론 등 기업간 관계를 기술, 설명, 예측하는 주요이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컨텐츠 공급파트너의 전략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연구 모형을 제시한다. 최근 중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는 항목은 신뢰와 결속임을 감안하여, 매개변수로써 전략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소로 신뢰와 결속을 제시하고 있다. 컨텐츠 제공업체의 전략적 성과는 서비스제공업체에 대한 신뢰와 결속에 큰 영향을 받고있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신뢰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평판, 서비스제공업체와 컨텐츠 제공 파트너간의 상호의사소통, 그리고 업무처리의 절차에 대한 공정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동의된 목표, 업무정보교류, 거래특유자산의 3개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독립, 매개, 종속변수간의 9개의 연구 가설을 수립하였다. 국내의 주도적인 이동통신망소유업체에 모바일 컨텐츠를 공급하고 있는 170여개의 파트너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했다. 공변량 구조분석을 위주로 분석한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의 모델은 충분한 적합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의 상당수가 채택이 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비즈니스의 기업간관계의 실제측면을 나타내는 업무정보교류와 결속자의 관계의 유의하지 않게 나와 기각되었다. 기각에 대한 여러 가지의 해석이 가능하지만 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고 개념의 타당성을 더 엄격하게 준수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이론에 근거한 변수를 채택하고 있으나 모바일 비즈니스의 생명주기특성상 태동기이기 때문에 기업간 관계를 연구하는 측면에서는 탐험적 연구성격이 강하다. 더 나아가 본 산업의 주된 연구가 질적이고 기업내부만을 연구했던 것에 비교하면 시초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관계마케팅, CRM 등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는 신뢰와 결속의 중요성이 재확인하는 결과도 의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신뢰는 양사 간의 상호관계에서 조성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반면, 결속은 계약관계 초기단계에서 성문화하고 규정화 할 수 있는 변수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가 있다. 본 연구는 복잡한 기업간 관계를 지나치게 협력적 측면에서만 규명했기 때문에 많은 측면을 간과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방법론적으로 일방향의 시각만을 고려했고, 횡단적 조사를 통하고 국내의 한 서비스제공업체와 관련이 있는 컨텐츠 공급파트너만의 시각을 검증했기 때문에 해석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타당성확보 노력을 기하였지만 측정도구 면에서 엄격한 개발과정을 준수하지는 못했다. 향후에는 모바일 컨텐츠 파트너의 기업의 특성을 조사하여 관계성 변수와의 상호관련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관계기간, 의존성, 거래처의 단/복수여부, 서비스 범주 등의 제반 변수를 고려하여 이러한 변수가 양사와의 관계성 변수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뢰, 결속 등 다차원의 개념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이론의 확대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간의 개념적 분류, 차이의 검증, 영향력 등을 광범위하게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Library Policies and Systems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도서관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

  • Han Sang-Wan;Kim Tae-Soo;Chun Hyun-Choon;Lee Sung-Ch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0 no.1
    • /
    • pp.89-123
    • /
    • 1996
  • The world has moved from the Cold Wa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moved toward the age without idealogy. It places emphasis on economic benefit and welfare of its own nation as its main point With this world trend, in order to sam the competitiveness and the reconciliation of the divided nation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 should be united. Once the north and the south are united, information society will be altered with the huge flow of the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the issue of how to operate library policies and system, in which effective acquisition, manipulation, accumulation,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un would be very importan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in this study. Firstly, when building a national library preparing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1) the concept of policy and system for information society and 2) that of policy and system which has national-culture as its focus. Secondly, it is essential to prepare the cooperative-structure between libraries prior to the national unification. This kind of cooperation should gradually expand to an extent that allows actual benefits such as building union catalog, inter-library loan system, resource sharing, standardized cataloging rules, and exchange of dissertation... etc. Thirdly, developing the library policies and systems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must b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mutual cooperation as inter-dependent model rather than on the concept of the incorporation-absorption as a dominant model. The next point the principles of the followings in preparing the library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1) free-competition, 2) revolution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social education, 3) independence and love for humanity, 4) scientific or reasonable thinking, 5) job responsibility, 6) democratic citizenship, 7) mind far collective life, 8) spirit of public interest 9) globalization In addition, the model of the library systems preparing for thenational unification should include the followings : 1) uniformity of library system and its authority, 2) establishment of research institutes for library policy and system, 3) exchange of library establishment and information resources, 4) building library networks, 5) establishment of education systems for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enhancement of its quality, 6) modernizing and develop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s transfer. Finally, the libraries in the north and the south has different concepts, goals,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different ways of using them. Considering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libraries and the reasons for their existence, they must structure the mutual cooperative system so as to minimize the shock when confronting the social changes, so-called the national un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