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제적 이익

Search Result 61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한반도 공급망 이익경영 모델 구축방안

  • Kim, Tae-Ho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9.11a
    • /
    • pp.145-159
    • /
    • 2009
  • 남북한 경제통합 시에 이익지대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 남북한 경제의 발전적인 방안을 탐구하고자 한다. 한반도 공급망 이익지대를 분석하여 공급망 이익지대 확대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한반도의 경제통합 시에 경제적인 손실과 낭비, 시행착오를 줄이고 경제발전의 부흥기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현재 북한지역의 무게 중심지를 분석하고 향후에 인구의 유동에 의해 초래될 무게중심지를 시나리오 기법으로 분석하여 위험요인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 PDF

Asymmetric Timeliness of Market Information According to Corporate Losses and Earnings (기업의 손실과 이익에 따른 시장정보의 비대칭적 적시성)

  • Jong-Gyu Kim;Myoung-Jong Kim;Seong-Jun Hwa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12
    • /
    • pp.59-70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nsitivity reflected in the accounting earnings diffe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information such as profit and loss for the same market information. For this, market information and accounting data were analyzed for 11,462 non-financial listed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from 2012 to 2020 by using Basu's measurement of conditional conservatism and Ball and Shivakumar's measurement of conservatism. Accounting earnings sensitiv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both earnings and losses corporates recognize losses with delay, while losses are recognized quickly by loss corporates and delayed recognition by earnings companies. It was confirmed that more strict conservatism was applied to the losses corporates compared to the earnings corporates by delaying the recognition of earnings while the early recognition of the losses. It provides empirical data on the causality between the asymmetric timeliness and the combined effect of market information and accounting information by verifying that the losses corporates responds sensitively to market information while the earnings corporates does not react sensitively to the market information.

A Method of Profit Allocation for Sharing Economy among Companies Considering the Transaction Costs (거래비용을 고려한 기업 간 공유경제에서의 이익 배분 방안)

  • Kim, Doo Hwan;Lee, Kangbae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0 no.4
    • /
    • pp.111-126
    • /
    • 2015
  • Currently, many enterprises are trying to allocate the investment costs and risks through collaboration, and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by sharing their resources and gains. Intercorporate sharing economy, a type of intercorporate collaboration, refers to the economic activity to share the idle resources of enterprises and enhance their efficiency. For a successful intercorporate economy wit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clear allocation method of gain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ree methods-the MST method that can apply transaction cost incurred when forming a coalition for sharing economy; the average of transaction cost incurred by each participant, and the Shapley Value application method for the transaction cost incurred between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uggested gain allocation methods such as the "Equal distribution of gain" method, a gain allocation method based on the Cooperative Game Theory, the the "Proportional distribution of gain" method, and the Shapley Value method that takes in consideration the transaction costs.

The Economic Analysis of Notional and Global Interest Politics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 Hwang, Uk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6 no.4
    • /
    • pp.103-127
    • /
    • 2007
  • This study presents the political economics models to explore the political landscape of special interest groups influencing the government's decision making process for implementing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 Starting with the popular menu-auction types of lobbying frameworks in the literature, the study extends its scope of research to multi-principal and multi-agency based international interest group politics and its hybrid case in order to bring the interaction of the relevant interest politics to the fore. Within a specific factor model of international trade between 2 small open economies, we compare the political equilibrium environmental standards in different institutional frameworks which can be feasible in the sense of recently growing role of environmental interest group. Although the conventional finding suggests that cooperative bargain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can attain the globally optimal level of the standard, the paper rather explains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interest groups and the hybrid case also generate the stricter standard then national interest politics usually do.

  • PDF

우리 나라 주식시장에서 투자지표로서 경제적 부가가치(EVA)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Gu, Maeng-Hoi;Kim, Byeong-G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4 no.1
    • /
    • pp.1-38
    • /
    • 1998
  • 미국의 증권시장에서는 EVA가 주요한 주자지표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동안 주요 투자지표로 사용되던 EPS, ROA, ROE, PER 등의 회계적 이익지표들에 비해 EVA의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투자지표로서, 경영관리지표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주식시장에서 EVA가 유용한 투자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91년부터 1995년의 분석기간에 걸쳐 첫째, 주당EVA가 회계적 이익지표보다 주식수익률을 더 잘 설명하는가, 둘째, 주당EVA가 높은 기업이 더 높은 초과수익률을 실현하는가, 셋째, 주당EVA는 개별 종목 초과수익률의 선행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가를 EPS, ROA, ROE, PER 등의 회계적 이익지표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 나라 주식시장에서 주식수익률은 주당EVA보다 회계적 이익지표인 EPS, ROA, ROE가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PS, ROA, ROE를 기준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경우 유의적인 초과수익률을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주방EVA를 기준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3월 이후에 포트폴리오간 유의적인 초과수익률 차이가 발생하여 초과수익률 획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당EVA, EPS, ROA 등은 초과수익률에 대해 동행적 투자지표로 유용하고, ROE는 동행적 지표와 선행적 지표로 모두 유용하고, PER는 선행지표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우리 나라 주식시장에서 EVA는 회계적 이익지표인 EPS, ROA, ROE, PER보다 더 우월한 투자지표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회계적 이익지표와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유용한 투자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

A Study of Development Gains Estimation in Building Land Development Projects (택지개발사업의 개발이익 추계에 대한 연구)

  • Kim, Yong-Ch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5
    • /
    • pp.595-613
    • /
    • 2006
  • In the debates of development gains, the general rule is that it results from actions other than those of the landowner, most notably of the public sector as in granting of permissions for the development of specific land uses and densities or through infrastructure investments, or of socio-economic forces due to a general capital accumulation in space. A huge academic literature has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gains capture that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a portion of or all land value increments attributed to the community effort are recouped by the public sector. Policy instruments for applying development gains capture are based on deepening land value taxation, financing infrastructure, controling land use. But one of the most basic for the efficient policy implementation is the accurate estimation of development gains. This paper estimates the development gains generated by the total 204 building land projects of Korea Land Corporation and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since 1995.

  • PDF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Affecting Use of Sharing Economy Servic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Benefits (공유경제 서비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의 내외적 요인과 이익의 조절효과)

  • Kim, Sanghyun;Park, Hyunsun;Lim, Jeongtae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2
    • /
    • pp.482-491
    • /
    • 2020
  • This study proposed a research model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to explain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sharing economy services. A total of 392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MOS 22.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technological aptness and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sharing economy services. Second, access bigger market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sharing economy services. Third, intention to use sharing economy services had a positive effect on actual usage of sharing economy services. Finally, benefits was foun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to use sharing economy services and actual usage of sharing economy servi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haring economy services and important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individuals using the sharing economy services.

Manufacturer/Buyer Coordinating Model under Analyzing Manufacturing Cost and Adjusting Economic Order Quantity in Competitive Market. (경쟁적 공급사슬 환경에서 생산 원가 분석 및 경제적 주문량의 변화를 통한 생산자/수요자 협상 모델)

  • 최윤락;한주윤;정봉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564-571
    • /
    • 2003
  • 단일 기업의 내부적인 공급 사슬 환경이 아닌 정보의 공유가 없는 일정한 수의 생산자들과 수요자들로 이루어진 경쟁적인 공급 사슬환경에서는 각각의 생산자와 수요자들은 상대방의 가격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공급 사슬 환경에서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시키며, 경쟁적인 상대방과의 협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수리적인 모델이 필요하다. 수요자의 경우, 시장 판매 가격은 제품의 구매 원가와 관련이 있으며 제품의 구매원가는 제품의 수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제품 수요의 변화는 수요자가 생산자에게 요구하는 경제적인 주문량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또한 생산자의 경우, 생산 공정의 변화가 생산 원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요자가 주문하는 경제적인 주문량의 변화에 따른 정확한 생산 원가의 산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생산자와 수요자의 측면에서 각각의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수리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수요자 측면에서는 경쟁 시장환경 기반의 수요량과 시장 가격을 바탕으로 한 최적의 주문량 및 가격을 결정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생산자 측면에서는 수요자의 주문량을 만족시켜주기 위해 생산시스템의 성능 요소를 반영산 생산 원가 산출 모델을 이용하여 납기일 내데 수요자의 주문량을 만족시키기 위한 최적 생산 원가를 산출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한 두 가지 모델을 이용하여 생산자와 수요자는 제품에 대한 가격 협상을 통해 각각의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의사결절이 가능하다.

  • PDF

한국기업(韓國企業)의 수익성(收益性)에 관한 연구(硏究) -대주주(大株主)와 소수주주(少數株主)간의 이해갈등(利害葛藤)을 중심(中心)으로-

  • Jo, Seong-U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1 no.2
    • /
    • pp.3-54
    • /
    • 1999
  • 1997년의 경제위기는 근본적으로 많은 차입금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에 걸쳐 낮은 수익성을 보인 기업들이 불황에 직면하여 도산위험이 급증함으로써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면, 기업들의 수익성은 왜 이렇게 낮은 것일까? 본 연구는 지배대주주와 소액주주간의 갈등이 기업의 수익성을 저하시킨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가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기업들, 특히 기업집단의 경우 지배대주주의 개인소유지분은 높지 않지만 기업경영에 대한 통제력은 매우 강하다. 기업경영에 대한 감시와 책임경영이 확립되지 않는 경제에서 지배대주주가 기업자산을 개인적 이익에 따라 운영하는 경우 편익은 독점하지만 이에 따른 수익성 하락 등의 비용은 다른 주주와 소유 지분율에 따라 공유하게 되므로 사적이익을 추구할 유인이 크다. 본 연구는 1992년부터 1997년까지의 공기업 및 금융기관을 제외한 외부감사대상기업의 재무자료를 기초로 영업이익률, 경상이익률, 그리고 순이익률이 주주간의 이해상충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가를 분석하였다. 수익성 분석에 있어 상장여부, 자산운영(관계회사 및 비관계회사에 대한 투자), 재벌소속 여부, 기업규모, 재무구조 그리고 산업적 특성 및 기업의 경영 및 사업 전략적 특성을 제어하였다.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상장된 기업의 수익성은 비상장기업보다 낮다. 상장기업의 경우는 대주주의 소유지분이 낮은 반면에 외부주주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대주주가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고자 하는 유인이 강하게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재벌에 소독된 기업의 수익성은 독립기업들의 수익성보다 낮을 뿐만 아니라 계열회사의 유가증권 및 대여금 등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수록 기업의 경상이익률 및 순이익률이 낮아진다. 반면에 비관계회사에 대한 투자자산은 경상이익률 및 순이익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에 소속된 상장회사가 관계회사에 투자하는 경우는 투자기업의 수익성이 더욱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회사에 대한 투자는 수익성에 기초한 투자가 아니며 대주주의 지분이 낮은 상장기업에서 소액주주의 이익에 반하여 계열사에 대한 투자형태로 자원이 이전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외부주주와 내부주주간의 이해상충이 기업의 수익성을 저하시킨다는 가설과 일관된다. 따라서 대주주가 개인적 이익을 추구하고자 하는 유인을 견제하고 소액주주의 권리를 강화하도록 지배구조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