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쟁학습

Search Result 48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New Unsupervised Learning Network and Competitive Learning Algorithm Using Relative Similarity (상대유사도를 이용한 새로운 무감독학습 신경망 및 경쟁학습 알고리즘)

  • 류영재;임영철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0 no.3
    • /
    • pp.203-210
    • /
    • 200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unsupervised learning network and competitive learning algorithm for pattern classification. The proposed network is based on relative similarity, which is similarity measure between input data and cluster group. So, the proposed network and algorithm is called relative similarity network(RSN) and learning algorithm. According to definition of similarity and learning rule, structure of RSN is designed and pseudo code of the algorithm is described. In general pattern classification, RSN, in spite of deletion of learning rate, resulted in the identical performance with those of WTA, and SOM. While, in the patterns with cluster groups of unclear boundary, or patterns with different density and various size of cluster groups, RSN produced more effective classification than those of other networks.

  • PDF

The Effects of Cooperative Group Investigation Method in Social Studies Classe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ttitude (사회과 수업에서 집단탐구 협동학습 방법이 중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Seok;Jang, Guk-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5
    • /
    • pp.595-60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if any effects of GI cooperative learning method, which is compared to the effects of traditional competitive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students' academic attitude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Conclusively, it is asserted to be a much mor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Some statistical evidences were gathered by questionnaire method just after the experimental classes being applied for a semester to the 241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a small city. Using the t-test procedure, it is conformed that GI cooperative learning method can draw much more positive changes in the academic attitude of the students. In short, such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academic learning attitude can be related with the increase of self-trust in learning processes, the change in the conception of the subject, and the spontaneous interaction and verbal communication among the group members.

  • PDF

Application to the Image Coding by the Modified Fuzzy Competitive Learning Network (수정 퍼지 경쟁 학습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미지 코딩 응용)

  • Lee, Bum-Ro;Chung, Chin-Hyu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7
    • /
    • pp.1933-1942
    • /
    • 1998
  • 분류 벡터 양자화(classified vector quantization: CVQ)〔2의 부코드북을 설계함에 있어서, 경쟁 학습 네트워크〔5〕-〔7〕 는 소속도의 이분법적 표현으로 상당한 소속도를 가지는 벡터들이 학습 과정에 무시되는 경향을 가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퍼지 경쟁 학습 네트워크〔8〕는 각 클러스터가 연속적인 소속도를 가진다는 개념을 도입하여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했다. 그러나 퍼지 경쟁 학습 네트워크를 CVQ에 적용할 경우, 각 부코드북의 크기를 시행착오로 결정해야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의 개선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수정 퍼지 경쟁 학습 네트워크(modified fuzzy competitive learning network)를 제안한다. 수정 퍼지 경쟁 학습 네트워크는 퍼지 학습 네트워크가 가지는 이 분법적 소속도를 연속적인 소속도로 확장하여, 학습 과정중에 나타날 수 있는 지역 최소점 도달을 억제하였다.

  • PDF

Competitor Extrac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Methods (기계학습 기반 경쟁자 자동추출 방법)

  • Lee, Chung-Hee;Kim, Hyun-Jin;Ryu, Pum-Mo;Kim, Hyun-Ki;Seo, Young-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107-112
    • /
    • 2012
  • 본 논문은 일반 텍스트에 나타나는 경쟁 관계에 있는 고유명사들을 경쟁자로 자동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규칙 기반 방법과 기계 학습 기반 방법을 모두 제안하고 비교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뉴스 기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문장에 경쟁관계를 나타내는 명확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규칙기반 경쟁어 추출 시스템은 2개의 고유명사가 경쟁관계임을 나타내는 단서단어에 기반해서 경쟁어를 추출하는 시스템이며, 경쟁표현 단서단어는 620개가 수집되어 사용됐다. 기계학습 기반 경쟁어 추출시스템은 경쟁어 추출을 경쟁어 후보에 대한 경쟁여부의 바이너리 분류 문제로 접근하였다. 분류 알고리즘은 Support Vector Machines을 사용하였고, 경쟁어 주변 문맥 정보를 대표할 수 있는 언어 독립적 5개 자질에 기반해서 모델을 학습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해서 이슈화되고 있는 핫키워드 54개에 대해서 623개의 경쟁어를 뉴스 기사로부터 수집해서 평가셋을 구축하였다. 비교 평가를 위해서 기준시스템으로 연관어에 기반해서 경쟁어를 추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Recall/Precision/F1 성능으로 0.119/0.214/0.153을 얻었다. 제안 시스템의 실험 결과로 규칙기반 시스템은 0.793/0.207/0.328 성능을 보였고, 기계 학습기반 시스템은 0.578/0.730/0.645 성능을 보였다. Recall 성능은 규칙기반 시스템이 0.793으로 가장 좋았고, 기준시스템에 비해서 67.4%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 Precision과 F1 성능은 기계학습기반 시스템이 0.730과 0.645로 가장 좋았고, 기준시스템에 비해서 각각 61.6%, 49.2%의 성능향상이 있었다. 기준시스템에 비해서 제안한 시스템이 Recall, Precision, F1 성능이 모두 대폭적으로 향상되었으므로 제안한 방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An Enhanced Counterpropagation Algorithm for Effective Pattern Recognition (효과적인 패턴 인식을 위한 개선된 Counterpropagation 알고리즘)

  • Kim, Tae-Hyung;Woo, Young-Woon;Cho, Jae-Hyu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422-426
    • /
    • 2007
  • CP(Counterpropagation) 알고리즘은 Kohonen의 경쟁 네트워크와 Grossberg의 아웃스타(outstar) 구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패턴 매칭, 패턴 분류, 통계적인 분석 및 데이터 압축 등 활용분야가 다양하고, 다른 신경망 모델에 비해 학습이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CP 알고리즘은 충분한 경쟁층의 수가 설정되지 않아 경쟁층에서 학습이 불안정하고, 여권 코드와 같이 다양한 패턴으로 그성된 경우에는 패턴들을 정확히 분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CP 알고리즘은 출력층에서 연결강도를 조정할 때, 학습률에 따라 학습 및 인식 성능이 좌우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패턴 인식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다수의 경쟁층을 설정하고, 입력 벡터와 숭자 뉴런의 대표 벡터간의 차이와 숭자 뉴런의 빈도수를 학습률 조정에 반영하여 학습률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경쟁층에서 안정적으로 학습되도록 하고, 출력층의 연결강도 조정시 이전 연결 강도 변화량을 반영하는 모멘텀(momentum)학습법을 적용한 개선된 CP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학습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제 여권에서 추출된 개별 코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개선한 CP 알고리즘이 기존의 CP 알고리즘보다 패턴 분류의 정확성과 인식 성능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Number Setting of Competitive Layer using fuzzy Control Method for Enhanced Counterpropagation Algorithm (개선된 Counterpropagation 알고리즘에서 퍼지 제어 기법을 이용한 경쟁층의 수 설정에 관한 연구)

  • Kim, Tae-Hyung;Cho, Jae-Hyun;Woo, Young-Woo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359-365
    • /
    • 2008
  • CP(Counterpropagation)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신경망이 하나로 결합 된 혼합형 모델로서, 다른 신경망 모델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고 빠른 학습 속도를 보인다. 그러나 CP 알고리즘은 다양한 패턴이 입력되면 충분한 경쟁층의 수가 설정되지 않아 학습이 불안정하고, 출력층에서 연결강도를 조정할 때 일반적인 학습률 조정방법으로 불안정한 학습 결과를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경쟁층을 설정하여 경쟁층에서 패턴 분류의 정확성을 높이고, 입력 벡터와 승자 뉴런의 대표 벡터간의 차이와 승자 빈도수를 반영하여 학습률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경쟁층에서의 학습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출력층에서 연결강도를 조정할 때 모멘텀(momentum)학습법을 적용한 개선된 CP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CP 알고리즘에서 경쟁층의 수를 효율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퍼지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경쟁층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CP 알고리즘에 입력되는 패턴의 정보를 이용하여 퍼지 소속 함수를 설계하고 입력에 대한 소속도를 계산한 후, 퍼지 제어 규칙을 적용하고, Mamdani의 Min_Max 추론 방법으로 추론한다. 퍼지 추론을 통해 최종적으로 얻어진 값을 무게 중심법으로 비퍼지화 하여 최종적으로 개선된 CP 알고리즘의 경쟁층의 수를 결정하는데 적용한다. 제안된 방법의 학습 및 인식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숫자, 영어 등과 같이 다양한 패턴을 실험에 적용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경쟁층의 수를 결정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lor Space Classification by Using Additive Competitive Learning (가산 경쟁학습을 이용한 컬러공간의 분류)

  • Park, Yong-Hoon;Cho, Yong-Gun;Ka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5-128
    • /
    • 2003
  • 생물학적 비전 시스템에서 컬러정보는 윤곽정보와 함께 가장 주요한 정보이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공간의 분류를 위해 향상된 가산 경쟁학습 모델을 제안하며, 제안된 가산 경쟁학습 모델을 사용하여 컬러공간의 분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 PDF

Competitive Co-Evolving Neural Network : Host and Parasites (기생체 숙주 이론 기반의 경쟁 공진화 신경망)

  • 박정은;박민재;오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2-144
    • /
    • 2003
  •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경망의 가중치를 학습하는 방법은 역전파 알고리즘이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나, 유전자 알고리즘 역시 전역 탐색이 아니기 때문에 실세계의 데이터에 적용하기 어려운 가장 큰 장애 요소인 지역 최소점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는 없다. 이러한 지역 최소점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생체-숙주 공진화 현상을 기반으로 한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쟁 공진화 신경망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경쟁 공진화는 서로 다를 개체간의 경쟁적인 진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보다 적합도가 높은 개체가 생성되는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 공진화를 통한 신경망 가중치의 학습이 일반적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것보다 더욱 우수한 가중치 집단을 탐색할 수 있음을 두 종류의 기계 학습 데이터를 통해 입증하였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Network Based Competition Learning Model (네트워크 기반의 다자간 상호 경쟁적 학습모형의 설계 및 플랫폼 구현)

  • Heo, K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0A no.6
    • /
    • pp.709-714
    • /
    • 2003
  • It is importan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contents in Educational Contents. But, there is just simple interaction in traditional WBI or CAI. As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interaction with learners. There is applied more multimedia elements for the fun of learners. But,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for Network Educational Game Contents which can give virtual environment to learn easily and funny. In this study, Competition Learning Model is designed for network learning environment. We can look at the new view point of Educational Contents by implementation of Network Educational Game Contents and Competition Learning Model.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Learning Competences and Dynamic Capabilities of Korean Small-sized Enterprises for Export-oriented to the Competitive Advantages (한국수출중소기업의 학습역량과 역동적 역량이 해외시장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Huh, Young Ho;Cho, Yeon Sung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4 no.3
    • /
    • pp.388-419
    • /
    • 2010
  • The aim of the study is to create a theoretical model and hypotheses on competitive advantages of exporting SMEs. For this we have proposed an integrated model in which learning competences and dynamic capabilities should have an influence on competitive advantages of the SMEs. This study have examined the influence of integrating and reconfigurating capability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learning competences had positive influences in dynamic capabilities and to the cost and service competitive advantage. To integrating capabilities had positive influences in competitive advantage. Besides, dynamic capabilities playing significant intermediate role only for the cost advantage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mediate effects of learning competence to the dynamic cap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