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작지 토양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4초

토양의 색 특성과 색차계 측정치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il Color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Values by Colorimeter)

  • 김기인;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7-86
    • /
    • 2002
  • 삼각통을 포함하여 29개 토양통으로 분포되는 연초 경작지 67개 토양에 대하여 토양의 색 특성은 광학적 기기에 의해 측정되는 색차계 방법과 육안관찰에 의해 비색 평가되는 Munsell color chart 방법으로 비교되었고, 또한 토양의 화학성과의 상호관계가 검토되었다. 색차계로 측정한 토양의 색 특성 L, a 및 b 값은 Munsell color chart의 명도(V), 채도(C), 및 색상(H)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정량적 수치로 표현되었다. 토양 색 측정치의 표준편차는 2mm 체 통과시료보다 0.5mm 체 통과시료에서 적었다. 토양 색의 L, 및 b 값은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a 값은 수분함량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없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풍건조건과 습윤조건(-10hPa)에서 측정된 토양의 L, a, b 값 각각의 상관계수는 r=0.90 이상으로 고도로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토양 색의 측정은 일정한 수분 조건인 풍건토 0.5mm 체 통과시료에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토양의 색 특성은 유기물함량,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 석회 및 고토 등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L 값은 유기물 함량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Auxin, Siderophore, 및 Cellulase 생산성 다기능 식물생장촉진미생물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선발 및 식물생장촉진 효과 (Selection of the Auxin, Siderophore, and Cellulase-Producing PGPR, Bacillus licheniformis K11 and Its Plant Growth Promoting Mechanisms)

  • 정희경;김진락;우상민;김상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23-28
    • /
    • 2007
  • 작물의 생육촉진과 식물 진균병의 생물방제능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다기능 유기농업용 미생물제제를 개발하고자 경북지역 저병해 경작지 토양으로부터 옥신생산성 균주들을 분리하였다. 그 중 auxin, siderophore, 그리고 항진균성 cellulase를 동시에 생산하는 K11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선발된 K11 균주는 형태 및 생화학적 test 후 Biolog사의 동정시스템(Microlog$^{TM}$ 4.0)과 16s rDNA 상동성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으며, 이를 Bacillus licheniformis K11로 명명하였다. B. licheniformis K11은 고추역병의 원인균인 Phytophthora capsici에 대하여 in vitro 상에서 63%의 길항능을 보였으며, in vivo pot test에서도 뛰어난 방제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B. licheniformis K11의 배양액을 10ml/l로 처리한 녹두발근생검법에서 시판중인 IAA(0.1 mg/l)보다 발근율이 15% 증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배추, 완두, 녹두를 대상으로 B. licheniformis K11에 의한 식물 생장촉진을 조사한 결과 녹두, 완두 그리고 배추의 뿌리 생육을 각각 160, 150, 130% 증가시켰다. 상기 연구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다기능 생물방제균인 B. licheniformis K11을 경작지에 관주하거나 적합한 미생물제제로 제제화한다면 토양전염성 질병의 방제와 함께 옥신 생산성에 의한 작물생육의 촉진으로 수확시기를 조기화 함으로 농가에 수익 증대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므로 친환경 농업용 미생물제제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서울 강남지역 채소류 경작지의 토양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Land from the Southern Area of Seoul)

  • 최채만;육동현;홍채규;김태랑;황영숙;황인숙;김정헌;김무상;채영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0-165
    • /
    • 2011
  • 본 연구는 강남일부(강남구, 강동구, 송파구)지역 시설재배지에서 시기별 잔류농약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6월까지 토양시료 60 점을 채취하여 시료 중 농약 잔류량을 다성분 동시 스크리닝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설재배지 잔류농약 조사결과, endosulfan 0.002-0.999 mg/kg, procymidone 0.002-1.200 mg/kg, diazinon 0.003-0.024 mg/kg, metalaxyl 0.012-0.075 mg/kg로 검출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검출빈도가 높게 나타난 endosulfan을 대상으로 참나물, 상추에 대하여 흡수 이행 정도를 조사하였다. 강남구 지역의 토양에서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endosultan이 0.445 mg/kg로 잔류하였고, 이 토양에서 참나물을 60일 재배 후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한 결과 endosulfan 0.157 mg/kg로 잔류하여 토양 대비 참나물 중 endosulfan 이행률은 35.3%를 보였다. 또한 강동구 지역의 토양에서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endosulfan이 0.358 mg/kg로 잔류하였고, 이 토양에서 상추를 60일 재배 후 상추 중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한 결과 endosultan 0.004 mg/kg로 잔류하여 토양 대비 endosulfan 이행률은 1.1%를 보였다.

토지(土地) 이용(利用) 형태(形態)의 변화(變化)와 토양(土壤) 내(內) 탄소(炭素)와 질소(窒素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Land-Use Change and Soil Carbon and Nitrogen)

  • 손요환;이숙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242-248
    • /
    • 2001
  • 토지 이용 변화는 토양 내 유기물과 양분 상태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광주군 검단산 일대에서 과거 논으로 이용되다가 현재는 버드나무-신나무 우점의 산림으로 변한 지역, 밭에서 잣나무 인공조림지로 변한 지역, 그리고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있는 산림 지역 등 세 가지 토지 이용 형태를 선정하고 여기에서 토양 내 탄소와 질소의 농도, 토양 호흡, 그리고 질소 유효도 등을 측정, 비교하였다. 경작지의 휴경 후 20년이 경과한 다음, 토양 내 탄소와 질소의 농도는 토양 깊이 0-10cm, 10-20cm에서 과거 논이었던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탄소와 질소의 농도는 표층에서 높고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유기물의 유입과 분해의 차이로 인한 축적량이 과거 논이었던 지역에서 가장 많기 때문이며, 탄소와 질소의 증가는 주로 표층에 국한한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토양 발생 이산화탄소량은 논에서 산림으로 변한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토양 내 높은 탄소 농도와 습윤한 수분 조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온교환수지봉지법으로 측정한 토양 내 질소 유효도는 토지 이용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무기태 질소 $NH_4{^+}+NO_3{^-}$)의 유효도와 암모니움태 질소의 농도는 산림지역에서 가장 높고, 밭에서 산림으로 변한 지역, 논에서 산림으로 변한 지역의 순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 PDF

엇갈이 배추 재배토양 중 살균제 Tricyclazole의 작물 전이량 (Translocation of residual tricyclazole from soil to Korean cabbage)

  • 황은정;황규원;김민기;전채호;문준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01-30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tricyclazole을 대상으로 작물재배 토양 중에 잔류된 tricyclazole의 잔류 소실 및 엇갈이 배추로의 전이량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Tricyclazole은 농작물 재배 시 사용하지 않았으나 경작지 토양에서 다수 검출되는 성분 중 하나이다. 포장시험은 광주(시험포장 1)와 용인(시험포장 2)의 시설재배지 두 곳에서 실시하였다. Tricyclazole을 토양 중 서로 다른 두 농도로 처리한 후, 토양과 엇갈이 배추를 채취하였다. 토양과 엇갈이 배추 중 평균 회수율 범위는 83.5-92.1%이었고, 변이계수는 1.3-6.8%였다. Tricyclazole의 초기 토양 농도는 시험포장 1에서 4.25, $8.97mg\;kg^{-1}$ 이었으며 농약 처리 43일 후에 2.48, $4.26mg\;kg^{-1}$로 감소하였고, 시험포장 2에서는 초기 토양 농도가 0.88, $2.02mg\;kg^{-1}$ 이었고 농약 처리 36일 후에 0.43, $0.98mg\;kg^{-1}$으로 감소하였다. 시험포장 1에서의 토양 중 반감기는 저농도와 고농도 처리구에서 39.6, 28.1일 이었으며, 시험포장 2에서는 27.9, 17.2일 이었다. 엇갈이배추로 전이된 tricyclazole 잔류량은 시험포장 1과 2에서 초기 토양잔류농도 대비 각각 4.03-18.26%, 8.26-38.05% 범위였다.

광산슬러지 펠렛을 이용한 폐석탄광 주변 토양 내 비소 안정화 연구 (Stabilization of Arsenic in Soil around the Abandoned Coal-Mine Using Mine Sludge Pellets)

  • 고명수;지원현;김영광;박현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1호
    • /
    • pp.29-35
    • /
    • 2019
  • 이 연구는 폐석탄광 주변 토양을 대상으로 토양 내 비소 안정화를 위한 광산슬러지 펠렛의 적용성을 확인하고 효과적인 안정화 효율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함태, 동원, 동해, 옥동탄광 주변 경작지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비소 농도를 확인한 결과 함태탄광을 제외한 나머지 폐석탄광 주변 토양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비소농도를 보였다. 광산슬러지 펠렛은 미강과 광산슬러지를 혼합하여 제조하다. 분말형태의 광산슬러지에 비해 광산슬러지 펠렛은 운반과 안정화 시공과정에서 분진의 발생이 발생하지 않아 적용성이 높고 광산슬러지가 갖는 비소 안정화 효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럼실험을 통해 폐석탄광 주변 토양 내 비소 안정화에 광산슬러지 펠렛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토양 안정화제로 주로 사용한 석회석과 제강슬래그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 내 비소 안정화 효율 평가방법으로는 $0.43M\;HNO_3$또는 $1M\;NaH_2PO_4$용액을 이용한 용출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작지(耕作地) 전토양(田土壤)의 인산특성(燐酸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축적인산(蓄積燐酸)의 형태별(形態別) 조성(造成)과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in the Upland Soil I. Composition of Accumulated Phosphorus Forms and Available Phosphorus)

  • 신철우;김정제;윤정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29
    • /
    • 1988
  • 인산(燐酸) 축적지(畜積地) 토양(土壤) 149점(點)(시건설원예지(施設園藝地) 60점(點), 마늘, 양파, 고추 재배지(栽培地) 89점) 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형태별(形態別) 조성(造成)과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總) 인산(燐酸)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분포비(分布比)는 68.9%(Sa-p 2.7, Al-p 26.4, Fe-p 27.6, Ca-p 12.2), 유기태인산(有機態燐酸)은 6.7%, 유효인산(有效燐酸)은 26.0%이었따. 2.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 Al-p와는 0.1%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며, Sa-p, Ca-p 순으로 유의성(有意性)을 보였고 Fe-p와는 일정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다중회귀분석(多重回歸分析) 결과(結果) $Av.P=81.694+0.858Sa-p^{***}+0.648Al-p^{***}+0.091Ca-p^{**}(R=0.826^{***})$의 관계식(關係式)을 얻었으며, 각 성분(成分)의 기여도(奇與度)는 Sa-p 26.1, Al-p 65.2, Ca-p 8.7%이었다. 4.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수용성인산(水溶性燐酸), 수용성인산(水溶性燐酸)과 $0.01M-CaCl_2-p$와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고, $0.01M-CaCl_2$ 용액(溶液)에 의한 30분(分) 추출법(抽出法)은 토양용액(土壤溶液) 인산(燐酸)을 신속(迅速) 간편(簡便)하게 추정(推定)할 수 있는 방법(方法)으로 생각되었다.

  • PDF

Auxin과 항진균물질을 생산하는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의 분리동정 및 특성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uxin-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having Phytopathogen-antagonistic activity)

  • 권도형;최준형;정희경;임종희;주길재;김상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17-21
    • /
    • 2004
  • 경작지 근권토양에서 식물생장촉진물질인 auxin라 항진균물질을 동시에 생산하는 농업용 미생물제제로 사용할 PGPR 균주를 선발하고 동정하였다. 경북 경산 일대의 다수확 밭토양의 근권토양에서 균주를 선발하고 그 중 auxin 생산성이 높은 2균주 K36, N21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를 동정한 결과 K36은 Pantoea agglomerans이고 N21은 Pseudomonans fulva로 동정되었다. 선발된 균주의 식물생장촉진능을 in vivo 녹두발아촉진검사법으로 확인하였으며, 식물병원진균에 대한 길항력을 확인하였다. 배양조건에 따른 auxin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 K36 균주는 $pH\;7.5,\;35^{\circ}C$, 37시간에서 최대로 나타났고, N21균주는 $pH\;7.5,\;35^{\circ}C$, 20시간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토양중(土壤中)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의 용매추출법(溶媒抽出法)과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Steam Distillation with Solvent Extraction Method in Determining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Soil)

  • 심재한;서용택;박노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3-77
    • /
    • 1983
  • 토양중(土壤中)에서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殺蟲劑) 잔유분(殘留分) 분석(分析)을 위(爲)한 보다 단순(單純)하고 효률적(效率的)인 방법(方法)의 하나로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을 이용(利用)한 추출과정(抽出科程)을 도입(導入)하여 용매추출법(溶媒抽出法)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공시(供試)한 8종(種)의 농약(農藥)가운데 ${\alpha}-BHC$와 heptachlor epoxide의 회수률(回收率)은 수증기 증류법으로 각각 47, 45%였으나 나머지 6종의 회수율은 평균(平均) 88%로 종래의 용매추출법(溶媒抽出法)의 회수율(回收率) 86%와 대등(對等)하였다. 경작지(耕作地) 토양(土壤) 15점(點)의 분석결과(分析結果)도 기존(旣存)의 용매추출법(溶媒抽出法)으로 추출(抽出)하여 정량(定量)한 값과 일치(一致)하였다. 본방법(本方法)은 조작(操作)이 단순(單純)하고 용매(溶媒)가 절약(節約)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정제과정(精製過程)을 생략(省略)할 수 있는 잇점이 있었다.

  • PDF

무경운을 적용한 밭에서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Reduction of NPS pollution in the No-till field)

  • 이수인;원철희;신민환;전제홍;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6-426
    • /
    • 2015
  • 무경운 농법은 경작지의 토양을 교란시키지 않고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토양의 물리성 개선과 토양 침식 예방, 생산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인 인정을 받고 있는 농업기술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무경운의 재배 지속 기간 등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국내 환경조건에 맞는 실험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적관리기법의 하나인 무경운(No-till)을 적용한 밭의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장기적으로 살펴보고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무경운 농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동계피복작물(밀, 보리)을 재배작물 정식하기 전해 겨울에 파종하여 이듬해 6월 말 수확하였다. 이후 7월에서 8월 사이 재배작물(들깨, 무)을 정식하였다. 시비는 2011년에는 축산퇴비, 2012년에는 축산액비 그리고 2013년과 2014년에는 화학비료를 시비하였으며, 매년 경운과 무경운의 시비량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유출 시험포의 면적은 $150m^2$(폭 5 m, 경사장 30 m)이며, 8개(경사도 3% 4개, 경사도 8% 4개)의 시험포를 조성하여 각각 2개씩 경운(관행)과 무경운을 적용하였다. 모니터링은 재배작물(들깨, 무) 정식 이후부터 작물 수확 전까지 강우사상에 대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기간동안 총 13회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운대비 무경운 시험포의 평균 오염부하 삭감율을 분석한 결과 경사도 3% 시험포의 경우 BOD는 35.1%, $COD_{Cr}$은 37.4% 그리고 영양염류인 TN과 TP는 각각 36.9%와 33.5%가 삭감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경사도 8% 시험포의 경우 BOD가 36.4%, $COD_{Cr}$은 45.8%, TN과 TP는 각각 45.5%와 40.6%가 삭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운(관행) 농법이 영농관리 차원에서 대부분 이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할 때 무경운 농법으로 영농할 경우 강우유출수 및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부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