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시적변화

검색결과 509건 처리시간 0.033초

탈지대두와 밀가루 코오지를 이용한 산분해간장의 양조 (Brewing of Acid-hydrolyzed Soy Sauce with Defatted Soybeans and Wheat Flour Koji)

  • 선성균;한은미;이택수;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47-152
    • /
    • 1987
  • 탈진대두와 밀가루 코오지를 산분해간장에 첨가하여 담금한 각 시험구 간장(시험구 A : 탈지대두와 밀가루 배합량이 동일한 대량 담금구, 시험구 B : 배합량이 A구와 같은 소량 담금구, 시험구 C : 탈지대두 6, 밀가루 4의 비율로 담금한 소량 담금구)의 숙성 과정중 각종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질소와 아미노태 질소는 경시적으로 증가하였고, A구, B구, C구의 순으로 높았다. 환원당은 $20{\sim}40$일에 $12.13{\sim}15.76\;%$ 로 가장 높았고 120일에는 $10.75{\sim}12.40\;%$ 였으며 C구가 높았다. ethyl alcohol은 경시적으로 완만하게 증가되어 120일에 $0.45{\sim}1.23\;%$ 로 가장 높았고 B구와 C구가 높았다. 레블리린산은 담금 직후 A구에서 0.40% 였으나 100일에는 0.17% 로 저하되었고, B구와 C구는 당금 직후 $0.54{\sim}0.60\;%$ 였다. 젖산은 담금 직후보다 100일에 다소 증가되었으나 경시적으로 불규칙적인 변화를 보였고 A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encine, alanine, phenylalanine이 모든 시험구에서 높았으나 histidine, tyrosine, methionine은 낮았다.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담금 직후보다 90일에 시험구 모두 증가되었고, B구, C구, A구의 순으로 높았다.

  • PDF

AC-PDP의 오방전 분석을 위한 경시변화와 온도에 따른 패널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time and temperature to analysis a mis-firing in AC-PDP)

  • 강경일;장진호;김현규;이호준;이해준;김동현;조성용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313-1314
    • /
    • 2008
  • 현재 AC-PDP의 문제점 중 하나인 오방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C-PDP의 오방전 분석을 위해서 오방전 발생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패널의 시간 변화에 대한 특성과 고온, 저온에서의 패널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휘도, 방전개시전압, discharge time lag 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sustain pulse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패널내의 priming 조건을 제어하면서 오방전 발생 확률을 수치적으로 측정하였다. 패널의 aging시간에 따라 MgO sputtering 등으로 인한 방전 공간의 변화로 방전개시전압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로 인한 오방전 발생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담수양중(湛水壤中) Diazinon 과 Dursban 의 분해(分解)에 관(關)하여 (Degradation of Diazinon and Dursban in Submerged Soil)

  • 최종우;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1
    • /
    • 1987
  • 수도용(水稻用) 유기인계(有機燐系) 살충제중에서 조제형태(粗劑形態)로 널리 사용되는 Diazinon제와 Dursban제의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에서의 경시적(經時的) 분해(分解)정도를 비교(比較)하고, 아울러 살균(殺菌)과 비살균(非殺菌)토양을 비교하므로서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에 의한 분해효과(分解效果)를 실험하였다. 아울러 두 약제의 분해대사산물을 GC/MS로 확인하였으며 중요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항온기(恒溫器$(30{\pm}1^{\circ}C)$)내에서 담수상태(湛水狀態)로 처리한 Diazinon제와 Dursban제의 경시적 변화는 비살균토양(非殺菌土壤)에서 보다 살균토양(殺菌土壤)에서 약 3배(培) 정도 지연되었으며, 따라서 미생물에 의한 분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Diazinon제의 상용농도에서의 반감기는 2.2일이었으며, Dursban 제는 10.8일이었다. 상용농도의 3 배량 고농도 처리에서는 두 약제 모두 평균 1일정도 분해가 지연되었다. 3. Diazinon의 분해대사산물(分解代謝産物)로는 가수분해산물인 0, 0-diethyl phosphorothioate 와 이 화합물의 이량체(二量體)인 sulfotep, 그리고 monooxygenase 에 의한 분해대사물인 Diazoxon, 0,0-diethyl-0-[2-(1-hydroxy-1, 1-dimethyl)-6-methyl]-pyrimidinyl phosphorothioate 그리고 2-isopropyl-6-methyl-pyrimidine-4-one 이 확인되었으며, Dursban 제의 대사산물로는 0, 0-diethyl phosphorothioate 만이 확인되어 주로 esterase 에 의한 분해가 주대 대사경로라고 밝혀졌다.

  • PDF

알코올성 간 손상을 유발한 흰쥐에 대한 고 분지아미노산 함유 옥수수 단백가수물의 간 기능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 (BCAA)-enriched Corn Gluten Hydrolysates on Ethanol-induced Hepatic Injury in Rats)

  • 정용일;배인영;이지연;전향숙;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06-711
    • /
    • 2009
  •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corn gluten hydrolysates, CGH)의 알코올 대사 및 간 기능 보호효과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즉, 흰쥐에게 4주간 시료를 함유한 알코올을 경구투여함에 의해 간 손상을 유도시키고, 혈액 중 생화학적 간 기능 지표(ALP, GOT, GPT), 간세포 내 항산화 효소(SOD, GPX, catalase)와 지질과산화물(MDA) 및 알코올 대사와 관련된 효소(ADH, ALDH, MEO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알코올 섭취에 따른 경시적인 ethanol과 acetaldehyde 농도에 대한 시료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알코올성 간 손상을 입은 흰쥐의 체중변화 및 간 중량에 대한 에탄올 투여 및 CGH의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며, 식이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CGH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혈중 ALP 활성은 CGH 처치로 30% 감소한 반면, GOT 및 GPT 활성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알코올성간 손상에 따른 체내 항산화 반응계 중 catalase 효소활성은 알코올 투여군에 비해 CGH 처리군에서 79%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DH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LDH 활성은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해 CGH군에서 20%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CGH는 MEOS활성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작용하여 3% CGH을 급여한 그룹에서는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해 20%까지 활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알코올 단회 투여에 따른 경시적인 혈액 중 ethanol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acetaldehyde 농도는 CGH 투여에 의해 급격히 감소하였고, 시간에 따른 곡선 하 면적으로 환산한 결과, 약 60% 정도 감소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CGH는 알코올대사과정 중 ALDH 및 MEOS 활성에 작용하여 체내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기능 보호효과와 함께 ethanol 대사산물인 acetaldehyde의 체내 배출을 촉진시키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beta$-NSF계 고성능감수제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ion of The $\beta$-NSF Based Superplasticizers Used in Domestic Area)

  • 조헌영;노재성;홍성수;이기준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25-132
    • /
    • 1991
  • $\beta$-NSF 계통의 콘크리트용 고성능감수계를 독자적으로 제조하여(제품C)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beta$-NSF계 고성능감수제들과 콘크리트의 유동화특성 및 고강도콘크리트의 특성을 비교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beta$-NSF계 고성능감수제중에서 M제품과 C제품의 유동화성능 및 고강도성능이 다른 감수제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좋게 나타났다. 나. $\beta$-NSF계 고성능감수제를 첨가한 모든 콘크리트는 감수제를 사용하지 않은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흐름도의 경시변화가 크며,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탁주 2단 담금시 ${\alpha}G-Hesperidine$의 주질 변화 (Change of Takju Qualities during the Second Brewing Process by Addition of ${\alpha}G-Hesperidine$)

  • 송재철;박현정;신완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1-167
    • /
    • 2005
  • 2단 담금시 ${\alpha}G$-헤스페리딘에 대한 막걸리의 주질 개선 효과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알코올 생성량이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며 경시적으로 생성량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환원당은 ${\alpha}G$-헤스페리딘을 첨가한 경우2담 담금2일째는 많은 양의 환원당이 생성되었으나 4일-6일 사이에는 감소하였다. ${\alpha}G$-헤스페리딘 첨가의 경우산도는 담금2일째 이후에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또 ${\alpha}G$-헤스페리딘을 첨가한 경우 fusel oil의 생성이 적게 일어났다. 효모는 ${\alpha}G$-헤스페리딘의 경우에 발효 전기간 동안 효모증식이 잘 이루어졌다. 저장 중 막걸리의 침전속도는 ${\alpha}G$-헤스페리딘을 첨가한 경우는 대조구에 비해서 거의 1.5배 낮은 속도로 침전되었으며 침전량은 경시적으로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alpha}G$-헤스페리딘을 첨가한 경우 막걸리의 떫은맛과 쓴맛은 다소 감소하고 탁도, 신선함은 대조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보다 ${\alpha}G$-헤스페리딘을 첨가한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막걸리는 저장 중 발생하는 이취는 ${\alpha}G$-헤스페리딘을 첨가한 경우 저장 6일째부터 감지되었다.

Tedlar-bag 시료채집법을 이용한 황화합물의 경시적 농도 변화특성: 시료의 생성방식의 차이에 따른 비교연구 (Storage stability of reduced sulfur gases in Tedlar bag sampler: Test of two different storing approaches)

  • 조효재;김기현
    • 분석과학
    • /
    • 제24권3호
    • /
    • pp.212-21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5종류의 황화합물질($H_2S$, $CH_3SH$, DMS, $CS_2$, DMDS)을 10 ppb (nmol/mol) 수준으로 포함하는 기체상 표준시료를 Teldlar bag에 담은 후 시차를 두고 30일 동안의 기간에 걸쳐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황성분의 시간적 안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백에 보존한 시료의 보존방식과 분석시점에 대한 결정을 두 가지 상이한 접근방식으로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시료의 장기적 보관방식과 분석시스템의 일관성에 대한 특성을 동시에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전체 보관기간 동안 분석할 시료를 일괄적으로 준비하여 이들을 시간대별로 하나씩 분석하는 Forward(F)보전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시료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준비하고, 종료시점에 모두 일괄적으로 분석하는 Reverse(R)방식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유의수준 90% 기준으로 t-테스트를 적용하여, 두 가지 분석방식의 자료들간에 차이점을 짝비교 방식으로 검정하였다. 이때 $H_2S$, $CH_3SH$, DMDS성분의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분자량이 가벼운 황성분들($H_2S$$CH_3SH$)과 무거운 황성분들(DMS, $CS_2$, DMDS)간의 경시적 안정도에는 현저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였다. 그러나 두 방식 모두 농도가 감소하는 상대적 경향은 성분 별로 일치하였다.

제초제(除草劑) Dimepiperate와 그 대사물(代謝物)의 지표수(地表水) 및 침투수중(浸透水中) 잔류량(殘留量)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 (Residual Amount of Herbicide Dimepiperate and Hydroxy Dimepiperate in Surface Water and Leachate)

  • 장문수;김윤태;문영희;양환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4
    • /
    • 1993
  • Dimepiperate 및 그 주요(主要) 대사산물(代謝産物)인 dimepiperate-OH의 지표수(地表水)및 침투수중(浸透水中)의 잔류량(殘留量)을 lysimeter를 사용(使用)하여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 63일간(日間)에 걸쳐 경시적(經時的)으로 조사(調査)하였다. Dimepiperate의 지표수중(地表水中) 농도(濃度)는 시용(施用) 1일후(日後)에 3.0Kg/10a시용구(施用區)에서 $851{\sim}897ppb$, 6kg/10a시용구(施用區)에서 $1.755{\sim}1.781ppb$이었고 그 후 경시적(經時的)으로 감소(減少)하여 35일이후(日以後)는 1ppb이하의 극미량(極微量)만이 63일(日)까지 지속되었다. 침투수중(浸透水中)에서 dimepiperate는 약제처리(藥劑處理) 45일(日)이후부터 1ppb이하의 미량(微量)만이 검출(檢出)되기 시작하여 약제처리(藥劑處理) 63일후(日後)까지 큰 변화없이 지속(持續)되었으며 지표수중(地表水中)의 검출량(檢出量)에 비(比)하여 거의 무시할 정도의 극미량(極微量)이었다. Dimepiperate의 주요(主要) 중간대사물(中間代謝物)인 dimepiperate-OH는 dimepiperate표면시용후(表面施用後)부터 지표수중(地表水中)에 검출(檢出)되었고 2일후(日後)에 최고치(最高値) (dimepiperate 3.0Kg/10a처리구(處理區) $88{\sim}159\;ppb$, 6.0Kg/10a처리구(處理區) $135{\sim}173\;ppb$)에 달(達)하였으나, 그후 점점 감소(減少)되었다. Dimepiperate-OH의 경시적(經時的)인 농도감소(濃度減少)는 dimepiperate의 그것과 동일(同一)한 경로(經路)였으나, 35DAT이후부터는 dimepiperate농도(1ppb 이하)보다 dimepiperate-OH농도(2ppb 이하)가 높았다. 침투수중(浸透水中) dimepiperate-OH의 검출(檢出)은 처리량(處理量), 벼이앙 유무(有無)에 따라 달랐으나. 처리(處理) 21일후(日後)부터 검출(檢出)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농도(濃度)는 $0.5{\sim}11\;ppb$로 63DAT까지 비슷한 수준(水準)이었다.

  • PDF

보릿짚시용(施用)이 논토양(土壤)의 생화학성(生化學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Barley Straw on the Biochemical Properties in the Submerged Soil)

  • 정지호;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3-99
    • /
    • 1989
  • 보릿짚시용(施用)이 수도재배(水稻栽培) 논 토양(土壤)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하기 위하여 투수(透水)를 실시하여 토양중(土壤中)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여하는 미생물(微生物), Acetylene 환원력(還元力), 효소활성(酵素活性), 당(糖)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고정(窒素固定) 미생물중(微生物中) Azotobacter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증가(增加)하였고 재배구(栽培區)에서 보릿짚시용(施用)에 의해 $17.61{\times}10^4$ 으로 증가(增加)하였으며 Clostridia는 재배구(栽培區)에서 보릿짚시용(施用)에 의해 분열기에 $34.56{\times}10^4$ 으로 증가(增加)하였다가 그 후(後)에는 $0.3{\times}10^4$ 으로 감소(減少)하였다. Blue-green algae는 출수기에 $18.0{\times}10^3$ 으로 증가(增加)하였다가 그 후(後)에는 $0.46{\times}10^4$ 으로 감소(減少)하였는데 보릿짚시용(施用)에 의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Acetylene 환원력(還元力)은 출수기에 0.012nmol/hour로 감소(減少)하였다가 수확기에 0.44nmol/g/hour로 증가(增加)하였으며 보릿짚시용(施用)에 의한 뚜렷한 차이(差異)는 없었다. 3. 효소활성(酵素活性)의 변화(變化)는 ${\beta}$-glucosidase가 출수기에 $426.8{\mu}mol/g/hour$로 크게 증가(增加)하였다가 그 후(後)에는 $71.64{\mu}mol/g/hour$로 감소(減少)하였으며 Phosphatase는 무재배구(無栽培區)에서 경시적(經時的)으로 감소(減少)하였으나 재배구(栽培區)에서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Protease는 출수기에 $73.1{\mu}mol/g/hour$로 증가(增加)하였으며 보릿짚시용(施用)에 의해 분얼기 무재배구(無栽培區)에서 $94.71{\mu}mol/g/hour$, 출수기 재배구(栽培區)에서 $73.1{\mu}mol/g/hour$로 증가(增加)하였다. 4. 토양중(土壞中) 당(糖)의 변화(變化)는 경시적(經時的)으로 감소(減少)하였으며 보릿짚시용(施用)에 의해 분얼기 재배구(栽培區)의 hexose가 $58.73{\mu}g/g$로 크게 증가(增加)되었다. 5. 유기물(有機物)의 형태(形態)는 ligno-protein이 재배구(栽培區)와 무재배구(無栽培區)에서 보릿짚시용(施用)에 의해 각각(各各) 3840.8mg/100g dry soil, 3898.6mg/100g dry soil로 가장 높았다.

  • PDF

감자 및 닭튀김 중의 튀김유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rying Oils during Potato and Chicken Frying)

  • 손종연;정문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1
    • /
    • 1998
  • 감자 및 닭튀김의 튀김회수에 따른 튀김유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튀김유의 온도변화는 닭튀김의 경우보다 감자튀김의 경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튀김과정 중에 튀김재료인 냉동감자의 중량감소는 21.9% 정도이었으며 닭튀김의 경우 닭튀김물의 중량감소는 12.8% 정도인 것으로 나타내었다. 튀김횟수인 15회까지의 감자 튀김유와 닭튀김유의 산가는 튀김횟수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들의 산가는 모두 0.6이하로 나타났다. 튀김횟수인 15회까지의 감자와 닭튀김유의 과산화물가는 일률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튀김횟수에 따른 감자와 닭튀김유의 요오드가의 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감자 및 닭튀김시 튀김유의 색상은 튀김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R(red)및 Y(yellow)가 뚜렷이 증가되었으며, 닭튀김유는 감자튀김유보다 훨씬 높았다. 튀김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linoleic acid의 감소와 oleic acid의 상대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의 감소와 oleic acid의 증가는 감자튀김유보다는 닭튀김유에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