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사충돌제트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경사 제트에 의한 충돌면에서의 열전달 특성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n Impinging Surface by Oblique Jet)

  • 이창호;조형희;정학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1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28-28
    • /
    • 1998
  • 단일 충돌제트의 경우 충돌면에서의 열전달 효과는 제트 출구와 충돌면 사이의 간격, 노즐 형상에 따른 제트출구의 초기조건, Re$_{D}$수 변화와 충돌면의 형상이나 표면거칠기 등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수직 충돌제트의 경우 정체영역에서의 국소적인 열전달 향상은 용이하나 반경 방향으로 열전달이 점차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충돌면의 전반적인 열전달 향상을 위해서는 열전달이 정체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서 열전달 향상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적용시 충돌면의 형상이나 협소한 공간에서 노즐위치의 제약으로 인하여 충돌제트가 수직으로 분사되는 경우보다 경사진 제트가 더욱 많이 응용된다. 더욱이, 수직충돌제트가 사용되는 많은 상황에서도 주위의 다른 공기 흐름의 영향으로 인하여 실제 제트가 경사각을 갖고 분사되어진다 이러한 경사충돌제트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경사충돌제트에 대한 연구는 수직충돌제트에 대한 연구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져 왔다.

  • PDF

충돌제트의 경사각도가 파형 구조의 열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Oblique Angle Effect of Impinging Jet on Heat Flow Characteristics of a Corrugated Structure)

  • 황병조;김선호;주원구;조형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3-93
    • /
    • 2017
  • 파형 구조는 배열 충돌제트 하류에서의 횡방향 유동 영향을 줄이기 위해 충돌제트 사이의 파형 속에 사용된 냉각 공기를 유입시키며, 이러한 파형 구조에서의 유동 및 열전달 특성에 대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계산은 3차원, 정상상태, 비압축성 유동으로 고려하였으며 ANSYS-CFX 15.0 코드를 사용하였다. 제트 홀에서 평균 Reynolds 수는 10,000이며, Spanwise 단면에서 충돌제트의 경사각도는 $70^{\circ}$, $80^{\circ}$$90^{\circ}$ 이고, Streamwise 단면에서 충돌제트의 경사각도는 $70^{\circ}$, $90^{\circ}$$110^{\circ}$ 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열 충돌제트의 경사각도가 파형 구조의 유동 및 열전달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경사 평판에 충돌하는 초음속 과소팽창 제트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택상;이정민;박종호;김윤곤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9년도 제13회 학술강연논문집
    • /
    • pp.32-32
    • /
    • 1999
  • 초음속 과소 팽창 제트가 경사진 평판에 충돌을 하게 되면 평판의 표면과 노즐출구에서 팽창된 자유제트(Free jet)와의 상호 간섭으로 인해 매우 복잡한 유동 구조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수직평판에서 발생되는 판 충격파(Plate shock)는 경사평판에서는 Upper plate shock, Lower plate shock, Intermediate plate shock과 같이 여러 형태로 발생되어 평판에서의 압력분포에 있어 수직일 경우와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평판의 경사각을 변화시킬 때 평판 표면에서의 복잡한 유동 현상을 이해하는데 있다.

  • PDF

단일 축대칭제트에 의한 경사충돌면에서 유동 및 열전달 특성 (Flow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n Oblique Impingement Surface by Single Axisymmetric Jet)

  • 이창호;황상동;조형희;정학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4-40
    • /
    • 1999
  • 경사면에 충돌된 제트의 유동은 주제트(major jet)와 부제트(minor jet)로 나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경사면 양쪽 영역에서의 유동 및 열전달 특성이 상이하게 된다. 또한 분사된 제트는 코안다 효과 (Coanda effect)로 인하여 경사면 위쪽으로 편향이 되어 충돌하게 된다. 이 결과 부제트영역에서 높은 난류 강도와 운동량를 얻을 수 있고, 국소 열전달계수를 상당히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사면의 각도와 분사속도를 변화시켰을 때 제트의 유동특성 변화 및 충돌면에서의 열전달 특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 PDF

초음속 충돌제트의 유동 가시화 및 열전달 특성 (Heat Transfer and Flow visualization of Supersonic impinging jet)

  • 조용일;김병기;조형희;황기영;배주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0년도 제15회 학술강연회논문초록집
    • /
    • pp.31-31
    • /
    • 2000
  • 초음속 충돌제트(impinging jet)의 열 및 운동량 전달(heat and momentum transfer)은 로켓의 이ㆍ착륙, 다단 로켓의 분리, 로켓의 방향조절을 위해 배기 노즐에 부착되는 제트 베인(jet vane)이나 스포일러 탭(spoiler tab), 수직/단거리 이착륙기의 발진, 미사일 발사시스템, 전투기 동체, 날개, 후미 부분에서 발사되는 미사일의 배기가스가 주변장치 등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 등을 사전 예측하여 관련장비의 설계 둥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초음속 유동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마하수(Mach Number) 1.0 및 1.8인 경우에 대하여 수직/경사평판에서 팽창 비, 거리, 경사각에 따른 충돌 면에서의 단열 벽면온도를 측정하였다. (중략)

  • PDF

경사 평판에 충돌하는 초음속 과소팽창 제트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Supersonic Underexpanded Jet Impinging on an Inclined Plate)

  • 이택상;신완순;이정민;박종호;윤현걸;김윤곤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67-74
    • /
    • 1999
  • 고체 물체 표면이나 지표면에 초음속 제트가 충돌할 때 발생되는 문제들은 다단 로켓의 분리, 우주공간에서의 도킹, 수직 이/착륙기, 제트 엔진의 배기가스, 가스터빈 블레이드, 지상 로켓 발사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일어나며 이러한 충돌제트의 유동은 아음속과 초음속 혼합영역, 충격파가 교차하는 영역, 팽창파, 난류 전단층 등의 매우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출구마하수 2, 축소-확대형 초음속 노즐을 통해 과소 팽창된 제트가 수직, 경사평판에 부딪힐 때 형성되는 표면압력분포 및 유동가시화 등을 초음속 유동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평판에서의 최대압력은 수직일 경우보다 경사졌을 때 훨씬 더 컸으며, 이는 여러 충격파를 통한 압력 회복 때문이다. 또한, 평판이 자유제트의 첫 번째 충격파 셀 내에 위치할 때 과소 팽창비에 따른 표면압력분포는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 PDF

2차원 경사 충돌제트의 열전달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heat transfer with a two-dimensional oblique impinging jet)

  • 윤순현;김문경;이대희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27-434
    • /
    • 1997
  •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two-dimensional oblique impinging jet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measured by a thermochromic liquid crystal. The jet Reynolds number studied was varied from 10000 to 35000, the nozzle-to-plate distance(H/B) from 2 to 16, and the oblique angle($\alpha$) from $60^{\circ}$ to $90^{\circ}$. It was observed that the local Nusselt numbers in the minor flow region were larger than those in the major flow region at the same distance along the plate due to the higher levels in the turbulent intensity caused by more active mixing of the jet flow.

  • PDF

오목표면에 분사되는 경사충돌제트의 난류열전달 현상에 관한 연구 (Turbulent Heat Transfer of an Oblique Impinging Jet on a Concave Surface)

  • 임경빈;최형철;이세균;최상경;김학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71-380
    • /
    • 2000
  • The turbulent heat transfer from a round oblique impinging jet on a concave surface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transient measurement method using liquid crystal was used in this study. In this measurement, a preheated wall was suddenly exposed to an impinging jet while recording the response of liquid crystals to measure surface temperature. The Reynolds numbers were 11000, 23000 and 50000, nozzle-to-surface distance ratio was from 2 to 10 and the surface angles were a =$0^{\circ}\;15^{\circ},\;30^{\circ}and\;40^{\circ}$. Correlations of the stagnation point Nusselt numbers with Reynolds number, jet-to-surface distance ratio and dimensionless surface angle, which account for the surface inclined angle, are presented. The maximum Nusselt numbers, in this experiment, occurred in the direction of upstream. The displacement of the maximum Nusselt number from the stagnation point increases with increasing surface angle or decreasing nozzle-to-surface distance. In this experiment, the maximum displacement is about 0.7 times of the jet nozzle diameter when surface curvature, D/d is 10.

  • PDF

초음속 충돌제트의 유동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of a Supersonic Impinging Jet)

  • 신필권;신완순;이택상;박종호;김윤곤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0-19
    • /
    • 1998
  • 초음속 부족팽창제트가 충돌할 때 유동장은 매우 복잡한 유동구조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음속노즐 출구 직경의 1.5배 거리에 경사각 $60^{\cire}$~$90^{\cire}$로 설치된 평판에 미치는 초음속 제트에 대해 쉴릴렌 장치를 이용하여 유동구조를 가시화 하였으며, 평판 위에 작용하는 압력분포를 측정하였고 감열지를 이용하여 평판 표면 유동을 가시화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간단한 방법으로 저마하수에서의 평판 유동을 가시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충돌제트의 유동구조를 규명하였다.

  • PDF

과소팽창비와 경사각에 따른 평판에서의 단열벽면온도분포 (Adiabatic wall temperature distribution on a plate as under-expanded ratio and impinging angle)

  • 유만선;조형희;황기영;배주찬;이장우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3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3-118
    • /
    • 2004
  • 평판에 충돌하는 과소팽창 충돌제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구하기 위해 근거리에서 경사 각도와 과소팽창 비의 변화에 따른 실험을 수행하였다. 과소 팽창비가 증가하면서 최대표면압력 값들은 작아지며, 회복계수의 감소효과는 커진다. 또한 경사각도 감소에 따라 표면 압력 정점의 위치는 상류로 이동하고, 저온영역의 범위는 상류에서 감소하는 반면 하류로 넓게 분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