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사분석

Search Result 2,71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alysis of the Effect on the Location Evaluation of Golf Course according to the Unit Grid Size applied in the Slope Analysis(In flank of Environment) (경사도 분석에 적용하는 단위격자크기가 골프장의 입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환경적 측면에서))

  • Um, Dae Yong;Lee, Beu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5
    • /
    • pp.467-475
    • /
    • 2012
  • In this study, the problems were analyzed that derived a different position evalua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unit grid size that are applied to the terrain slope analysis conducted to assess the its position and environmental impacts in the prior environment reviewing process of golf course construction projects. For this purpose, the unit grid size were analyzed that can precisely reflect a actual terrain by analyzing the change of a slope percenta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unit grid size about 12 golf courses is currently in progress of construction work through the environmental consultation or ongoing consultation. And the consultation availability of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reverified by applying the unit grid size derived through this study about a study golf course. In the result of study, the bigger grid size for slope analysis is set, the greatly gradient is changed and the slope ratio of the higher elevation was lowly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actual terrain. The analytical result that most closely match the actual terrain was extracted in the case applied $5m{\times}5m$ of the unit grid sizes setting in this study. So, we proposed this study results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could be amended the unit grid size of $5m{\times}5m$ as standard for the analysis of slope. Also, if new grid size for site evaluation is applied to the study sites, 4 sites exceed the standard suggested the existing regulations and they are not proper as golf course site in flank of environment.

A Basic Study of Roughness coefficient of Domestic Rivers (국내 하천 조도계수 산정을 위한 기초연구)

  • Yoo, Dong-Hoon;Lee, T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75-1780
    • /
    • 2009
  • 개수로 마찰흐름 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유량조사사업단(2006)의 우리나라 3대강 유역 하천 관측자료와 Jarrett(1984)의 미국 Colorado지역 하천의 관측자료로 부터 흐름특성을 구분하여 개수로 흐름의 마찰특성 또는 조도계수의 변이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지수형 완난류 마찰계수 산정식(유동훈과 이민호,1997)의 비례상수 $\alpha$에 조도계수 n을 도입하여 실무에서 보다 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유량조사사업단의 관측자료 분석에 있어서 유량 관측시 관측지점의 수면경사 및 하상경사의 미관측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상에 제시된 지형으로부터 관측지점의 하상경사를 추정하였으며 1차적으로 에너지경사는 하상경사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하에 하천정비기본계획상에 제시된 Manning의 조도계수를 인용하여 관측유속과 계산유속을 비교8 분석하였다. 또한 전통적 산정식인 Ganguillet & Kutter(1869)식과 Manning(1889)식으로 부터 산정된 유속과의 비교를 통하여 조도계수 n을 추정하였고 추정된n을 도입하여 새로 개발된 지수형 마찰계수 산정식의 적용성을 입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존 조도계수 산정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 PDF

Estimation of Groundwater Discharge in Coastal Area II. Reliability Analysis (해안지역 지하수유출량의 평가 II. 신뢰성 분석)

  • Bae, Sang-Keun;Kim, Yong-Ho;Choi, Y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00-1904
    • /
    • 2006
  • 선행연구를 통하여 평가된 지하수해안유출량에 대한 신뢰성분석을 유출량산정에 이용된 기초자료와 산정된 유출량에 대한 변화특성 및 불확실성분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연도별 그리고 계절별 지하수 해안유출량 변화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지하수 해안유출량의 변화는 지하수면 경사의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으로 지하수면 경사의 변화 특성으로부터 지하수 해안유출량 변화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상관성검정에서는 지표면 경사와 지하수면 경사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지역별 차이는 있으나 지하수면 경사의 계절별, 연도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지하수해안유출량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자료 수가 정도 높은 계산을 하기에 충분하지 않아 산정된 유출량에 불확실성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충분하지 않은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지하수 해안유출량의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주요 지역의 각 소유역별 지하수해안유출량의 불확실성은 $2%\sim42%$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각 소유역의 불확실성이 가장적은 지역은 영암지역 이고 각 소유역의 불확실성이 가장 큰 지역은 함평지역임을 나타내었다.

  • PDF

The comparison of Chiu's and Manning Velocity Equation Using Labor Date with Varied Channel Slope (하상경사가 변화는 실험실 데이터를 이용한 Chiu의 유속공식과 Manning 의 유속공식과의 비교분석)

  • Choo, Tai-Ho;Ok, Chi-Youl;Lee, Seoung-Kwan;Je, Sung-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4-107
    • /
    • 2007
  • 현재까지 수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고 인용된 공식이 있다면 아마도 1800년에 발표한 Manning의 유속 공식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만큼 그 쓰임새가 많았을 뿐만 아니라 사용의 편리생과 정확도에서도 매우 우수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우수한 공식이라도 약점이 있듯이, Manning의 유속공식 역시 조도계수n을 추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확률통계에서 사용되는 엔트로피 개념을 이용한 3차원 유속분포식인 Chiu의 유속공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실증적으로 Chiu의 유속공식과 Manning땅의 유속공식을 비교분석하였던 논문은 Chiu와 Choo의 논문에서 일부 언급된 것 외 논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상경사를 임의로 변경 가능한 실험수로를 선택하여 정밀법에 의한 유속측정을 우선 실시하였다. 같은 지점의 같은 단면에서 하상경사(${\Theta}$)가 0.000935부터 0.025794까지 28번의 경사변화를 주고 각 경사마다 유량을 측정하여 28개의 유량측정 데이터를, Chiu의 유속공식과 Manning의 유속공식에 각각 적용하여, Chiu의 M과 Manning의 n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하상경사변화에 따른 관련인자들을 함께 분석하였으며, 실측된 평균유속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Applicability of Visual Urban Model in Korea (Visual Urban 모형의 적용성 분석)

  • Lee Joon Ho;Kwon In Sub;Yoon Sei Eui;Lee Jong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40-3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도로 빗물받이의 차집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측구 부분을 대상으로 수리모형을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고, 실측된 결과를 FHWA의 범용프로그램인 Visual Urban 모형의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이 모형의 국내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에는 국내 표준규격인 40x50cm의 쇠살대 유입구(grater inlet)를 사용하였으며, 측구의 유량은 도로의 차선 및 빗물받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4\~13{\ell}/sec$를 선택하였다. 도로의 종경사는 $2,\;4,\;6\%$를 선택하고, 측구의 횡경사는 $4,\;6,\;8\%$를 선택하여, 총 36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Visual Urban 모형을 적용하여 모의한 결과와 실측값을 비교한 결과 종$\cdot$횡경사가 작은 경우에는 오차의 범위가 $6\%$정도였으며 종경사 $4\%$, 횡경사 $8\%$이상이면 비교적 일치하였다.

  • PDF

THE POSITION OF THE INCISORS IN CORRELATION TO ANB ANGLE, PROCUMBENCY AND INCLINATION IN KOREAN NORMAL OCCLUSION (한국인 정상교합에 있어서 전치의 위치와 ANB각, 돌출도, 경사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두부 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 Chang, Sang Hu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 no.1
    • /
    • pp.7-14
    • /
    • 1971
  • 저자는 한국인 정상교합에 있어서 상하악 전치의 위치가 ANB각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전치의 위치가 돌출도와 경사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지를 조사 연구하기 위하여 $20\~24$세 연령의 남자 54명, 여자 56명 합계 110명의 한국인 정상교합의 측모두부 X-선사진을 사용 분석했다. 이의 통계분석은 Computer 과정을 거쳤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하악 전치 경사는 ANB각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고, 상악전치의 위치는 ANB각에 (-)상관관계 하악전치의 위치는 ANB각에 (+)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Steiner 분석법의 acceptable compromise에서 보여준 것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2. 상악전치 경사는 상악돌출도와 (-) 상관관계가 있다. 3. 1-NA각은 상악경사도와 상호독립적이다. 4. 1-NA각은 하악돌출도와 하악경사도와 의의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1-NA거리와 상악경사도와의 상관관계는 여성군에서만 의의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하악전치치축경사는 하악돌출도와 하악경사도와는 남성군에서만 상관관계가 있고 여성군에서는 의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search on Relationship of Bed Material and Channel Characteristics (대표 입경과 하도 특성의 관계 분석)

  • Lee, Du-Han;Son, Min-Woo;Kim, Myoung-Hwan;Kim, Cha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13-617
    • /
    • 2006
  • Bed material in natural streams is affected by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upstream and acting focre by flow of stream. Acting force in streams are also affected by bed slope and discharge of streams. Yamamoto(1994) suggested that channel reaches with similar slope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values in representative bed material size, tractive force, channel width and depth. He also suggested that main factors dominating channel characteristics are mean annual discharge, epresentative bed material size and bed slope. Bed material shows 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annels. In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bed material in natural or close to natural streams were studied and compared with Janpanese stream data. In the result, characteristics of gravel and sand material can be presented in the term of non-dimensional tractive force, bed slope and bed material size.

  • PDF

Analyses for hydraulic gradient and major flow direction of groundwater in the soil aquifer (토양층에서 지하수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 분석)

  • Kim, Tae-Yeong;Kang, Dong-Hwan;KIm, Sung-Soo;Kwon, Byung-Hyuk;Yu, Hu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55-195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토양층에서 지하수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여 변동특성을 분석하고, 그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부지는 부경대학교 환경연구동 앞 잔디밭이며, 2008년 10월 18일 ${\sim}$ 11월 1일의 기간 중 12일(10월 21, 28일은 관측 못함) 동안 24회 관측되었다. 관측된 지하수공은 9개공이며, 4 m ${\times}$ 4 m의 정방형으로 설계되었다. 지하수위에 의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산정은 총 9가지 형태의 평면으로 가정하여 산정하였다.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기 위한 평면은 모두 9가지 형태로 가정하였다. 첫 번째는 9개공 모두를 이용한 정방형 평면(TW), 두 번째는 6개공을 이용한 4가지 경우의 삼각형 평면(T1, T2, T3 및 T4), 세 번째는 6개공을 이용한 4가지 경우의 직사각형 평면(R1, R2, R3 및 R4)으로 가정하여 각각의 평면에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였다. 이상에서 가정된 9가지 평면에서 산정된 평균 수리경사는 0.0094(R2) ${\sim}$ 0.0123(T2)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9개공 모두를 이용한 평면(TW)에서의 평균 수리경사는 0.0109로 산정되었다. 관측기간 동안 T1과 T3 평면의 평균 주 흐름 방향은 각각 -84.9818과 -86.2487로서, 다른 7개 평면의 평균 주 흐름 방향이 79.7045(T4) ${\sim}$ 85.8405(TW)의 범위로 나타난 것과는 반대의 흐름 방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 적용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산정기법(Devlin, 2003)이 삼각형 형태의 평면에는 부적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관측기간 중 10월 12일에 내린 소량의 강우(12 mm)에 의한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변동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방형, 삼각형 및 직사각형의 평면 토양층에서 지하수의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을 산정하여 전체 및 국부적인 부지에서의 차이를 파악하고, 평면의 형태에 따른 수리경사와 주 흐름 방향의 차이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flow change for urban basin characteristics in optimal sewer networks (도시유역 특성별 우수관망 최적화에 따른 유출 변화 분석)

  • Lee, Jung-Ho;Song, Yang-Ho;Ryu,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7-247
    • /
    • 2011
  • 도시유역에서의 일반적인 우수관거 설계 및 기존의 연구들은 수리학적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최소의 비용을 위한 관거 설계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그러나 최적의 우수관거 설계는 우수관거의 근본적 목적인 내수배제를 최대화 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것은 관망 구성에 따른 시스템 내 유입 수문곡선들 간의 중첩효과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내 흐름의 변화를 관망의구성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는 목적함수로서 다루고 있는 이정호(2010)의 우수관망 최적설계 모형에 대하여 각기 다른 유역 특성을 나타내는 실제 도시유역에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최적 우수관망 노선 결정 모형은 이정호(2010)가 개발한 모형으로 도시유역에서의 우수관망의 노선 결정을 유출구 첨두유출량 최소화를 목적으로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모형이다. 이정호(2010)는 개발된 모형을 통하여 관망 노선을 결정한 결과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에 대해서 내수침수 발생이 저감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정호(2010)의 모형에 대한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유역 특성을 갖는 실제 도시유역들에 대하여 해당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때 유역의 특성은 지표유출 및 첨두유출량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역의 지표 경사에 대하여 고려되었다. 적용된 도시유역은 총 3개 배수분구로서 평균 지표 경사는 0.008, 0.006, 0.002로 각기 높은 경사, 보통 경사 및 완만한 경사 지대를 염두에 둔 유역 선정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각 유역에 대하여 우수관망 노선을 최적화한 결과 설계빈도의 강우지속기간 30분 강우에 대하여 현재의 관망 대비 최적화된 관망에서의 첨두유출량 저감 비율은 지표경사 0.008인 유역에서는 약 7%, 지표경사 0.006인 유역에서는 약 17%, 지표경사 약 0.002인 유역에서는 약 8%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유역의 경사 특성에 따른 최적 우수관망을 통한 첨두유출량의 저감 비율간에는 상관관계를 정의할 수 없으며, 단지 우수관망에서의 노선 변경이 가능한 맨홀 지점이 어떤 중요한 지점에 얼마나 위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n ero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omorphologic factor thresholds in the watershed (유역내 지형학적 인자의 임계특성에 따른 침식특성 분석)

  • Oh, Sung Ryul;Yoon, Eui Hyeok;Jung, Kwan Soo;Kim, Jeong Yup;Choi, Y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8-628
    • /
    • 2015
  • 유역의 형상은 강우, 산사태 등과 같은 지배적인 침식작용과 더불어 지형 지질학적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그러므로 유역형상에 대한 공간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지형학적 요인과 다양한 침식작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외 많은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형학적 인자에 의한 침식 형태는 국부경사와 집수면적의 크기에 의해 다양한 구간으로 나뉘며, 그 특성에 따라 지표침식, 세굴, 산사태 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일례로 유역 내 세굴과 관련된 지배인자는 집수면적보다는 국부경사에 반대로 지표침식, 산사태는 국부경사보다는 집수면적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형학적 인자(국부경사, 집수면적)의 임계치(threshold) 산출을 통해 침식특성(불안정지역)을 검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물리적 검증은 여러 연구를 통해 물질플럭스(유량, 에너지)에 대한 Power Law로써 검증된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형학적 침식특성 분석을 위하여 2006년 집중호우에 의해 광역적 산사태가 발생한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일대의 $10m{\times}10m$ DEM로부터 국부경사, 집수면적을 산출하고 경사-면적한계곡선(Slope-Area Threshold Curve, SATC), 배수면적 확률분포곡선(Probability distribution of Drain Areas Curve, PDAC), 에너지지수 확률분포곡선(Probability distribution of Energy Index Curve, PEIC)를 실제 산사태지점과 중첩하여 도시하였다. 그 결과, 특정 임계구간(Threshold Area, Unstable area, 2~3권역)내에서 산사태 발생지점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지형학적 인자만을 고려하여 미계측 유역에 대한 잠재적 불안정지역의 판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광역적 사면안정해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