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부종괴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19초

자궁경부 위형 점액샘암종의 위 전이: 증례 보고 (Gastric Metastasis from Gastric-Type Mucinous Adenocarcinoma of Uterine Cervix: A Case Report)

  • 김민혜;김경아;전이경;김정우;이종미;이창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445-450
    • /
    • 2024
  • 자궁 경부암의 위 전이는 매우 드물며, 소수의 증례만이 영문 문헌에서 보고되었다. 자궁경부 위형 점액샘암종은 드문 아형의 점액샘암종이다. 위형 점액샘암종은 진행성 암에서 발견되는 공격적인 암이지만, 위로의 전이는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61세 여성의 자궁경부 위형 점액샘암종이 위 날문방에 전이된 증례를 보고하며 위 전이 및 자궁경부 점액샘암종의 영상의학적 소견을 서술하고자 한다. 위 전이는 조영증강이 잘되지 않는 점막 하 종괴로 보였다. 점액샘암종은 조영증강이 잘되지 않는 침윤성 종괴로 보였다. 확산강조영상에서는 경도의 고신호강도를 보였고 겉보기확산계수 지도에서는 낮은 값을 보였다. 이 사례는 매우 드물며 진단이 어렵지만, 자궁경부암의 유형이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비의존 위형 점액샘암종이며 동시에 위의 점막 하 병변이 발견된 경우, 우리 사례와 유사한 패턴의 전이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결핵성 경부 임파선염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 조동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957-963
    • /
    • 1997
  • 결핵성 임파선염은 아직도 한국에서 많이보는 질환이며 젊은여자 성인 특히 아시아인이나 흑인에서 가장 흔하다. 이 질환은 두경부에 흔히 무통성으로 서서히 림프절이 커지는 양상을 보이나 인체내 결절이 있는 어디나 오며 종격동 결절에도 온다. scrofula(선통(腺病))는 다양한 종양, 비종양성 종괴, 감염질환 특히 경부임파선염 풍과 구별되야만 한다. 비록 병력, 역학, 임상양상 흉부 엑스선 그리고 결핵반응검사로써 만족할만한 진단을 내리지만 절제생검으로 조직 및 배양이 필요하기도 하다. 궤양이나 만성 누공 형성을 막기위해 부분생검이나 절개 및 배농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치료는 항결핵화학요법이며 가끔 외과적 적출술이 약물요법과 더불어 요구되기도 한다.

  • PDF

경부종괴 양상으로 나타난 뇌기저부 혈관주위세포종 1례 (A Case of Skull Base Hemangiopericytoma Presenting as Neck Mass)

  • 김영민;문유보;안혜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1-226
    • /
    • 1993
  • Hamangiopericytoma, first described by Stout & Murray in 1942, is a rare vascular tumor composed of spindle-shaped or rounded cells proliferating around endothelial lined capillaries. These proliferating cells were belived to arise from the pericytes of Zimmerman. Histologically, this tumor demonstrates great variability and clinical course cannot be predicted from the histological appearance. Head and Neck hemangiopericytoma appears to have a lower grade malignancy with frequent local recurrency and metastasis, therefore, aggressive surgical therapy should be the treatment of choice. We experienced a case of hemangiopericytoma occurred in the right skull base at submastoideal and suboccipital area presenting as neck mass in upper occipital triangle in a 42 years old female patient and we report it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PDF

편측 성대마비 8례에 대한 피열연골 내전술 (Arytenoid adduction on 8 cases of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 김광현;변성완;고태용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3년도 제1회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집
    • /
    • pp.19-19
    • /
    • 1993
  • 편측 성대마비에 대해서 Teflon 삽입술, 갑상연골성형술, 피열연골내전술 등 여러 술식이 사용되고 있다. 1993년 3월부터 1993년 10월까지 서올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 8례의 편측 성대마비에 대해서 피열연골 성형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원인으로는 특발성이 3례, 갑상선 수술에 후발한 것이 2례, 경부종괴절제수술에 후발한 것이 2례, 흉부수술에 후발한 것이 1례, 디프테리아가 1례였고, 좌측 성대마비가 5례, 우측 성대마비가 3례였다.(중략)

  • PDF

내경동맥 풍선 시험 결찰술(BTO)시 $^{99m}Tc$-HMPAO 뇌 SPECT를 이용한 대뇌 측부 순환의 평가 (Assessment of Cerebral Collateral Circulation Using $^{99m}Tc$-Hexamethyleneamine Oxime (HMPAO) SPECT During Internal Carotid Artery Balloon Test Occlusion)

  • 유영훈;윤미진;정태섭;이종두;박창윤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2-30
    • /
    • 1995
  • 저자들은 두개 기저나 경부종괴 또는 내경동맥의 동맥류등으로 인하여 내경동맥의 결찰이 필요한 환자에 있어서 객관적인 관점에서 수술전에 영구적인 내경동맥의 결찰의 안전성에 관하여 $^{99m}Tc$-HMPAO 뇌 SPECT를 이용하여 보고자 하였다. 내경동맥의 결찰이 고려되는 24명의 두개기저나 경부종괴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저자들은 풍선 시험 결찰술 시행전과 시행중의 양측 중대뇌동맥 영역의 섭취정도를 $^{99m}Tc$-HMPAO 뇌 SPECT를 이용하여 비교해보았고 이러한 결과를 신경학적 검사, 경동맥 스텀프압 고리고 뇌전도검사등과 비교해 보았다. 대상환자중 19명의 환자에서는 풍선 시험 결찰술 동안 신경학적 이상등의 문제들을 경험하지 않았고 이들에 있어 중대뇌동맥영역의 섭취정도는 결찰술 시행전에 비교하여 95-101%에 해당하였다. 나머지 5명의 환자에서는 일과성 반신마비와 의식소실등의 심한 신경학적 증상을 보였고 이들에 있어 중대뇌동맥 영역의 섭취정도는 시행전에 비하여 77-85%에 해당하였으며 다른 검사결과와도 잘 부합되었다. 결론적으로 풍선시험결찰술 시행전과 시행중의 $^{99m}Tc$-HMPAO 뇌 SPECT는 중대뇌동맥영역의 섭취가 시행전에 비교하여 85%이하인 경우 영구적인 신경학적 결손을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하고 객관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우총경동맥류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a Right Common Carotid Artery Aneurysm)

  • 민선경;황은구;장진순;김용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79-281
    • /
    • 2009
  • 38세 남자가 우측 경부의 약 $5{\times}6cm$ 크기의 박동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종괴는 최근 2개월간 빠르게 커졌으며 간헐적인 경부 통증과 애성 등의 증상이 동반되었다.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우측 총경동맥 분지부 직하방에 위치한 동맥류를 확인하였으며 그것은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을 압박하고 있었다. 내부 단락을 사용하여 뇌혈류를 유지한 상태에서 우내경동맥 일부 내막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동맥류를 절제하고 도관대치를 시행하였다. 수술 중 주위 신경조직의 손상은 없었으며 별다른 합병증 없이 회복하여 환자는 수술 후 7일에 퇴원하였다.

종격동 진성 흉선 증식증에 동반된 경부 이소 흉선 1례 (A case of true thymic hyperplasia in the mediastinum with ectopic thymus in the neck)

  • 김현정;장선화;박지숙;박은실;서지현;임재영;박찬후;우향옥;윤희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96-999
    • /
    • 2006
  • 소아에서 종격동 진성 흉선 증식증과 경부 이소 흉선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은 경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종격동 진성 흉선 증식증에 동반된 경부 이소 흉선을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악하부에 발생한 결핵성 경부 임파선염 (A CASE REPORT OF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ON SUBMANDIBULAR AREA)

  • 이승호;김창룡;박문성;김영운;정승룡;이종호;류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456-461
    • /
    • 1995
  • 저자들은 좌측 악하부의 종창을 주소로 내원한 48세 여자 환자에서 임상소견과 방사선 검사 및 절제생검 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폐의 일차적 결핵병소 없이 발생한 결핵성 경부 임파선염으로 진단하고 절제생검과 술후 isoniazid, rifampin, ethambutol을 이용한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치험하였다. 비록 흔하지는 않지만 특히 젊은 성인에서 경부에 종괴가 있을 경우 감별진단시에 결핵성 경부 임파선염을 고려해야 하며, 이 질환은 재발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관찰과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하인두암 (Cancer of the Hypopharynx)

  • 설대위;정성민;박윤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0
    • /
    • 1987
  • 하인두암은 거의 대부분 이상동(Pyriform Sinus) 에서 발생하며 상당한 정도 진행 시까지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저자들은 1966년부터 1985년까지 만 20년간 하인두에서 발생된 암환자 63명을 중심으로 임상 관찰 및 문헌고찰과 함께 발표하는바이다. 원발병소로는 전체 중 58명에서 이상동, 하인두벽(hypopharyngeal wall) 3명, Postcricoid hypopharynx 와 pharyngopalatine fold 에서 각각 1명씩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저자들은 설저(base of tongue)암, supraglottic Ca. 및 경부 식도(cervical esophagus)암 경우는 모두 제외시켰다. 임상증상으로서는 경부 종괴(lump)가 33 예로써 가장 현저했으며 또한 첫증상으로써 연하곤란(dysphagia) 또는 sore throat를 나타낸 경우는 32 예 이었다. 그 외에 hoarseness 가 20 예, bloody sputum 4 례 및 호흡곤란 2 예의 순이었다. 내원까지의 증상기간은 대부분 $4{\sim}6$ 개월 이었다. 흡연관계는 1일 1값 이상의 중등도 흡연 경우는 전체의 58% 이었으며 흡연 사실이 있었던 경우는 전체의 88% 이었다. 연령별 발생빈도는 50대$\sim$60대에서 48명으로서 현저히 높았다. 완치 목적의 수술적 치료는 24명에서 시행하였으며 치료 거절은 16명이었다. 치료 거절하였던 환자들 중 81% 가 임상적 제 4 병기였으며 보조적 치료 요법을 실시한 환자들의 78% 에서 제 4 병기였다. 또한 완치 목적의 치료 실시 경우의 67% 에서 제 4 병기였다. 수술요법은 일반적으로 "후두 인두 적출술 및 양측 경정맥 임파군 곽청술"(laryngopharyngectomy with bilateral jugular dissection) 또는 후두 인두 적출술 및 동측의 표준 광범위 경부 곽청술(standard radical neck dissection) 과 반대측의 경정맥 임파군 곽청술을 시행하였다. 3 년 이내와 3 년 이상무병 상태(free of disease) 경우가 각각 4명씩이었다. 마지막 예후 추적 조사시까지 무병 상태였던 환자를 포함하여 예후 추적 조사기간 중 추적 실패 경우는 7명이었다. 확정된 3 년 생존율(determinate 3-year survival rate) 은 31% 이었다. 수술 사망이 1명 있었으며 재발경우는 9 명이었다. 재발부위로는 원발병소 재발이 7명, 경부 재발 1명 및 원격전이가 1명 이었으며, 저자들은 이에 대한 실패 원인을 규명코져 하였다.

  • PDF

만져지는 경부 종괴로 나타난 현성 스파르가눔증: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Apparent Sparganosis Presenting as a Palpable Neck Mas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황민희;백혜진;이상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210-1215
    • /
    • 2020
  • 스파르가눔증은 스피로메트라 아속의 유충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드문 기생충 질환이다. 경부 스파르가눔증은 드문 질환이기 때문에 림프절 병증이나 연부 조직 종양으로 오인되어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저자들은 영상 소견이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53세 여성 환자의 현성 경부 스파르가눔증의 증례를 보고한다. 이 증례 보고를 통해 저자들은 만져지는 경부 종물이 있을 때 스파르가눔증을 감별진단으로 고려해야 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스파르가눔증에 대한 임상적 의심 및 영상의학적 소견에 대한 이해가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