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부종괴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Neurilemmomas of the Cervical Vagus Nerve (경부 미주 신경에 발생한 신경초종)

  • Park Cheong-Soo;Suh Kwang-Wook;Kim Choon-Kyu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7 no.1
    • /
    • pp.52-56
    • /
    • 1991
  • 인체에서 발견되는 전체 신경초종중 $25{\sim}40%$가 두경부에서 발견되나 경부미주신경의 신경초종은 매우 희귀하여 1988년까지 영문문헌상 88 예가 보고되어 있다. 임상적으로 경부종괴가 주증상이며 때로는 애성, 종괴촉지시 기침 혹은 방사통, parapharyngeal space 의 종괴성장으로 연하곤란등이 초래되기도 한다. 치료는 종괴의 완전적출과 미주신경의 기능을 보존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로 되어 있다. 저자들은 최근 5년간 4 예의 정부미주신경외 신경초종을 경험하였는데, 3 예는 측경부의 상부에, 1예는 측경부의 하부에 발생한 것이었다. 연령은 25세에서 50세까지 성인연령이었고, 성별은 남자 l 예, 여자 3 예이었다. 내원시 주소는 전예가 무통성 경부종괴이었으며, 종괴의 크기는 직경 3cm에서 10cm까지 다양하였다. 전예에서 종괴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은 없었으나, 1 예에서 parapharyngeal space 의 거대종괴 때문에 다소간의 연하곤란이 있었다. 2 에에서는 종괴촉지시 기침이 유발됨을 호소하였다. 수술은 경부횡절개로 흉쇄유돌근을 제치고 총경 동맥과 내경정맥을 종괴의 상하부위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박리한 후 종괴의 피막을 미주 신경의 주행방향에 따라 절개하여 적출 (enucleation) 하였다. 적출술시 종괴가 유착되어 있는 피막 부위는 동시에 절제하되 미주신경의 신경경로 (neural pathway) 는 유지되도록 하였다. 수술직후 2 예에서 일시적 애성을 호소하였다, 추적은 최단 20 개월에서 최장 80 개월까지 하였는데 일시적 애성은 호전되었고 전예가 재발없이 건강하게 지내고 있었다. 따라서 본 종양수술은 종양적출술시 이환된 미주신경의 절단을 결정하기 전에 신경경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적출술 (enucleation) 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of Thyroid Gland : A Case Report (갑상선에 생긴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1예)

  • Jang, Chul Soon;Yeon, Je Yeob;Park, Soo Kyoung;Lee, Dong Woo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9 no.1
    • /
    • pp.18-21
    • /
    • 2013
  •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골수에서 유래하는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의 이상 증식에 의해 발병하는 희귀한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모든 장기에서 발생 할 수 있으나 갑상선을 침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18세 남자가 5달전부터 점점 커지는 갑상선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여 세침흡인 세포검사, 총샘검,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세침흡인 세포검사에서 악성신생물이 의심되었고, 총생검에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으로 나타났다.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우측 갑상선에서 윤곽이 잘 구분되는 저음영의 종괴와 우측 기관 주위 림프절의 종대가 관찰되었다. 갑상선 전절제술과 우측 중앙 선택적 경부 림프절 청소술이 시행되었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이 갑상선을 침범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갑상선 비대가 있는 환자가 뇌하수체 기능부전의 증상이나 뼈와 폐의 침범과 관련된 증상을 호소한다면 갑상선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침범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다른 장기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을 치료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갑상선 종괴를 감별 진단하는데 있어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을 고려해야 한다.

Clinical analysis of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경부 결핵성 임파선염의 임상적 고찰)

  • 김영민;송병찬;윤성철;박영민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107-107
    • /
    • 1993
  •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neck mass in Korea. But the diagnostic confirmation is difficult and it's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are still in controversy. Through a retrospective study of 32 cases of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treated with surgical treatment during recent 4 years, we have analyzed 5 subtypes of CT finding and surgical treatment modalities and received following results 1. The locations of lymphadenitis were posterior triangle(12 cases), submandibular area(9 cases), supraclavicular area(8 cases), submental area(2 cases), and parotid area(1 case). 2. Five subtypes of CT findings were observed : Homogeneous enhancement type(3 cases), peripheral rim enhancement type(6 cases), peripheral rim enhancement with perinodal fat obliteration type(12 cases), coalescent cold abscess type(8 cases), and mixed type(3 cases). 3. Surgical treatment modalities : Excision (13 cases), incision and drainage(9 cases), selective neck dissection(8 cases), and curettage(2 cases).

  • PDF

MR Imaging of Uterine Malignant Mixed M$\ddot{u}$llerian Tumor: Comparison with Endometrial Carcinoma (자궁의 악성혼합뮬러리안 종양의 자기공명영상: 자궁내막암과의 비교)

  • Cho, Jae-Ho;Kim, Jeen-Woo;Chang, Jay-Chun;Park, Bok-Hwan;Kim, Jung-Si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6 no.2
    • /
    • pp.296-301
    • /
    • 1999
  • Background: Generally,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uterine malignant mixed M$\ddot{u}$ llerian tumor(MMMT) from endometrial carcinom in radiological and clinical aspects. Our purpose is to investigate MR findings that distinguishes MMMT from endometri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gradely evaluated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of pathologically proven 5 cases of malignant mixed M$\ddot{u}$llerian tumor(MMMT) and 14 endometrial carcinomas to know the differential points of these two tumors originating in the endometrial cavity. The size of the mass, presence or absence of myometrial or uterine cervical invasion, growth pattern of the mass, signal intensity and degree and pattern of contrast enhancement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the MMMT was 1.5-9.0cm(average, 5.7cm) but that of the endometrial carcinoma was 0.5-6.0cm(average, 2.5cm). Invasion of uterine cervix which was found in 3 MMMT cases, dilated the endometrial cavity and the lumen of the uterine cervix and showed the pattern of growing into the external os. Invasion of uterine cervix was found in only one case of endometrial carcinoma. The presence or absence of myometrial invasion, the signal intensity and homogeneity on T1- and T2-weighted images, and the degree and patterns of contrast enhance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Any specific finding to differentiate MMMT from endometrial carcinoma was not ascertained. However, MMMT can be suspected if the size of the endometrial mass is greater than 5cm and if the mass dilates the enocervical canal and invades the uterine cervix.

  • PDF

경부기도에 원발한 선양낭성암종

  • 김광현;성명훈;안순현;한문희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6.04a
    • /
    • pp.85-85
    • /
    • 1996
  • 경부기도의 종양은 편평상피암과 함께 이비인후과의에게 있어서 호흡곤란 환자의 감별진단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갖는다. 종양은 암종에 의한 사망률의 0.1%이하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며 선양낭성암종은 기도의 원발성 종양중 두 번째로 많은 질환이다. 갑상선종양의 기도의 직접적인 침범이 흔히 발견되는 상태이며, 그다음으로 편평상피암, 선양낭성암종이 기도의 원발성 종양으로 흔한 질환이다. 갑상선의 악성종양이 기도의 벽이나 내강을 침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도의 원발성 악성종양도 흔히 갑상선을 침범하여 갑상선의 종괴처럼 발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갑상선의 악성종양과 유사한 임상경과를 보이는 기도의 선양낭성암종의 향후 감별진단을 위해 4명의 조직학적으로 증명된 갑상선을 침범하는 기도의 선양낭성암종환자의 임상기록과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을 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이들은 기도에 넓은 기저부를 가지고 갑상선을 밀고있는 균일한 음영의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경계를 가지는 종괴로 보였으며, 횡단면과 두정면에서 모두 기도 벽의 비후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소견은 기도의 원발성 선양낭성암종의 감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ipoblastoma of the Neck and Mediastinum -1 case report- (경부 및 종격동내 지방모세포 종 -1례 보고-)

  • 김석기;서연호;구자홍;정명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2
    • /
    • pp.198-201
    • /
    • 2001
  • 지방모세포종은 태생기 지방조직에서 기원하는 드문 양성종양으로 대부분 소아기에 발생하는데 이 종양의 약 70%는 사지에서 나타나고 간혹 다른 부위에서 보고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좌측 후종격동과 좌측 쇄골상부에 양성 지방모세포종을 보인 3세된 남아를 치험한바 있다. CT 소견상 지방을 함유한 종괴가 정상적인 흉강내 구조물을 누르고 있었고, 쇄골상부 및 종격동으로부터 합병증없이 절제되었다. 종괴는 황색을 띠었으며, 병리조직검사상 지방모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

  • PDF

Multiple Symmetric Lipomatosis (다발성 대칭성 지방종증 -1례 보고-)

  • Lee, Jo-Han;Hong, Jong-Myeon;An, Jae-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9 no.2
    • /
    • pp.244-247
    • /
    • 1996
  • Multiple symmetric lipomatosis is a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growth of subcutaneous fat masses which are located symmetrically at neck, shoulders, chest, abdomen and groin. Recent surveys revealed a high incidence of combined somatic and autonomic neuropathy. The exact cause of the disease is not known. We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multiple symmetric lipomatosis with mediastinal involvement with symptomatic compression of trachea. The patient was a 55-year-male, complaining of dyspnea and slowly enlarging multiple symmetric masses at the neck, shoulders, chest, abdomen, flank and groin over a period of 10 years. He had a habit of excessive alcohol intake for many years. The fatty masses in the neck and the upper mediastinum including peritracheal region were excised through transverse cervical incision. But, because of the incomplete excision of peritracheal fatty tissue, we performed reoperation for the relief of residual tracheal compression at the 15th postoperative day. Two days later emergent tracheostomy was performed due to postoperative pneumomediastinum and subcutaneous emphysema. He could discharge with permanant tracheostomy.

  • PDF

CLINICAL EVALUATION OF THYROGLOSSAL DUCT CYST (갑상설관낭종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광현;성명훈;홍순관;백만기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24.2-24
    • /
    • 1987
  • 저자들은 1982년부터 1987년까지 5년간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서 경험한 21예의 갑상설관 낭종에 관한 임상적 관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발현 연령은 출생시부터 43세로 다양하였으나 21예중 10례가 10세 이전에 발생하였다. 7예에서는 경부종괴가 주소였으며 4예에서는 누공이 주소이었다. 낭종은 대부분 정중선에 위치하였으며 설골 하부에 위치한 예가 17예이었다. 전례에서 설골 중앙부를 포함한 전 병소를 제거하였으며 현재까지 재발된 예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