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부낭종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9초

경부 피하조직내에 발생한 기관지성 낭종 (Cervical Bronchogenic Cyst)

  • 김석주;정웅윤;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7-250
    • /
    • 1997
  • Bronchogenic cysts are thought to be uncommon developmental anomalies. They develop from small buds or diverticuli that separate from the foregut in the formation of the tracheo-bronchial tree. They are nearly always located near the tracheal bifurcation; However, these lesions can occur anywhere along the tracheo-bronchial tree. We experienced a case of cervical bronchogenic cyst presenting sorely as an anterior neck mass in a 26-year-old woman. The neck ultrasonography showed as $1.4{\times}1.1cm$ sized hypoechoic lesion with a well-defined margin on the isthmic portion of the thyroid gland. Excision of the mass was carried out. The mass was superfical to the strap muscle and was contained within the subcutaneous tissue in the midline without any connection to the trachea. Grossly, the mass was an oval-shaped cystic lesion which measured 1.5 cm in the greatest diameter. The cyst was filled with thick, yellow, jelly-like material and the inner surface was smooth and glistening. Microscopically, the cyst showed a lining of ciliated columnar epithelium, beneath which was a loose areolar stroma containing plaques of mucous glands and mature cartilage. We thought this cervical bronchogenic cyst appeared to represent an expression of complete aberrent accessory lung bud detachment from the primitive foregut.

  • PDF

경부 낭종의 형태로 발현한 전이암 2례 (Two Cases of Metastatic Cancer Presenting as A Cervical Cyst)

  • 손영익;백정환;하병석;장병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0-264
    • /
    • 1997
  • Metastatic cancer presenting as a cervical cyst is uncommon, and often misdiagnosed as branchial cleft cyst. Authors experienced two cases which presented clinically with features of branchial cleft cyst, but were subsequently found to be metastatic cancer. Radiologic examination and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proved to be non-diagnostic, and pathologic findings after surgical excision showed metastatic cancer. Further evaluation and examination were made to find out the primary focus, which revealed tonsillar squamous cell cancer and thyroid papillary cancer in each case. When cervical cysts are noted in aged patients, it is mandatory to rule out metastatic cancer until it is proven otherwise. Surgical excision and pathologic diagnosis should be always accompanied to make correct diagnosis and further treatment.

  • PDF

측경부 낭종으로 발현된 유두상 갑상선암 (Lateral Neck Cyst as the Initial Presentation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박정수;이원흥;김춘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3-58
    • /
    • 1988
  • We have experienced 3 cases of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seen as lateral neck cyst, Usually cystic lesions of the neck have been considered as benign lesions from clinical viewpoint. The usual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es branchial cleft cyst, cystic hygroma, dermoid cyst, cold abscess(tuberculous lymphadenitis) and cavitating squamous cell carcinoma. A lateral neck cyst as the sole presenting complaint of the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s very rare. Preoperative diagnosis of lateral neck cyst is often diagnostic dilemma.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can be helpful in detecting the cancer cells and in demonstrating the nature of the fluid component of the lateral neck cyst. Presence of brown murky fluid from the aspirated fluid is highly suggestive of thyroid carcinoma. The thyroid scans and B-mode ultrasonography mayor may not be helpful to detect the primary focus of the thyroid gland. We suggest that a patient with a lateral neck cyst in adult age group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possibility of underlying thyroid carcinoma presanting as lateral neck cyst.

  • PDF

상대정맥에 발생한 해면상 혈관종 -1례 보고- (Mediastinal Cavernous Hemangioma)

  • 김동원;이재영;배철영;신원선;맹대현;곽영태;이신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69-72
    • /
    • 1998
  • 종격동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국내외적으로 발표된 예가 흔하지 않다. 본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에서는 상대 정맥의 우심방 유입구 상방에 발생한 해면상 혈관종을 수술적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35세된 여자 환자로써 우측 경부의 낭종성 종괴를 주소로 이비인후과 외래를 방문하여 수술을 위해 촬영한 단순 흉부 방사선상 우측 종격동에 비정상적인 음영이 관찰되어 본과로 전원되어 추가 검사 후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다. 절제한 종괴는 상대 정맥의 우심방 유입구 약 2cm 상방에 약 4x5cm 크기의 해면상 혈관종으로 확진되었으며 수술 후 7일째 퇴원하여 현재 외래 통한 관찰 중인 바, 이상 소견 없이 잘 지내고 있다.

  • PDF

총 비골 신경에 발생한 결절종 - 증례보고 - (Ganglionic Cyst of the Peroneal Nerve - A Case Report -)

  • 송광순;전시현;김인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2-216
    • /
    • 2003
  • 결절종으로 인한 총 비골 신경 마비는 매우 드문 예에서 보고되고 있지만, 잘 알려져 있는 질환이다. 결절종으로 인한 비골 신경 포착을 보이는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 대하여 3편이 보고되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진단을 위해 초음파, 자기 공명 영상, 근전도, 신경전도 검사 및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골 경부 주변의 관상 구조는 자기 공명 영상 소견 상 특징적으로 T2 강조영상에서 고신호를 보이면서 상부 경비골 관절의 아래 부분까지 종축으로 뻗어있는 소견을 보였다. 비골 신경을 노출시키고 결절종에 대해 병소내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에도 마비 증상이 지속되었으나, 수술 후 4개월부터 점차적으로 마비의 회복소견을 보이기 시작했고 술 후 7개월에 완전한 회복을 보였다. 본 증례에서 자기 공명 영상은 낭종의 범위, 위치, 기원을 밝혀 내는데 도움을 주었고, 외과적 절제술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양성 경부 낭종에서의 Picibanil(OK-432)을 이용한 경화치료 효과 (The effect of Picibanil sclerotherapy for benign neck cysts)

  • 홍지원;부성현;박재홍;김명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1-37
    • /
    • 2008
  •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most cases of benign neck cysts, surgical excision has been considered as treatment of choice. However, sometimes complete excision is very difficult, and recurrences has been occured due to insufficient surgery frequently. In this point of view, non-surgical treatment has been attempted with sclerosing agents such as picibanil(OK-432).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picibanil sclerotherapy for benign neck cyst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53 patients(27 males, 26 females) who had undergone sclerotherapy with picibanil for benign neck cysts such as ranula, lymphangioma, thyroglossal duct cyst and branchial cyst. Information was gathered with respected to age, sex, number of injections, side effect and outcome of treatment.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ralesional aspiration of cystic contents and injection of picibanil, and followed on neck ultrasonography or neck CT. Results: 53 patients received sonoguided sclerotherapy using picibanil(OK-432). 31 patients(41.3%) showed total shrinkage, near total shrinkage(more than 90% of volume) in 7 patients(9.3%), marked shrinkage(more than 70%) in 5 patients(6.6%) and partial shrinkage(less than 70%) in 17 patients. 15 patients(20%) reaveled no response and 8 patients showed recurrences with repeated sclerotherapy. The side effects of therapy were observed by symptoms such as fever, localized pain and odynophagia. However, these complications disappeared after several days in all cases. Conclusions: We recognized that picibanil(OK-432) sclerotherapy for benign neck cyst is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s as a primary treatment before considering surgery.

  • PDF

원발성 종격동 종양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rimary Mediastinal Tumors)

  • 변정욱;조창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55-60
    • /
    • 1997
  • 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을 백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7년 9월 부터 1995년 12월까지 원발성 종격동 종양의 진단하에 수술을 시행한 40례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고찰을 하였다. 관찰 대상은 남자 18례와 여자 22례로 연령은 Vll에서 68세까지 였으며 평균 )4.1세였다. 종양의 진단시 증상은 흉통(12.5%), 기침(12.5%), 호흡곤란(7.5%) 경부종괴(7.5%), 흉부불쾌감(5.0%) 등이었다. 진단은 모든 예에서 단순 흉부엑스선 사진과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실시하였고 5례 에서는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다. 경피적 침생검은 22례에서 시행하여 16례에서 조직학적 진단을 얻었다(민감도 72.7%). 종양의 위치별 분포는 전상부 종격동 24례(60.0%), 후부 종격동 14례(35.0%), 중부 종격동 2례(5.0%)였다. 종양의 종류는 흉선종 11례(27.5%), 신경성종양 10례(25.0%), 배아세포종 7례(17.5%), 낭종 8례(20.0%), 거대 림프 절비대(Castleman's disease) 2례(5.0%), 방추세포육종 1례(2.5%) 그리고 림프종 1례(2.5%), 였다. 악성 종양은 5례로 침습성 흉선종 3례, 방추세포육종 1례, 림프종 1례였다. 치료는 양성의 모든 예와 악성종양 3례에서 완전절제하였고, 2례는 수술이 불가능하였다. 수술후 사망은 없었고 합병증은 창상피열, 성대마비, 어깨강직이 각각 1례씩 있었다.

  • PDF

경부신경총에서 기인한 신경초종으로 오인된 림프상피성낭종 1예 (A Case of Lymphoepithelial Cyst Mimicking Cervical Plexus Schwannoma)

  • 김정환;강병재;김민석;김홍진;이예환;오화은;오경호;권순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9-54
    • /
    • 2023
  • Neck masses can have various origins and diverse presentations, making accurate diagnosis challenging. Schwannomas and lymphoepithelial cysts are commonly encountered neck tumors, and it is hard to get differential diagnosis. A 50-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progressively enlarging right neck mass discovered five years ago. Upon examination, a 3 cm firm, non-tender, and mobile tumor was found in the right neck level II region. Imaging studies suggested a tumor originating from the cervical sympathetic chain. The patient underwent a resection of the tumor under general anesthesia. Postoperative follow-up showed no complications or signs of recurrence. However, contrary to the initial suspicion of a schwannoma, the final 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lymphoepithelial cyst. In this paper, we present a case of a cervical lymphoepithelial cyst misdiagnosed as a schwannoma, aiming to compare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tumors and provide insights into appropriate diagnosis and management.

결절성 갑상선 질환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Nodular Thyroid Disease)

  • 이규준;박순태;하우송;권수인;최상경;홍순찬;이영준;이영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44-252
    • /
    • 1998
  • 저자들은 1987년 1월부터 1997년 2월까지 만 10년간 경상대학교병원 외과학 교실에서 갑상선 결절 환자 298예에 대하여 임상적 검토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갑상선 결절 총 298예 중 양성 결절은 214예(71.8%), 악성 결절 84예(28.2%)이었고, 악성율은 진단방법의 발달과 수술 적응증의 강화로 증가 되었다. 양성 결절과 악성 결절은 30대에서 50대 사이에서 호발하였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악성 빈도가 증가하였다. 남녀비는 양성 결절에서 1:5.88이었고, 악성 결절에서 1:11이었다. 2)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양성 결절 214예중 여포선 종 136예 (63.5%), 선종성 선종 67예 (31.3%), 휘틀 세포 선종 4예(1.9%), 낭종 3예(1.4%), 기타 갑상선염 4예 (1.9%)이었고, 악성종양 84예중 유두암 728예 (85.72%). 여포암 8예(9.5%), 미분화암 2예(2.4%), 수양암 1예 (1.2%), 악성 림프종 1예 (1.2%)이었다. 3) 술전 시행한 세침 천자 흡인 세포 검사의 민감도는 52.8%, 특이도는 98.4%, 위음성율은 47.2%이었다. 4) 총 298예 중 단일 결절 85.6%, 다발성 결절 14.4%이었으며 이중 악성결절의 빈도는 단일 결절의 26.6%, 다발성 결절의 37.3%이었고, 고형 결절의 악성도는 83.3%로 낭성 결절의 16.7%보다 높았고, 갑상선 주사소견상 악성 결절에서 cold nodule이 22.7%였다. 5) 수술 방법은 양성결절 214예중 동측 전엽 절제술과 협부 절제술이 86%에서 시술 되었고, 악성 결절 84예 중 경부 곽청술을 동반한 갑상선 전절제술 27.3% 갑상선 전절제술 23.8%, 동측 전엽 절제술과 협부 절제술 23.8%에서 시술되었고, 술후 합병증은 전체 7.1% 중 양성 결절의 1.9%, 악성 결절의 20.2%에서 발생하여 악성 결절 수술시 유의하게 높았다. 영구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 2예(0.7%)에서 발생하였다. 악성 결절의 수술후 재발은 주로 유두상암의 임프절 재발이 다수였고 미분화암에서는 국소 재발 및 림프절 재발이 있었으나 원이부 전이는 없었다.

  • PDF

이하선 악성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 정웅기;안성자;남택근;정경애;나병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51-258
    • /
    • 1998
  • 목적 :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하선 악성종양에서 국소 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이하선 악성 종양으로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함께 받은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14세부터 72세까지였고 중앙간은 55세였다. 조직학적 유형별 분포는 10명이 점액표피양암종, 7명이 편평상피세포암, 4명이 포상세포암, 4명이 선양성낭종암, 1명이 선암이었다. 수술은 15명이 이하선 전절제술, 7명이 표재성 절제술, 4명이 아전절제술을 받았다. 안면신경이 절제된 경우는 5명 있었다.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잔존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4명, 절제연 양성이 4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의 광자선과 전자선속을 사용하였다. 26명 중 11명은 광자선만으로 치료하였고 전자선이 병용된 경우는 15명이었으며 전자선량은 900 cGy부터 3800 cGy (중앙값: 1760 cGy)까지였다. 이하선종양 부위에 조사된 총방사선량은 5000 cGy부터 7560 cGy (중앙값 : 6020 cGy)까지였다. 대상 환자들의 최소추적기간은 2년이었다. 국소종양제어율의 산출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고 단변량분석에는 generalized Wilcoxon test, 다변량분석에는 Cox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과 : 방사선 치료 후 국소종양의 재발은 25명 중 5명 (19$\%$)에서 관찰되었으며 국소종양제어율은 5년에 77$\%$였다.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였다. 성별, 연령 (>60세), 종양크기 (>4 cm), 수술소견상 경부림프절 침범과 신경 침범, 절제연 침범 여부 및 총방사선량 (>60 Gy)의 요인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미치는 영향을 단변량 분석한 결과 종양 크기 (p=0.002), 절제연 침범 여부(p=0.011)에 따라 국소종양제어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같은 요인들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종양 크기 (p=0.022)만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예후 인자들의 다변량 분석에서 종양 크기만이 의의가 있었으나 앞으로 더욱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