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로당 이용실태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Reducing Sugar Intake (당류 저감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태도)

  • Kim, Eunmi;Ahn, Jee Ahe;Jang, Jong Keun;Lee, Min A;Seo, Sang Hee;Lee, E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4 no.12
    • /
    • pp.1865-1872
    • /
    • 2015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reducing sugar intake by providing data to develop guidelines for the government and food-related industries to encourage Korean consumers to maintain appropriate levels of sugar intake. A survey was conducted on 238 adult consumers regarding their purchasing power for products with high sugar content in Seoul and Bundang, Gyeonggi area from September 1~30, 2013. Nutritional information on sugary products had a greater impact than media and others' recommendations on consumer awareness regarding need to reduce sugar intake. External factors such as health and weight control were stronger reasons for consuming reduced amounts of sugar or sugar-free products than internal factors such as sweetness. However, internal factors-such as taste-did not have a greater effect on consuming reduced amounts of sugar or sugar-free products than environmental factors-such as absence of purchase channels. Consumers indicated higher acceptance for 50% reduction in sweetness of existing commercial products. Regarding methods of lowering sugar intake, sugar replacement and reducing sugar consumption both generally and at home were preferred. In addition, consumers were likely to pay 10~14% more for sugar-reduced products than for existing products. Overall, consumers express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reducing sugar intake in the future, although those in their twenties tended to be more passive than other age groups.

Health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 of the Rural Young-Old and the Rural Old-Old in an Agricultural District (농촌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

  • Hwang, Seong-Ho;Lee, Myeong-Sook;Lee, Sung-Ko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6 no.4
    • /
    • pp.207-217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rner useful inform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es between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in a rural Korean area. Methods: We define the young-old elderly as those 65 to 74 years of age, and the old-old as those over 70. The survey was administered in October and November of 2009 at senior citizen centers in Sangju City, Kyongsangbuk-do, South Korea. The number of subjects surveyed approximated the demographics of the aged popul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centers of 24 eup, myeon, and dong. Results: Compared with the young-old elderly, the old-old were vulnerable to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hile there were many cases of contraction of diseases, only a small percentage of old-old elderly were engaged in regular exercise. In addition, the old-old elderly lagged behind the young-old in terms of physical activity, mental and oral health, hearing, and vision. Conclusions: The vulnerability of the old-old elderly in term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needs to be acknowledged a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at appears according an age group. A variety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focus on the health behavior and status of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need to be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A Study on the Effect of Life Behavior and Socio-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with or without Hearing Loss (난청 여부에 따른 노인의 생활행태와 사회환경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eong, Su-yeon;Byun, Jae-hee;Jung, Deuk;Jo, Changik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9
    • /
    • pp.99-107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life behavior and socio-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or without hearing loss. To this end, 3,071 elderly people of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in 2020 were set as the subjects. After controlling for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the elderly with hearing loss had different factors of life behavior and socio-environment satisfaction that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without. As a result, the sub-factors of life behavior in the elderly with hearing loss, such as economic activities, social group activities, the use of the center, and the sub-factors of social environment satisfaction, such as family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the elderly with hearing loss had more limitations in both the area of living behavior and the area of social environment satisfaction than the elderly without hearing los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hearing loss, it i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simultaneously supplement welfare policies and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hearing loss.

청주지역 주부들의 수입식품 이용실태 및 분별능력

  • 김기남;박은진;손은미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74-1075
    • /
    • 2003
  • WTO 출범 이후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 중 수입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수입식품 자체의 위해성과 수입농산물에 관한 지식이나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부족하여 올바른 구입과 소비가 어렵게 되어 피해를 당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주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수입식품 이용과 인식도 및 수입식품 분별능력의 조사를 통하여, 교육의 필요성여부를 검토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청주시에 거주하는 주부 183명이었고, 조사기간은 2003년 3월 1일부터 3월 15일까지였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식품구입시 태도, 수입식품 구입 경험, 수입식품에 대한 인식도, 수입식품과 국산식품의 분별력 테스트로 구성되었으며, 인식도는 5점 척도에 의해 조사되었다. 사용된 통계처리 방법은 SAS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Chi-square 또는 ANOVA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산과 수입산 표시의 확인여부는 응답자의 92.3%가 확인한다고 응답하였고,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99.5%가 국내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주된 이유로는 ‘수입산은 유해물질이 많으므로’라는 응답이 46.3%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수입식품 구입경험의 유무로는 92.3%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구입동기에 대해 ‘수입산이 시중에 많아 쉽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61.6%로 가장 많았다. 또한 수입식품을 국산식품으로 혼동하여 구입한 경험으로는 응답자의 76%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혼동한 이유로는 ‘수입식품과 국산식품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서’ 49.6%, ‘수입산과 국내산의 표시가 명확하지 않아서’ 41%를 차지했다. 국내산과 수입산 표시에 대한 신뢰도는 89.7%가 대체로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하지 않는 이유로는 ‘허위표시에 대한 보도를 많이 접해서’가 56.l%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수입식품의 인식도를 품질, 가격, 포장 용기, 맛, 조리편리성, 안전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7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수입식품의 품질과 맛에서 국내산과 비슷하거나 나쁘다고 인지하였고, 가격은 수입식품이 싸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연령과 유의성을 보였다(p <0.01). 포장 용기와 조리편리성에 대해서는 국내산과 비슷하거나 좋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조리편리성은 학력과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p < 0.01). 안전성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나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수입식품과 국산식품의 분별정도는 66.1%가 구별하는 능력이 언다고 응답하였다. 분별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이 61.7%로 가장 많았다. 수입식품에 관한 교육을 받을 의향에 있어서 61.5%가 ‘예’라고 응답하였고, 필요한 교육에 대해 ‘국산식품과 수입식품의 분별법에 관한 내용’이 75.4%로 가장 많았다. 수입식품 분별력 테스트에 있어서는 40점 만점에 평균이 13.6 $\pm$ 7.4점으로 낮았고, 분별력이 가장 좋은 품목은 고사리(53.6%), 분별력이 가장 낮은 품목은 고춧가루(40.4%)로 나타났다. 분별정도에 있어서 ‘매우 잘 구별한다’고 응답한 사람일수록 분별력 점수가 높게 나타나 주부들이 자신의 분별능력에 대해 매우 잘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대부분의 응답자가 수입산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구입경험이 있고, 분별력 점수도 낮은 편이었다. 따라서 국내 소비자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는 수입식품과 국내식품의 특징 및 분별법에 대한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와 이에 대한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져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