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기도 접경지역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Ja-Ung (Gyeong-gi-do, Pa-ju-si) Adjacent to the DMZ (DMZ 일원 자웅산(경기도 파주시) 일대의 관속식물상)

  • Young-Min Choi;Jong-Won Lee;Jin-Heon Song;Kyung-Ryul Byun;Jaesang Chung;Hee-Young G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3-33
    • /
    • 2021
  • 자웅산(264.3m)은 DMZ 접경지역인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에 위치하며, 백두대간 줄기 중 한북정맥을 따라 동쪽으로는 노고산(401m), 서쪽으로는 명학산(220m)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계절별로 1회씩 총 3회 식물상 조사를 진행하였고 화상자료와 증거표본을 확보하였다. 본 조사로부터 자웅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2과 208속 267종 9아종 22변종 4품종으로 총 30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양치식물은 10과 18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6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2과 226분류군, 단자엽식물이 8과 5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등 3과 3분류군의 특산식물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로는 가시도꼬마리(Xanthium italicum Moretti),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미국개기장(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F.H.Wigg.), 애기망초(Conyza parva Cronquist) 등 7과 23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조사식물 303분류군의 7.6%를 차지하였다.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V등급이 미나리냉이(Cardamine leucantha (Tausch) O.E.Schulz), IV등급이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등 2분류군, III등급이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Lem.), 꽃쥐손이(Geranium platyanthum Duthie),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Trautv. ex Maxim.) Maxim.) 등 7분류군이 확인되어 III등급 이상의 특정종은 10분류군으로 파악된다.

  • PDF

Landscape Analysis of Habitat Fragmentation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남북한 접경지역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 Sung, Chan-Yong;Cho,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6
    • /
    • pp.952-95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habitat fragmentation that has occurred in Paju and Yeoncheon, the two border municipal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Gyeonggi-do (province) during the last 17 years using various landscape metrics. We 1) classified grass and agricultural habitats and forest habitats from two Landsat TM images collected in 1990 and 2007, and 2) compared the percentage of class area, patch density, mean patch area, and mean perimeter area ratio for the two habitat types between the two time points. Both types of habitats has been severely fragmented due to urban development in the last 17 years. The increased patch density and decreased mean habitat area are at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railroads that separate a large habitat to many small pieces. The increased mean perimeter area ratio also indicates that the habitat fragmentation extended areas that are affected by the edge effect and so less suitable for interior species. A habitat conservation plan is urgently needed to minimize habitat fragmentation from developments that are expected to soon occur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남북공유하천의 문제점과 협력 방안_2주제: 임진강 유량감소와 대응 방안

  • Song, Mi-Yeong;Lee, Gi-Yeong;Baek, Gye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6-646
    • /
    • 2015
  • 임진강은 북한지역이 유역면적의 60%에 달하고 2000년대 초부터 북한의 4월5일 댐과 황강댐과 남한의 군남과 한탄강 홍수조절지로 인해 물의 흐름과 강의 모습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기후변화 측면에서도 한반도 중부지역으로 기온 증가와 계절별 유출량, 특히 봄철의 유출량 감소가 전망되는 지역이다. 임진강 본류 유량 감소는 북한 측의 영향은 자료가 전무하고, 남측에서는 횡산, 군남 등 일부 수위표 자료만이 가용한 수준이다. 현재까지 자료로 보면, 2014년에 연강수량이 예년의 50% 수준이었던 점이 본류 유량 감소의 주 원인이었고, 다른 원인은 군남 홍수조절지의 저류 수준이 그 직하류 유량 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량감소 영향은 2014년 장단반도 일대 파주지역에서 가장 극심하였고, 유량 감소와 연동된 염도 변동이 가중되면서 모내기철 농업용수 공급이 어려웠다. 유량 감소 피해는 농업보다 어업분야에서 그 체감 정도가 극심하였고 경제적 피해도 심각했다. 체감하는 주민들 대부분은 댐 건설 이후 하도와 수변의 침식과 퇴적 등 하천의 역동성이 변화함을 느끼고 있고, 그로 인해 어업과 수생태계가 지속가능성하지 않을 거라는 우려가 팽배해 지고 있다. 지금까지 파악된 임진강 유량 감소의 수준과 피해 정도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될지, 그 수준, 심각성, 경제적 피해와 환경적 가치나 서비스 제약 등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하천의 흐름이 단절, 변경되어 야기되는 직간접적 변화를 인정하고 이를 지속가능하게 보완할 방안이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다. 무엇보다 수환경과 수생태계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장기모니터링이 절실하고 그 결과의 해석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2014년 혹은 그보다 심각한 강우량 감소 재현을 대비하고, 기후변화와 남북한 문제까지를 고려한 임진강 관리가 필요하다. 단기적으로는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하천 본류는 물론 가용한 저수지, 지하수 등 대체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등 비상급수체계를 운영해야 한다. 그러나 기후변화 등 장래 여건이 수량 압박을 가중할 것을 고려, 유역의 용수수급과 변동성에 대한 재평가가 시급하다. 보다 면밀한 평가는 횡산, 군남 등을 포함한 남북유역의 상황을 장기모니터링하고 북한 지역의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한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보다 합리적 분석을 위해 임진강 수계와 유역을 국가하천에서 국제하천으로 격상하는 방안이나, DMZ와 연계한 남북공유 하천으로 관리하는 등의 새로운 대안이 절실하다. 국제수로협약 등을 통해 접경지역의 하천관리를 공동으로 하고 있는 외국 사례의 시사점도 접목해 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임진강 관리를 좀 더 제도적 틀안에서 확립해 가기 위해 지역정부로서의 경기도, 중앙정부 주체로 국토부와 통일부가 보다 협력적인 관계 정립과 역할 배분을 논의해야 한다.

  • PDF

Estimation of equivalent rainfall by water level for Hwanggang dam in North Korea using hydrological model calibrated based on satellite images (인공위성 영상을 기반으로 보정된 수문모형을 이용한 북한 황강댐 수위별 상당강우량 산정)

  • Kim, Jin Gyeom;Hwang, Euiho;Kang, Kimook;Yu, Wansik;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1-291
    • /
    • 2022
  • 북한의 황강댐은 우리나라와 북한이 공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하천인 임진강 상류에 존재하는 댐으로서 팔당댐의 약 1.5배의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하류로의 발전방류와 함께 유역 외 지역인 예성강 지역으로 방류량의 일부를 도수시키며 이를 통해 예성강 1, 2호 발전소에서의 발전을 실시하고, 생활, 공업, 농업용수를 예성강 유역에 공급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2009년 9월 6일 임진강 상류 황강댐에서의 대규모 방류로 인해 경기도 연천군 일대에 홍수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임진강 하류에 군남홍수조절지를 설치하고 상류의 필승교 수위표를 이용하여 홍수경보체제를 운용하고 레이더 강우와 수문모형을 이용한 감시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황강댐 운영현황이 불확실함에 따라 정확한 예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미계측 지역의 홍수예보를 위해 산정한 상당상수량이란 저수지의 현재 수위로부터 특정 수위까지 도달하는데 요구되는 강우량을 말하며 강우예보 시점에서 저수지의 최대 수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홍수예경보 수단이다. 미계측 유역인 임진강 상류 황강댐 유역의 상당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 인공위성영상에서 획득한 댐 수위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보정된 황강댐 상류의 수문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현재 댐 수위로부터 주요 수위(방류개시수위, 상시만수위, 계획홍수위)에 도달하게 되는 상당강우량을 산정하였다.

  • PDF

The Change of Economic Space and the Classification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Gyeonggi-do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경제공간 변화와 유형 분류)

  • Son, Seu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1
    • /
    • pp.45-59
    • /
    • 2015
  •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has emerged in order to promot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urban region and rural region. Targeted 11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Gyeonggi Provinc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nges of economic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of industrial activities. The number of establishments has increased in all cities. From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economic space divided into urban regions and rural regions, concentration phenomenon of economic activities in urban regions was strengthened in 9 cities with the exception of Icheon-si and Anseong-si. Concentration of economic activities in urban region was noticeable in Namyangju-si, Pocheon-si, and Yongin-si. 5 types were derived from the classification on the basis of locational changes of economic activities in urban region and rural region. They are 1) urban-rural gap deepen type, 2) urban region growth slowdown type, 3) rural region growth type, 4) urban-rural balanced growth type, and 5) urban region-led growth type. While urban-rural gap of the cities close to highly urbanized city or metropolis has intensified, the growth of urban region was weakened in the cities located away from the metropolis.

  • PDF

Estimation of Hwanggang dam operation rule using satellite-based water level and reservoir operation algorithm (인공위성 기반 수위와 저수지운영 알고리즘을 이용한 북한 황강댐 운영방식 추정)

  • Jin Gyeom Kim;Chan Young Son;Ki Mook Kang;Ki Bum Nam;Jun Hyuk Choi;Eui Ho 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4-64
    • /
    • 2023
  • 황강댐은 임진강 상류 군사분계선으로부터 약 42km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며 약 3~4억톤의 규모로 추정된다. 이에 우리나라는 약 7천만톤 규모의 군남홍수조절지를 건설하여 임진강 상류로부터 기인하는 홍수를 방어하고 황강댐의 무단방류에 대비하고 있다. 과거 2009년 9월 6일 임진강 상류 황강댐에서의 대규모 방류로 인해 경기도 연천군 일대에 홍수가 발생하여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 바 있으며, 2020년 8월 5일에는 장마전선으로 인한 폭우와 더불어 임진강 필승교 수위관측소의 수위가 급상승하면서 관측 이래 역대 최고수위가 발생하여 홍수경보가 발령되고 인근 주민이 대피하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또한, 2022년 6월 27일부터 발생한 장마전선 및 집중호우로 인해 임진강 필승교 수위관측소의 수위가 급상승하면서 홍수주의보가 발령되고 인근 주민이 대피하는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7월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 상황에서 황강댐의 방류로 추정되는 유입량이 필승교 수위관측소와 군남홍수조절지에서 관측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영상에서 추출한 황강댐의 수위를 이용하여 수문모형과 저수지 운영 알고리즘을 구축하고 당시 발생한 홍수사례를 분석하여 황강댐의 운영방식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2020년 8월 5~7일 사이에 발생한 유입량의 경우 자체 유역 유입량은 전체 유입량대비 약 33%이나 북한 황강댐으로부터 추가로 방류된 양은 약 67%로 군남홍수조절지 유입량의 3/2 가량이 북한 황강댐의 방류량으로부터 발생된 것으로 보이며 2021년 6월에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북한 황강댐의 운영방식이 용수공급을 위한 고수위 유지 운영방식에서 홍수기에 댐 월류 및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사전방류를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Study for coping with water shortage analysis: Imjin-River Basin in dry season (임진강 유역 갈수기 물 부족 원인 분석에 따른 대응 방안 연구)

  • JANG, Suk-Hwan;LEE, Jae-Kyung;LEE, Hyo-Sang;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1-261
    • /
    • 2016
  • 임진강 유역은 우리나라와 북한과의 접경지역에 속하는 유역으로서 임진강은 북한에서 발원하여 남한으로 흘러 한강으로 유입되는 공유하천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 유역은 이수, 치수, 수질, 환경 측면에서 타 유역에 비해 불안요소가 많은 지역이므로 남북한의 관계 개선을 통한 효과적인 대책 수립에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집중호우와 태풍의 영향 등으로 인하여 많은 피해로 인하여 이에 따른 대책과 많은 계획 등이 수립되었고, 북한의 무단방류에 따른 사고로 인하여 피해로 인하여 이를 극복하고, 홍수를 조절하는 목적으로 군남홍수조절지, 한탄강홍수조절댐을 건설하여 홍수에 따른 선제적 대응과 주민 피해 등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근 경기북부를 포함한 임진강 유역의 가뭄으로 인한 유량의 감소로 인하여, 2014~2015년의 파주 장단반도 일대의 농업용수 부족과 하구의 조위, 즉 염도에 의한 영향으로 하류부 급수 불량 등 이수적 측면에서 주민들의 피해 문제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 유역에 위치한 기상 수문관측자료(2000년~2015년)를 이용하여 다음 내용을 연구하였다. 첫째로 수문기상인자들의 경향성 분석을 통하여 임진강 유역의 유량 감소 원인을 파악하였으며, 수문기상인자들의 감소에 따른 영향과 북한 댐건설에 따른 유역변경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체적으로 임진강 유역의 유량은 감소추세에 있으며, 북한 댐건설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최근 2014년과 2015년의 유량 감소는 강수량의 감소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북한 댐건설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임진강 상류를 대상으로 하천유출모형인 PDM을 이용하여 장기유출모의를 수행하였으며, 모의결과 북한 댐건설에 의해 유출특성이 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 임진강 유역 갈수량을 추정하고 물 부족량 및 필요수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북한 댐건설 이후를 기준으로 물 부족량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필요한 필요 수량을 제안하였다. 또한 최근 2014년과 2015년과 같은 비상시에 대한 필요 수량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제안한 필요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댐 담수 및 연계운영, 신규 수자원 확보 방안, 남북 공유하천 공동 관리 방안 등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Conservation Values of Major Resources in the Korean DMZ and Its Vicinity (DMZ일원 주요 자원의 보전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연구: 응답자의 지리적 이질성에 대한 검증)

  • Choi, Andy S.;Park, Eun-Ji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9 no.2
    • /
    • pp.303-340
    • /
    • 2010
  • The Demilitarized Zone (DMZ) of Korea has been crucial not only for its buffering role between two Koreas, but also for the conservation of various resources across its premis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hreefold. The first objective is to identify major resources that determine economic values of the DMZ and its vicinity. The second and third objectives are respectively to estimate conservation values of those resources using Choice Modeling and to test whether or not respondents living in different geographical locations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willingness to pay for the conservation. In a very conservative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Korean adults have about 55,000 Won on average for conserving five major resources : the DMZ area, endangered species, cultural heritage items and sites, the Truce Village, and villages in the Civilian Conroal Zone. This equals the aggregate economic value of about 2,07 trillion Won. Moreover,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were found in public benefits from conserving these major resources.

  • PDF

Flora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Paju-si, Gyeonggi-do) in DMZ Area of Korea (DMZ 접경지역 인근 고령산·개명산(파주시, 경기도) 일대의 식물상)

  • Kim, Sang Jun;Shin, Hyun Tak;An, Jong Bin;Heo, Tae Im;Kwon, Yeong Han;Yoon, Jung Wo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9 no.2
    • /
    • pp.264-280
    • /
    • 2016
  • This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in the DMZ area of Korea.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eight times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4 and consisted a total of 450 taxa; 91 families, 279 genera, 391 species, 4 subspecies, 49 varieties and 6 forms. The observed rare plant species a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5 taxa including Tylophora floribunda Miq., Aristolochia contorta Bunge, Viola albida Palib., etc. Endemic plant species were 6 taxa containing Aconitum pseudolaeve Nakai, Clematis brachyura Maxim., Clematis trichotoma Nakai, etc. 33 taxa were listed as specific plant species based on phytogeographical in the investigated area. 35 taxa were recorded as naturalized plants, and their naturalized rate and urban index were noted as 7.7%, and 10.9%, respectively. Of the 450 taxa listed; 186 were edible plants, 173 pasture plants, 149 medicinal plants, 51 omamental plants, 20 timber plants, 13 stain plants, 4 fiber plants, 4 industrial plants and 92 unknown resource plants.

The Flora of Mt. Papyeong (Gyeonggi-do Prov.) in Western Area of DMZ, Korea (서부 DMZ 인근접경 지역의 파평산(경기도) 일대의 식물상)

  • NamGung, Ju;Yoon, Chang Young;Ha, Young-Ho;Kim, Joo-Hw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2 no.4
    • /
    • pp.355-378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Papyeong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Paju and the border of western DMZ through 13 surveys from April 2016 to August 2019. The vascular plants of Mt. Papyeong include 410 taxa; 361 species, 9 subspecies, 36 varieties, and 4 forms from 257 genera of 91 families. Among 410 taxa, we characterize endemic species, rare and endangered plant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climate change adapted plants in Korea. Specifically, there are 9 Korean endemic plants designated by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6 taxa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ccording to IUCN evaluation, there are 13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Mt. Papyeong. On the other hand, 2 taxa were listed in a red list sugges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clude 46 taxa which are composed of 2 species of IV degree, 13 taxa of III degree, 11 taxa of II degree, and 20 taxa of I degree. Also, 27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and Urbanization Index (UI) were 6.58%, and 8.43%, respectively. We hope that this investigation provide a valuable data for applying the further studies on the biodiversity and strategy of conservation of environment in the DMZ and Paju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