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구개

Search Result 26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Case of Schwannoma Arising in Hard Palate (경구개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 및 문헌고찰)

  • Kim, Jeong Tae;Kim, Jae Woo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2 no.2
    • /
    • pp.65-68
    • /
    • 2016
  • 신경초종은 천천히 자라는 양성종양으로 뇌신경, 말초신경, 또는 자율신경 등 신경초세포(Schwann cells)를 포함한 신경 어디에나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신경초종은 무증상이며, 악성화되는 경우는 드물다. 전체 신경초종 중 약 25%에서 45%가 두경부 영역에서 발생하지만 구강 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강 내 신경초종의 대부분은 설부에서 발생하며 그 외 발생하는 부위로 협부점막, 구개, 구강저, 잇몸, 입술 등이 있다. 본 저자들은 최근에 경구개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관련문헌 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Reconstruction of Hard Palatal Defect using Staged Operation of the Prelaminated Radial Forearm Free Flap (부분층 피부이식으로 전판상화된 전완유리피판을 이용한 경구개 결손의 재건)

  • Choi, Eui Chul;Kim, Jun Hyuk;Nam, Doo Hyun;Lee, Young Man;Tak, Min Sung
    • Archives of Craniofacial Surgery
    • /
    • v.11 no.1
    • /
    • pp.53-57
    • /
    • 2010
  • Purpose: The radial forearm fasciocutaneous free flap is currently considered as the ideal free flap for reconstruction of mucosal and soft tissue defects of the palate. But the availability of stably attached oral and nasal mucosal lining is needed. In addition to this, for better operation field, operating convenience and esthetics, we planned a prelaminated radial forearm free flap. Methods: A 64-year-old male patient was admitted due to a $4{\times}4.5cm$ full through defect in the middle of the hard palate caused by peripheral T cell lymphoma with actinomycosis. In the first stage, the radial forearm flap was elevated, tailored to fit the hard palate defect, and then it positioned up-side down with split thickness skin graft. Two weeks later, the prelaminated radial forearm free flap was re-elevated and transferred to the palatal defect. One side covered with grafted skin was used to line the nasal cavity, and the other side (the cutaneous portion of the radial forearm flap) was used to line the oral cavity. Results: The prelamination procedure was relatively easy and useful. The skin graft was well taken to the flap. After 2nd stage operation, the flap survived uneventfully. There was no prolapse of the inset flap into the oral cavity and the cutaneous portion of the flap was mucosalized. The procedure was very successful and the patient can enjoy normal rigid diet and speech. Conclusion: The use of prelaminated radial forearm free flap for hard palate reconstruction is an excellent method to restore oral function. Based upon the result of this case, microvascular free flap transfer with prelaminated procedure is a valid alternative to the prosthetic obturator for palatal defect that provides an improved quality of life.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tegral component of head and neck cancer therapy and rehabilitation.

A Case of Vascular Leiomyoma Presenting as a Soft Mass of the Hard Palate (경구개 연성종물로 발현된 혈관평활근종 1예)

  • Yoon, Tae-Mi;Jung, Ki-Hong;Yang, Hyung-Chae;Lee, Joon-Kyoo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6 no.2
    • /
    • pp.250-252
    • /
    • 2010
  • Vascular leiomyomas are benign tumors of smooth muscle origin arising from the muscularis layer of blood vessel walls. They can occur anywhere in the body where smooth muscle is found and usually occur in the lower extremity as a slow-growing, firm, occasionally painful mass. However they are rare in the head and neck and very rare in hard palate. Here we report a case of a vascular leiomyoma presenting as a soft mass of the hard palate and review the literatures.

Protective effect of chicken egg yolk antibody in colostrum-deprived neonatal puppies (초유결핍 신생자견에서 난황 항체의 방어효과)

  • Oh, Tae-ho;Han, Hong-ryul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6 no.4
    • /
    • pp.903-913
    • /
    • 1996
  • 총 15두의 초유를 섭취하지 않은 신생자견을 대상으로 난황항체를 경구투여한 후 개 파보바이러스를 경구 접종하여 실험감염을 유발시켜 난황항체의 수동 면역에 의한 예방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항체역가는 면역화된 산란계로부터 분리한 난황항체를 투여한 자견이 비면역 난황항체를 투여한 자견에 비해 높았다. 개 파보바이러스 접종 직전의 항체역가는 대조군의 경우 1:40에서 1:80, 실험군의 경우는 1:320에서 1:1280이었다. 모든 대조군의 자견들은 바이러스 접종후 4일에 임상증상을 나타내었고 총 7두중 6두가 폐사된 반면 실험군 자견은 2두만이 증상을 나타내었고 폐사 자견은 없었다(p<0.01). 개 파보바이러스를 경구 접종한 후 전체 자견의 혈구응집억제반응역가는 접종후 6일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접종후 5일의 분변내 혈구 응집반응역가는 실험군 자견의 경우 < 2에서 64였으며 대조자견은 216에서 2048로 높았다.

  • PDF

연구개 근육조직에 대한 해부학적 문헌적 고찰

  • 이종호;전세일;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정필훈;김명진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5 no.1
    • /
    • pp.11-20
    • /
    • 2002
  • 정상 연구개의 근육조직에 대한 여러가지 해부학적 연구가 있어 왔지만, 구개열의 근육조직에 대한 연구는 이보다 훨씬 적었다. 또한 정상 연구개 근육조직의 형태를 잘 이해하는 것이 연구개 기능회복에 절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우리는 2개의 사체에서 채취한 정상상악골 및 연구개를 포함한 조직에서 연구개부위의 박리를 시행하여 근부착에 대한 해부학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구개열환자에 있어서 연구개 근육들은 전후방적인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경구개 뼈의 후방 가장자리에 직접 근부착을 한다는 점에서 정상과 달랐다. 구개열 수술에 있어서 이러한 비정상적인 근부착을 박리하여 횡적방향으로 재구성하여 정중부에서 봉합하는 것이 정상적 연구개 sphincter를 만들고 연구개를 후방으로 후퇴시켜 정상적 연구개 해부구조를 재구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velopharyngeal changes after maxillary protraction (상악골 전방견인치료후 구개범인두 변화에 대한 단기간의 측모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 Lee, Nam-Ki;Cha, Bong-Kue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6 no.2 s.115
    • /
    • pp.161-16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ephalometrically the short term static velopharyngeal changes in 25 patients (10 boys and 15 girls, aged from 5 years 9 months to 12 years 10 months in the beginning of treatment)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s who underwent nonsurgical maxillary protraction therapy with a facemask. The linear, angular and ratio measurements were made on lateral cephalograms. Only the change in hard palatal plane ang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hange in maxillary depth or N-perp to A (p<0.01). The change in velar ang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001). This change was influenced more by the soft palatal plane angle than by the hard palatal plane angle (p<0.001). The changes in soft tissue nasopharyngeal depth and hard tissue nasopharyngeal dep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p<0.001). Correlations between the changes in soft tissue (or hard tissue) nasopharyngeal depth and the change in soft palatal plane angle were significant (p<0.05). The increase in hard palate leng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change in hard palate leng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hange in soft tissue nasopharyngeal depth (p<0.05). The change in need ratio S (C)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001). But this difference was within the normal range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velopharyngeal competence was maintained even if the anatomical condition of the static velopharyngeal area were changed after maxillary protraction.

수포성, 궤양성 및 백색구강점막질환

  • Gi, U-Cheon;Choe, Jae-Gap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5 no.4 s.215
    • /
    • pp.335-345
    • /
    • 1987
  • 협점막, 치은, 구순막, 혀, 경구개, 연구개 및 구강저등으로 구성된 구강점막은 다양한 형태의 외상성 자극, 면역반응 이상, 세균감염, 유해한 환경등으로 인해 여러가지 질환이 발생된다. 이러한 질환들은 만성적이고 다른 질환에 비하여 발생빈도가 낮으며 병인이 불확실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구강점막에 발생되는 질환들은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크게 수포성, 궤양성 질환과 백색 구강점막 질환으로 나누어 그중 비교적 호발하는 몇몇 질환들에 대해 기술한다.

  • PDF

종양성 병변으로 인한 구강점막질환

  • Gi, U-Che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6 no.11 s.234
    • /
    • pp.1008-1012
    • /
    • 1988
  • 구강점막에 발생하는 종양성 병변으로는 대표적으로 구강점막암(oral mucous membrane cancer), 유두종(papilloma),혈관종(hemangioma), 임파관종(lymphangioma),섬유종(fibroma)등이 있는데 이들 병변들은 구강내 협점막, 치은, 경구개, 연구개, 구강저, 혀 등에 궤양이나 증식성 병소로 나타나서 동통, 출혈, 치아동요, 종창 등의 증상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병변들에 대한 명확한 치료와 예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들 병변들에 대한 정확한 소견에 근거한 진단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이들 병변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