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관지수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Review of Issues and Problems in Using Landscape Ecology Indices (경관생태지수 사용에 대한 고려사항과 문제점에 관한 고찰)

  • Lee Sang-Woo;Yoon Eun-Joo;Lee In-S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5
    • /
    • pp.73-83
    • /
    • 2004
  • 경관생태지수는 녹지의 이질성(Heterogeneity)을 계량화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발전되어 왔다. 지난 수십년간 많은 연구에서 경관생태지수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그 효용성이 인정되었지만, 경관생태지수의 사용에 따른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관생태지수 사용에 따른 고려사항과 문제점들을 기존 연구들을 통해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적절한 응용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으로, 지수의 문제점을 내재적인 문제들과 응용상의 문제들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지수 자체의 내재적인 문제로는 녹지구조와 기능과의 관계, 녹지구조의 측정 및 대표, 그리고 지수들의 불안정성 등을 들 수 있으며, 응용상의 문제점들로는 지수 선택, 스케일 변화와 피복 분류과정에 개입된 문제, 해석상의 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는 첫째, 가설에 입각한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측정하고자 하는 녹지의 공간적 특성을 명확히 규정하여야 하고, 셋째, 변위가 예측 가능한 지수를 사용해야 하고, 넷째, GIS나 인공위성 자료의 축척을 변화시키지 말아야 하며, 마지막으로 다섯째, 피복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류상 오류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hape indices through the comparison of regional woodland patches (지역별 산림패치 비교를 통한 형태지수의 특성분석)

  • Kim, Keun-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6 no.1
    • /
    • pp.63-71
    • /
    • 2010
  • 지난 수십 년 동안 형태지수는 패치의 복잡성을 정량화하여 생물종 다양성 보존과 같은 경관생태계획에 활용되어 왔다. 지역계획 연구자들이나 정책결정자들에게 경관구조와 패턴을 정량화하는 경관생태지수는 대상지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경관생태지수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연구 목적 및 범위에 따라 활용하는 경관생태지수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목적에 적합한 경관생태지수를 선정하는 것은 복잡한 수학분석과 함께 많은 주의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태지수들을 도시지역, 도시외곽지역, 농촌지역 그리고 산림지역 등 4군데 사례지역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통해 형태지수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평균형태지수값(MSI)에서는 도시외곽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균프랙텔차원지수(MPFD)에서는 농촌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넓은 면적을 가진 패치에 가중점을 고려한 평균형태지수값(AWMSI)과 평균프랙텔차원지수값(AWMPFD)에서는 산림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용한 네 가지 형태지수값의 순위가 4군데 사례지역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둘레와 면적의 로그전환을 이용하고 있는 프랙텔차원지수들의 경우, 도시와 도시외곽지역의 MPFD값은 같고, 도시외곽지역, 농촌지역과 산림지역의 AWMPFD값 차이는 적어 순위 분별력이 떨어졌다. 따라서 넓은 면적을 가진 패치에 가중점을 고려한 평균형태지수(AWMSI)가 지역별 산림패치의 복잡성을 잘 정량화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에서 보여주고 있다.

The Distribution Analysis of Coastal Wetland Vegetation Using Landscape Index (경관지수에 의한 연안습지 식생의 분포 분석)

  • Jeong, Jong-Chul;Cho, Hong-La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39-43
    • /
    • 2008
  • 경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상호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관지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경관구조 및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노력은 1950년대 후반부터 기하학적 이론을 기초로 하여 제기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원격탐사, GIS, 정보이론, 프랙탈 이론에 근거한 지표 등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습지 식생의 발달과 분포 특성을 공간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Landsat 영상에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선정한 지표면 식생비율을 10개 클래스로 구분한 후 각 클래스에 대해 경관지수를 적용하여 식생비율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새만금방조제를 비롯한 많은 연안습지에 생성되는 습지식생의 공간적 분포를 변화탐지 하고 이들의 시-공간적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해석하여 연안습지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기초 정보를 위성자료를 통해 추출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Scale Sensitivity of Landscape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Urban Green Areas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스케일 민감성 분석)

  • Lee, In-Sung;Yoon, Eun-J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2
    • /
    • pp.69-79
    • /
    • 2008
  • Landscape indices are effective tools to explain the spatial structure and patterns of ecological landscape including area/density, shape, core area, isolation/proximity, contagion/interspersion, and connectivity. More than 100 ind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n increasing amount of research explains changes in urban spaces using the indices. However, landscape indices have a high level of sensitivity to the scale of analysis - grain size and extent. If the scale sensitivity of indices is not considered, the research may produce inaccurate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 scale sensitivity of landscape indices to find relatively stable indices in the complex geographical features of Korea. The scale sensitivity was analyzed using 20 categories of grain size and 41 categories of extent change. Landsat TM and ETM+ images of five years - 1985, 1991, 1996, 2000 and 2003 - were used, and 54 class level indices mounted on the FRAGSTATS program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cale sensitivity, 19 out of 54 class level indices were found to be stable to scale change. Second, the scale sensitivity was closely related to the green area ratio, and the typical threshold of change was $40{\sim}50%$. Third, among the 16 indices which were frequently used in the research in Korea, only 6 indices were relatively stable to the scale change. These results can be an effective basis for the selection of indices in the landscape ecology research in Korea.

Landscape Scale Ecosystem Evaluation for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위한 경관규모 생태계평가기법 연구)

  • Hwang, Kook-Woong;Park, So-Y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1
    • /
    • pp.78-8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cosystem soundness in landscape scale using landscape indices, and to extract region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About BongWha-gun,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Landsat TM images and patch analysis ware carried out, and some landscape indices were calculat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and patch analyst program.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eokpo, Jaesan and Sochun got higher scores in landscape indices related to the ecosystem soundness. But, Bonghwa-eup got lowest scores in the 10 regions. When compared with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this result showed consistency to some degree. Although, there needs more supplementary studies, it is anticipated that landscape scale ecosystem evaluation using landscape indices can gives us some informations related to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 PDF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 Kim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s.110
    • /
    • pp.1-17
    • /
    • 2005
  •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valuating O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 Focused on Seondong Regio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 (가법형 통합지수 산정모형을 이용한 농촌지역의 객관적 경관 평가 - 전북 고창선동권역을 대상으로 -)

  • Ban, Yong-Un;Lee, Yong-Hoon;Na, Sang-Il;Youn, Joong-Shuk;Baek, Jong-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3
    • /
    • pp.69-81
    • /
    • 2009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o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n additive integration index method in the Seondong region of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This study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n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for landscape assessment based on indicators and weight to each space type in accordance with three landscape field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expert Delphi method. Second, this study used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permeable area rate, which were available from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to calculate the green naturality degree, area rate, and building coverage respectively. Third, this study has calculated the landscape assessment index of rural regions using an additive integration index method made of assessment data and weight for each indicator.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1) landscape level was very poor in all 6 types of space, marking grade five; 2) while the highest level of natural landscape and mixed landscape was grade two, that of artificial landscape was grade five; 3) based on objective landscape, grade fiv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grade one, two, three, and four followed in that orde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y in Rural Village of Korea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 Kim, Han-Soo;Oh, Choong-Hye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3
    • /
    • pp.389-403
    • /
    • 2011
  • Studies on effects of human action on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and changes in biodiversity are being processed actively from the view point of landscape ecology.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nt distribution status of the naturalization plant by disturbance of natural ecosystem which could be seen on 35 rural villages in Korea. The study made a landuse map on the study area then quantified the landscape ecologic characteristic using landscape index based on this landuse map. Correlation between landscape index on the study area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naturalization plant was analyzed. The landscape index was calculated by FRAGSTATS, a spatial analysis program, and naturalization index and urbanization index were used i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naturalization plant. As a result, naturalization index and patch density, naturalization index and edge density, naturalization index and area-weighted mean shape index were shown as having positive correlation, and naturalization and core area percentage of landscape, naturalization index and mean core area were displayed as having negative correlation.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Forest Patches Due to the Recent Land Development in North Korea (북한 도시지역의 산림파편화 변화조사)

  • Kim, Sang-Wook;Park, Chong-Hwa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0 no.1
    • /
    • pp.39-47
    • /
    • 2001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 및 원격탐사기법을 응용하여 북한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행되었으며, 과거 약 20년 동안의 평양 및 남포지역의 산림면적의 변화 및 경관구조 변화측면에서의 산림 파편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자료로는 Landsat MSS 및 TM 영상의 NDVI값을 이용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피복분류를 위하여 변형된 Cluster-Busting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산림과 비산림지역으로 단순화시켜 분석하였다. 경관구조의 변화를 살피기 위해서 조각밀도, 형태 및 핵심내부지역의 면적 등의 경관지수(Landscape Indices)를 활용하였다. 분석과정을 거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luster-busting 방법을 활용한 토지피복 분류결과 87.3%의 총 분류 정확도를 얻었으며, Binary Map을 이용한 변화감지(Change Detection)기법 또한 그 결과가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79년에서 '98년에 이르는 기간동안, 평양의 경우 '79년 산림면적의 15%, 그리고 남포지역의 경우 14%가 감소하였다. 셋째,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북한 산림의 파편화 변화를 조사한 결과 산림조각의 개수는 늘어나고 조각의 평균면적 및 핵심내부면적은 감소하였으며 조각크기의 다양성 또한 낮아졌다. 산림조각 형태지수 또한 매우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들은 평양 및 남포지역의 산림조각이 파편화되고 그 형태 또한 불규칙적이며 복잡하게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Inter-Relations among Water Quality, Landscape Metrics, Land Use, and Aquatic Ecosystem Health in the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의 수질, 경관지수, 토지이용 및 수생태계 건강성의 상관성 분석)

  • Gyobeom Kim;Kyuong-Ho Kim;Jongyoo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2-152
    • /
    • 2023
  • 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지표(TDI, BMI, FAI, HRI, RVI)가 사용되고 있다. 이 지표는 5가지 등급으로 구분하여 매우 좋음(A), 좋음(B), 보통(C), 나쁨(D), 매우나쁨(E)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하천의 건강성 관점에서 수질, 토지이용, 지리적 특성, 경관지수와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인자들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이 '좋음'에 해당되는 하천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경적 인자들의 임계값을 산출하여 하천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우선순위 설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낙동강대권역을 대상으로 수질, 토지이용, 지리적 특성, 경관지수의 여러 변수 중 수생태계 건강성과의 관계에서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환경적 인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CCA)을 수행하였다. 또한 모델 기반의 클러스터 분석을 활용하여 소권역별로 수생태계 건강성이 '좋음'에 해당할 확률을 파악하고, 여기에 해당하는 소권역에 대하여 각각의 환경적 인자에 대한 임계값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환경 인자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고 하천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주성분 분석 및 모델 기반 클러스터 분석을 사용하여 각 소권역에 대한 환경 인자의 임계값을 평가하고, 정책 결정자들이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