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관수로

Search Result 1,43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기고문 - 조경수 배치 설계사 양성과 경관 상품 개발

  • Ma, Sang-Gyu
    • Landscaping Tree
    • /
    • s.119
    • /
    • pp.8-11
    • /
    • 2010
  • 국가 발전과 국민생활수준 향상으로 조경수를 이용한 경관조림이 생태공원, 도시숲, 학교숲. 거리숲 등의 이름으로 확대되어가는 현상을 보게 된다. 경관조림지를 보면서 행정가의 눈에 의한 행정적 조림, 작업원의 눈에 의한 사업적 조림은 있으나 전문가에 의한 경관조림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곤 하였다. 수많은 조경수들 중에서 본연의 형태와 생태적 요구 특성에 알맞고, 입지특성 및 지역의 문화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수종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일은 물론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경관조성과 관리사업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고, 경관의 질도 향상시켜 나감은 물론 경관조성사업의 투자 효율도 증대시키는 측면에서 조경수 배치 설계사 양성의 필요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PDF

The Contingent Approach to Landscape Aesthetics (조경미학에서의 우연적 접근)

  • Zoon, Kyon-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5 no.2
    • /
    • pp.57-66
    • /
    • 1987
  • 본 연구는 경관선호에 관한 평가방법을 서술적으로 구명하면서 기존의 경관선호에 관한 평가방법이 자연적 요소를 많이 포함한 경관의 평가출 정착히 하는데 따르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경관의 우연적 국면에 따라 경관선호의 우연성(Contingency in Landscape Preference)을 개관하면서 경관평가의 우연성(Contingency in Landscape Evaluation)에 의한 우연적 경관평가방법(Contingent Approach in Landscape Evaluation)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최근까지의 경관평가방법을 크게 분류하면 총체적(Universal) 접근방법, 개성적(Idiosyncratic) 접근방법, 조화적(Contrastic) 접근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경관성에서의 우연성을 강조함 으로써, 앞의 세방법만을 가지고서는 경관의 실체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의 한 대안으로 경관선호에 대한 평가를 우연적 접근방법으로 해결함으로써 평가영역과 평가요소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학적 매트릭스가 가능하다는 시사를 본 연구에서 구시하면서 새로운 평가방법으로 우연적 경관평가방법을 제시했다. 우연적 경관평가방법은 우연적 경관성에 의한 심미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나 우연적 영역을 의도적으로 설정하지 않는 한 현실적으로 재정적 흑은 시간적 제약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경관선호의 정도에 관한 평가보다는 경관의 본질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고려한 평가가 경관선호평가에 대한 종합성을 반영할 수 있다. 경관평가의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경관의 본질은 우연성에 의존한다고 본다면 우연적 경관평가방법은 크게 무리가 없다. 결국 경관은 생명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현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동시적이면서 산재적 이며 상황적 다양성으로 간주해야 하며 고러란 관점을 강조한 것이 우연적 경관선호 및 경관평가에 대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도 나타났다. 직업간의 유의성은 학생과 타 직업간에 나타났다. 직업간의 유의성은 학생과 타 직업간에 현격하게 나타났으나, 개인차를 나타내는 속성적 변수는 상호보완적인 변수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행동의 설명력있는 이유로 볼 수 없다.때로는 민담에서도 풍수가 주제가 되는 경우가 있고, 일반적으로는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통하여 취락민이지녀온 자연요소에 대한 인식관 또는 그러한 생활에서 나타나는 윤리관 등이 암암리에 표현되기도 한다. 민담을 통하여 우리는 주민들 의식 속에 남아있는 취락의 중요한 요소나 장소들을 찾아볼수 있고 더불어 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을지도 모를 생활모습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ulcorner$순응$\lrcorner$의 다른 일면 또는 때에 따라서는 극히 의도적인 $\ulcorner$표현$\lrcorner$적인 한 면모 - 그 대표적인 경우로 정원을 구성하는데 개재된 인간의 의미는 무언가를 표현 또는 표출하고자 함에 있다는 점 -라 볼수도 있을, 예로써 성리학적 사고관념으로써 집과 정사 그리고 주변 경관을 자신의 내적본직 또는 윤리적 영역으로 삼아 묘사.표현.구체화 시켜가기도 한다. 최소한 동족부락의 한두 예들에서 그러한 $\ulcorner$표현$\lr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순응$\lrcorner$$\ulcorner$표현$\lrcorner$의 성격과 형태를 외형상으로 더욱이 공간상에서는 뚜렷하게

  • PDF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 Kim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s.110
    • /
    • pp.1-17
    • /
    • 2005
  •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근대기 서울 야간경관의 형성 과정

  • Gwon, Yeong-Ran;Bae, Je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45-47
    • /
    • 2017
  • 근대 사회로 진입을 시도하면서 서양의 근대 문물이 국내로 쏟아져 들어오게 되었다. 그 중 전등은 고종의 필요에 의해 빠르게 도입되면서 서울의 경관을 근대적으로 이행시켰다. 전등으로 인한 야간경관은 도시의 시공간적 변화를 모두 지니는 경관으로 근대도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서울 최초의 근대적 야간경관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자 했다. 한국에서 전등이 가장 먼저 설치된 곳은 1887년 경복궁의 건청궁이었다. 하지만 고종이라는 특정 인물을 위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일면 중세적인 성격을 지닌 경관이라 할 수 있다. 궁궐에서만 사용되었던 전등이 민간인에게까지 전파된 데에는 전차 부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당시 사람들에게 전차는 부국강병의 지표이자 개화된 사회의 상징이었다. 전차의 이용객이 늘어나게 되면서 운행시간은 22시까지 연장되었다. 이때 전차의 야간운행은 1900년 종로 보신각에 가로등을 설치하는 계기가 된다. 종로 가로등은 민간이 볼 수 는 최초의 근대적 야간경관이다. 종로 야간경관은 일반 백성들이 쉽게 볼 수 있었으며 당시 백성의 상권을 위하여 조성되었다는 점에서 진정한 의미에서 최초의 근대적 야간경관이라 할 수 있다.

  • PDF

도면 중첩법을 활용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 - 디지털 게임 속 가상경관을 중심으로 -

  • Kim, Ik-Hwan;Hong, Seok-Ju;Lee, J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16-18
    • /
    • 2017
  •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게임 속 가상경관은 보다 정교해지고 있으며, 설계 및 구현 과정에서 고려를 요구하는 요소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여태 가상경관 설계를 위한 정형화된 설계 방법론도 전무한 관계로, 디자이너들은 비효율적인 설계 과정을 거치며 동시에 질적으로도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물을 구축하고 있다. Ian McHarg의 도면 중첩법은 레이어 단위로 설계 고려요소를 정리하여 설계를 진행하기에, 설계에 고려할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하는 디자인의 진행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면 중첩법을 활용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가상경관의 공간적 특수성에 따라 분류를 진행하는 분류 방법론을 문헌 조사를 통해 파악하여, 이들을 각각의 레이어로 조직하였다. 그리고 설계 영역으로서의 가상경관과 실공간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이들을 기반으로 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토콜 분석방법론과 공간 구성요소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구축한 설계 방법론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본 설계 방법론은 디자이너들의 작업 시간을 22% 이상 줄일 수 있었으며, 동시에 작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향후 본 설계 방법론은 디지털 게임을 비롯한 가상경관 설계 및 구현의 영역에서 활발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가상경관을 조경 설계의 한 영역으로써 확장이 가능할 것임을 시사한다.

  • PDF

A Study of the Landscape Agreement Project for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역사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경관협정 항목에 관한 연구)

  • Shin, Min-Ji;Shin, Ji-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6
    • /
    • pp.129-139
    • /
    • 201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a landscape agreement in order to effectively preser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t this point of time when many landscape agreements are being concluded for landscape management, to analyze landscape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problems of comprehensive and widespread landscape agreements and landscape types and to generalize landscape agreement contents. To begin, sustainable and practical landscape management plans that local people can themselves participate and carry out were proposed,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guidelines extrac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about landscape management by citizen autonomy and participation. The guidelines considered what regional residents would follow by themselves, as well as what should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the accessibility and symbolism of a building's appearance and external spaces designed with the motif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The guidelines also pay attention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and facilities in order to maintain a pedestrian-friendly street environment which pursues designs in harmony with the existing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In addition, the recommended guidelines that are considered less important,are restricting the sizes of buildings, encouraging maintenance management of the details and external spaces to hide building facilities and block them from being exposed and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nature-friendly materials, and the management of neon signs in the landscapes and lighting time during the nigh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ocal residents need to improve the landscapes and change their consciousness by themselves to mainta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with a sense of tradition.

A Study on Methodology of Visual Quality Improvement of Landscape : The Case of the Han Riverscape (경관의 시각적 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강경관을 중심으로-)

  • 현종영;박찬용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8 no.4
    • /
    • pp.117-125
    • /
    • 1991
  • 본 연구는 경관의 미적선호의 정보처리모형을 제시하고 LISREL 방법론을 사용하여 한강경관의 미적선호의 강화에 기여하는 구조적 인자 를 확인함으로써 한강경관의 시각적 질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강 경관을 대표할 수 있는 전형적이고 시각적으 로 현저한 40개의 경관의 슬라이드를 120명의 피조사자에게 보여주고 미 적평가, 선호, 가독성, 복잡성, 통일성, 신비성을 11등급의 척도를 사용하 여 측정하고 LISREL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경관번호 30을 제외하고 모형의 전체적 적합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의 결과 경관 에 대한 미적 평가와 선호가 경관의 미적선호를 타당성있게 나타내는 변 수로 확인되었으며, 통일성, 가독성, 신비성의 구조적 변수들이 경관의 시각적 질을 유의하게 강화시키는 인자로 판명되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한강 경관의 시각적 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Landscape Planning System of Asia (아시아의 경관계획제도 비교 및 경관교육 추진)

  • Baek, Tae-Kyung;Yamashita, Sampe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6 no.1
    • /
    • pp.26-35
    • /
    • 2013
  •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landscape planning system in Korea and Japan by establishing the landscape database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Specifically, landscape laws and their ordinances enacted in Korea and Japan and their implementation cases were compar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s of December 1, 2010, landscape administrative bodies are composed of 472 local governments in Japan while as of March 1, 2010, they are 83 local governments in Korea. The landscape laws in Korea and Japan have a similar structure overall. However, there are no supplementary provision and penal provision in the Korean landscape law whereas there is landscape district provision in the Japanese landscape law.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a base for building up the landscape planning and policy in the East Asian region.

A Basic Study for Landscape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by Public Participation in the Sheffield Green Belt (주민참여를 통한 쉐필드 그린벨트의 경관생태학적 설계 및 계획을 위한 기초 연구)

  • Kim, Keun-Ho;Cho, Tong-Buh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3 no.1 s.34
    • /
    • pp.63-72
    • /
    • 2007
  • 경관특성평가(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는 지속가능한 경관생태학적 설계 및 계획을 찾는데 있어 점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촌경관(Rural landscape)평가방법의 잠재성에 초점을 두고 전문가에 의한 쉐필드 그린벨트의 경관가치 평가가 그린벨트 안이나 주변에 사는 거주자들의 의견을 반영했는지를 연구하였다. 쉐필드 그린벨트지역을 대상으로 경관특성평가를 하였고 설문지 조사 결과는 경관에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전문가에 의한 평가와 일반인에 의한 평가결과를 서로 비교하는데 이용하였다. 결과를 통해 두 그룹사이의 유사점들과 차이점들을 판단할 수 있었고 경관생태학적 설계 및 계획을 위한 경관특성평가 과정에서 일반인의 참여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앞으로 지속가능한 경관생태학적 설계 및 계획의 중요한 수단으로서 진보된 경관특성평가의 접근방법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Landscape Type for Urban Landscape Planning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경관유형 분류기준에 관한 고찰)

  • Bang, Jae-Sung;Yang, Byoung-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2
    • /
    • pp.78-8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fundamental data for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type as a base for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practices. To do this, prior dissertations and landscape plan reports were analyzed, which present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andscape typ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andscape type which could be usable in zoning ordinances has been suggest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n landscape analysis and assessment study based on ecological and formal aesthetic models, landscape type is classified by the character of the landscape element. Secondly, there is no logical classification of landscapetype in urban landscape planning according to mixed use of landscape type for analysis and planning. It is therefore difficult to identify the object of landscape planning, which is intimately linked with the shortage of concrete practice for landscape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this issu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andscape type are suggested based on utility in landscape planning. This could be divided into internal criteria and external criteria. The former are land-us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bject, and landscape elements while the latter are viewpoint, distance to view object, and urban form. Applying the landscape type classified by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paper, it is possible to manage an entire urban area. In addition, landscape type could be reference data for operating a zon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