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Landscape Type for Urban Landscape Planning  

Bang, Jae-Sung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Yang, Byoung-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7, no.2, 2009 , pp. 78-8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fundamental data for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type as a base for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practices. To do this, prior dissertations and landscape plan reports were analyzed, which present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andscape typ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andscape type which could be usable in zoning ordinances has been suggest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n landscape analysis and assessment study based on ecological and formal aesthetic models, landscape type is classified by the character of the landscape element. Secondly, there is no logical classification of landscapetype in urban landscape planning according to mixed use of landscape type for analysis and planning. It is therefore difficult to identify the object of landscape planning, which is intimately linked with the shortage of concrete practice for landscape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this issu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landscape type are suggested based on utility in landscape planning. This could be divided into internal criteria and external criteria. The former are land-us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bject, and landscape elements while the latter are viewpoint, distance to view object, and urban form. Applying the landscape type classified by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paper, it is possible to manage an entire urban area. In addition, landscape type could be reference data for operating a zoning system.
Keywords
Land-use; Zoning; Landscape Classification; Landscape Manage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3)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연구 I
2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연구 II
3 서울특별시(2005) 서울시 경관관리 기본계획
4 서주환, 윤재남(1999) GIS와 군집분석을 이용한 경관자원 평가와 관리. 한국조경학회지 27(3): 88-97
5 인천경제자유구역청(2005)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경관기본계획
6 정태일, 오덕성(2003) 우리나라 경관관련 법, 제도 및 계획 속에 나타난 경관유형과 제어요소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19(10): 111-120
7 홍승길, 서명철, 정필균, 손연규, 박광래, 강기경(2006) GIS기법을 이용한 농촌지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경관유형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9(1): 1-7
8 Barbyn, L. K.(1996) Landscape classfication using GIS and national digital database. Landscape Research 21(3): 277-300   DOI   ScienceOn
9 T. C. Daniel, and J. Vining(1983)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assessment of Landscape Quality In Altman I., Wohlwill, J. F.,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New York: Plenum Press: 39-84
10 Swanwick, C. (2002) Landscape character assesment: Department of landscape university of sheffield and landuse concultations
11 방재성, 송병화, 양병이(2008) 조망점의 선정기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1): 70-79   과학기술학회마을
12 황기원(1984) 문화경관론에 의한 도시경관의 해석이론 및 기법. 환경논총 15: 94-107   PUBMED
13 김용성, 이희정(2005) 외국 용도지역 사례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용도지역제 제도개선방향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97-108
14 최봉문, 이재준, 백운수, 구자훈, 강병수, 심상욱, 정태일(2002) 경관우수지역 보전 및 관리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240: 3-14
15 Arthur, L. M., T. C. Daniel, R. S. Boster(1977) Scenic assessment: an overview.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 109-129   DOI
16 황재훈(2003) 청주시 경관유형별 특성 및 평가연구. 건설기술연구소논문집 22(2): 281-294
17 김대현, 김대수, 주신하, 오세래(2005) 도시의 토지이용형태별 경관특성과 유형. 한국조경학회지 33(4): 1-10   과학기술학회마을
18 김한배(2003) 도시경관계획의 작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 국토계획 38(5): 213-230
19 이형복, 임윤택, 사토세이지(2004) 서울시 도시경관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3): 247-259
20 Norberg-Shulz, C.(1980) Genius Loci: Towards a Phenomelogy of Architecture, London: Academy Editions
21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2 건설교통부(2004) 신도시 경관계획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
23 유재형, 박상필, 김기호(2005) 서울 강북 도심부 경관유형별 특성과 학습 영향매체의 관계.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5-34
24 황기원(1989) 경관의 다의성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1(3): 135-140
25 Antrop, M.(2006) Sustainable landscape: Cotradiction, fiction or utopi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5(3-4): 187-197   DOI   ScienceOn
26 Zube, E. H., J. L. Sell, and J. Taylor(1982) Landscape perception: Research, application, and theo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 1-33   DOI
27 Meinig, D. W., et al(1979) The Interpretation of Ordinary Landscapes, N.Y: Oxford University Press
28 정순오, 한표환(1996) 도시경관보전을 위한 토지이용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8(3): 17-34
29 화성시(2005) 화성시 경관관리 기본계획
30 김용수, 박찬용(2006)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의 연구경향과 유형. 국토계획 41(5): 117-129
31 최유리, 변연수, 황재훈(2007) 도시위계별 경관 유형과 제어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54-163
32 한갑수(2003)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경관유형의 특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 117-128
33 임승빈, 서정희, 박향춘, 정윤희(2007) 경관유형 분류지표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3(1): 41-50   과학기술학회마을
34 대한주택공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조경학회(2006) 경관법 제정을위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35 이규목(2004) 한국의 도시경관. 열화당
36 임승빈, 안동만(1996) 제주도 중산간지역 현황조사.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