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관법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5초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Techniques for Evaluation of Ec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Landscapes through GIS Overlay Method)

  • 장래익;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2-3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자연경관훼손의 예방을 목적으로 자연경관보존방안을 제정하기 위한 경관평가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의 경관평가는 개발계획에 따른 시각경관만을 평가하고 있는 현실이며, 경관의 생태적 본질까지 동시에 평가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시각경관민감도와 생태경관다양성을 요소로 하는 경관평가를 진행하였다. 경관평가의 목적은 실질적인 보존지역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이앤 맥하그(Ian McHarg)의 도면중첩법을 적용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를 활용하였으며, 생태경관다양도와 시각경관민감도를 측정하여 중첩분석하였다. 또한, 경관영향요소의 영향력분석을 통해 집중관리지역을 분석할 수 있었다.

경관계획내용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Critical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Plan -Focused on the Cases of the Province Gyeonggi-)

  • 이상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51-657
    • /
    • 2010
  • 경관계획의 가장 문제점 중의 하나로 지적되는 것은 계획내용이 실제적으로 얼마나 적용가능한지의 여부이다. 물론, 경관계획의 위계는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 차원으로 대별되고, 이 위계에 맞는 각 자치정부의 조례 및 지침 등을 통해 실제적인 적용을 시도하고 있지만, 제도적인 문제나, 경관범주의 논의와 동시에 계획내용이 추상적 수준에서 얼마나 실제적 수준으로까지 서술되고 있는가가 문제로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경관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인 경관법이 현재 제정되어진 가운데, 이 연구는 광역차원의 경관계획과 시/군차원의 경관계획의 내용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여 경관법의 시행여부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에서 경관계획이 효율적이고 실질적 의미가 있게 작성되도록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여 경관계획 관리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청각선호도에 미치는 청각적 경관의 요소, 특징, 인상 요인과 계절의 상호작용 효과 (Interaction Between Seasons and Auditory Elements, Features and Impressions of Soundscape in Influencing Auditory Preferences)

  • 한명호;오양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306-316
    • /
    • 2007
  • 이 연구는 사운드스케이프라는 청각적 경관의 개념에 기초하여, 계절에 따라 도시 거리의 청각적 경관에서 나타나는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에 대한 한국인의 청각선호도를 조사하여, 청각적 경관의 구성요인과 계절의 요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청각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캡션평가법이라는 환경심리 조사수법을 이용하여 45명의 대학생들이 4계절 동안 남원시의 거리를 걸으면서 듣고 느낀 청각적 경관에서 나타나는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의 요인과 계절의 상호작용 효과를 단순요인 분산분석과 비모수 일원배치 분산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각적 경관의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과 계절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으며, 각 경관의 구성요인들이 청각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요소의 계절별 선호도는 봄, 여름, 가을에는 자연음이, 겨울에는 사회음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관특징의 계절별 선호도는 봄, 여름 및 겨울에는 양태가, 그리고 가을은 주변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관인상의 계절별 선호도는 봄과 겨울은 소리특성이, 그리고 여름과 가을은 거리의 분위기라는 경관인상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에 있어서 계절에 따라 어떠한 청각적 경관의 경관요소, 경관특징, 경관인상을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 그 양부를 판정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

GIS와 MESH 법에 의한 경관단위 구분 및 가시권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Unit and Viewshed Analysis Using GIS and MESH Method)

  • 배중남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26-333
    • /
    • 1997
  • 본 연구는 일본 하코네지구의 경관특성을 파악하고, 지역 내에 건축물이 건설될 경우 조망경관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사와 토지이용상태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GIS와 MESH 분석을 통하여 11개의 경관타입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건축물이 경관에 미치는 여향의 정도는 Y=0.47X+32.652(Y는 자연성의 평가치, X는 시거리, $R^{2}$는 0.877)의 회귀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조사지역에서 건축물의 신축이 지역경관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체계적인 경관관리를 위한 자료와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부산 연안의 경관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Coast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s in Busan City)

  • 이한석;도근영;조용수;이정재;김나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5-9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외 연안의 경관관리제도를 분석하였으며 먼저 연안의 경관관리에 앞서 가는 미국과 일본 연안도시에서 연안의 경관관리제도를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우리나라 연안의 경관관리제도와 부산 연안의 경관관리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관리체계 내에서 부산 연안의 경관관리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동시에 연안의 경관관리제도의 장기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안의 경관은 육지 경관과 바다 경관이 어우러져 구성되기 때문에 도시계획측면에서 보다는 연안관리차원에서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연안관리법을 기반으로 지역별로 연안경관관리조례를 만들어 구체적인 연안의 경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연안의 경관 특성에 따라 연안경관관리지역을 설정하고 그 안에 경관보전지구, 경관회복지구, 경관계획지구를 두어 지구별로 관리하며 지역의 경관종합계획과 지구별 경관계획지침을 세워야 한다

항만 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 양위주;구본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3회 정기총회
    • /
    • pp.136-137
    • /
    • 2007
  • 본 연구는 항만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것으로 부산의 북항을 연구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선호 요인은 SD법을 통해 도출되었고, 북항의 시각적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북항의 시각적 선호요인으로 역동성, 안정성, 쾌적성, 보건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4개의 선호요인을 이용한 시각적 선호도 분석 결과, 역동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북항 선호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북항 경관의 창출 및 관광객을 위한 항만 이미지 조성에 역동성을 고려한 항만경관계획과 관광 매력물로써의 개발을 통해 북항경관의 시각적 질 관리를 추진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부산 북항 항만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Visual Preference Analysis of North Port Landscapes in Busan)

  • 양위주;구본아;윤기항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5-269
    • /
    • 2008
  • 본 연구는 항만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것으로 부산의 북항을 연구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선호 요인은 SD법을 통해 도출되었고, 북항의 시각적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북항의 시각적 선호요인으로 역동성, 안정성, 쾌적성, 보건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4개의 선호요인을 이용한 시각적 선호도 분석 결과, 역동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북항 선호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북항 경관의 창출 및 관광객을 위한 항만 이미지 조성에 역동성을 고려한 항만경관계획과 관광 매력물로써의 개발을 통해 북항경관의 시각적 질 관리를 추진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관제도에 대한 경관담당 공무원 인식조사 (An Analysis of the Government Officer's Understanding on Landscape Law and Institutions)

  • 주신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54-65
    • /
    • 2017
  • 본 연구는 경관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경관제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경관관련 제도 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경관제도에 대한 중요도 및 성취도를 분석하고, 경관계획, 경관사업, 경관협정, 경관심의 및 경관위원회, 경관조례 및 경관행정 등에 대한 경관담당 공무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관법과 경관제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관심이 높았으며, 경관법이나 경관헌장에 관한 효용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 경관계획과 경관정책기본계획은 집중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경관계획은 주로 경관심의나 민원 요청에 대응하는 용도로 가장 활용이 많이 되고 있었으나, 거의 보지 않는다는 응답도 10.8% 정도로 적지 않아, 경관계획 내용을 현실화하고,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경관계획 수립기간으로는 18개월 미만이 적정하다는 인식이 많았으나, 이에 대해서는 인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3. 경관사업이나 경관협정의 개선을 위해서는 예산확보, 전문가, 추진조직 등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4. 경관심의와 경관위원회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주로 경관심의 위원들의 심의에 관한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경관조례 및 경관행정에 관한 보완사항으로는 인원보강과 같은 행정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당자로서 주관적 판단을 하는 것에 상황도 큰 부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관 교육을 위해 모인 공무원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결과에 긍정적 편향은 있을 수 있으나, 경관관련 제도에 관한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향후 경관 제도를 보다 현실적으로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경관심의를 위한 경관시뮬레이션 모형 작성 기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Making of Landscape Simulation Model for Landscape Design Review)

  • 이동화;김재명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54-60
    • /
    • 2019
  • After Landscape Act was enacted, as awareness of landscape has increased and the need of expanding targets of landscape design review and improving landscape examination in terms of quality,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 technique of creating three dimensional landscape simulation model which is used for landscape design review. For this, the author of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in terms of function and use of programs and compatibility with programs to find a way of creating models with the most efficient and optimum process. For creation of landscape simulation models, initial creation is important but in case that changes occur by operator changing or discussing development plans, rapid correction and change a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described how to build more accrurate and efficient simulation at initial review and how to create a landscape simulation model for rapid response to changed plans during reconsid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