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골골절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초

경골 골간 골절에서의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의 이용 3례 (Use of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for Tibial Diaphyseal Fracture in Three Dogs)

  • 허수영;이기창;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39-343
    • /
    • 2012
  • 교통사고를 원인으로 3마리의 개가 경골 골간 골절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와 정형외과 검사상 이들 골절은 경골주위에 연조직 손상을 동반한 폐쇄성 골절을 보여 주었다. 방사선검사상 단순 경사골절 (증례1), 복잡 나선형골절 (증례 2), 단순 나선형골절 (증례 3)로 진단되었다. 이들 골절은 수의 절단성 금속판이나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적용하였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7주 (증례 1), 10주 (증례 2) 그리고 8주 (증례3) 후 부작용 없이 골절 치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술 후 모든 환자들은 빠른 골치유와 체중 지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은 수의정형외과영역에서 경골 골간 골절의 유용한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비침습식 미세전류자극이 토끼 경골의 골절 후 BMP-4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Invasive Constant Microcurrent Stimulation on Expression of BMP-4 After Tibia Fracture in Rabbits)

  • 조미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24-1129
    • /
    • 2009
  • 골절 후 골 유합에 대한 미세직류전류 자극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체중 2.5~3 ㎏내외의 6개월 령 뉴질랜드 웅성토끼 24마리를 대상으로 경골 골절 후 미세전류 자극을 적용한 실험군과 비적용군인 대조군으로 나누어 3일, 7일, 14일 및 28일 후 BMP-4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BMP-4의 발현은 비침습식 미세전류를 적용한 실험군과 자연치유군인 대조군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다가 감소되었다. 그러나 실험군에서 경골 골절 3일 후 대조군은 하버씨계의 간질층판을 중심으로 약한 갈색의 면역양성반응(+)을 보였으나 실험군의 경우 중등도의 면역양성반응(++)을 보였다. 경골 골절 7일 후 대조군은 하버씨계의 동심원과 간질층판을 중심으로 중등도의 갈색의 면역양성반응(++)을 보였으나 실험군의 경우 바깥층판을 포함하여 매우 강한 갈색의 면역양성반응(++++)을 보였다. 경골 골절 14일 후 대조군은 하버씨계의 간질층판과 동심원을 중심으로 강한 갈색의 면역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실험군 또한 강한 면역양성반응(+++)을 보였다. 그 후 점차 감소하여 경골 골절 28일 후 대조군은 하버씨계의 간질층판을 중심으로 약한 갈색의 면역양성반응(+)을 보였으나 실험군의 경우 중등도의 면역양성반응(++)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 보면 골절 후 미세전류를 비침습적으로 적용할 때 치유과정 초기에 골형성단백질인 BMP-4의 발현을 증가시켜 골절 치유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다.

  • PDF

축구 선수에서 발생한 경골 피로 골절 치료에 대한 결과 -1예 보고- (Result in Tibial Stress Fracture Treatment in a Elite Soccer Player -A Case Report-)

  • 이경태;김기천;박영욱;김준범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4-120
    • /
    • 2010
  • 경골 중앙 전방 피질골 피로 골절은 지연 유합 또는 불유합이 되기 쉬우며 경미한 외상에도 완전 골절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심한 평가와 처치뿐 아니라 이전 수준의 운동으로 복귀할 시기를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저자들은 운동 선수에서 경골 중앙 전방 피질골 피로 골절 지연 유합후 완전 골절로 발전한 증례에 대한 치험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소아 경골 극 골절의 불유합 - 2예 보고 - (Nonunion of Tibial Eminence Fracture in Child - 2 cases Report -)

  • 허윤무;정환용;김상범;김성훈;류승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2-198
    • /
    • 2006
  • 소아에 있어서 경골 극 골절은 좋은 예후를 보인다. 하지만 드물게 증상이 있는 불유합이 발생하며, 골절의 정복과 골이식으로 치료한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8세 소아의 경골 극 골절 Mckeever 제 2형을 장하지 석고 고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나, 불유합된 2 례를 관절경하 정복술 및 내고정술로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개에서 발생한 양측성 경골조면 부분 견열골절의 방사선학적 변화 (Radiographic Changes of Bilateral Partial Avulsion Fracture of Tibial Tuberosity in a Dog)

  • 계서연;최미현;이남순;장재영;이혜경;김현욱;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4-137
    • /
    • 2013
  • 4개월 된 수컷 진도 견에서 좌측 후지 파행이 발생하였다. 방사선 검사에서 양측 경골 견인 골단 아래 작은 골편이 관찰되었으나, 견인 골단의 변위는 없었다. 그 후 양측 경골 조면 부위의 골밀도는 방사선 투과성에서 비투과성으로 변화하였다. 좌측 경골은 수술 후 회복되었으나, 우측 경골은 보존적 처치로 자가 치료되었다. 본 환자는 경골조면의 부분 견열골절로 진단되었으며, 이는 개에서 'Osgood-Schlatter disease'로 불려져 왔던 질환이다. 이 증례는 환자의 경골조면 부분 견열골절의 순차적인 방사선학적 영상 변화에 대한 유용한 임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경골 고평부 골절의 반월상 연골 파열 양상 (Characteristics of Meniscus Tear in Tibial Plateau Fractures)

  • 이동훈;김병국;김재화;정주환;이인성;이준구;이순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12
  •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은 슬관절에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관절경하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경골 고평부 골절을 진단 받은 39명의 환자 중 33명 환자를 대상으로 골절 고정 시내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Schatzker 분류에 따르면 1명의 I형(3.3%), 19명의 II형(53.3%), 4명의 III형(13.3%), 2명의 IV형(6.6%), 2명의 V형(6.6%), 5명의 VI형(20%) 소견을 보였다. 결과: 25명의 환자(75.8%)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Schatzker II형 환자 19명 중 18명의 환자(94.7%)가, Schatzker III형 환자 4명 중 3명의 환자(75%)가, Schatzker VI형 환자 5명 중 4명의 환자(80%)가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반월상 연골 중 가장 많이 손상된 부분은 외측 연골의 전각부분이다(22/25). 25명의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변연부 수직 종파열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도할 수 있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에 있어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파악 및 치료에 유용하며, 경골 고평부 골절환자에서 관절경을 권한다.

  • PDF

관절경을 이용한 경골 과부 골절의 치료 (The Treatment of Tibial Condylar Fractures Using Arthroscopy)

  • 신동민;이상홍;유재원;이병호;하상호;나태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2-37
    • /
    • 2000
  • 목적 : 경골 과부 골절 환자 전례를 대상으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골절 뿐만 아니라 동반된 연부 조직 병변에 대해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여 관절경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경골 과부 골절 환자 31례를 대상으로 하여 전 례에서 관절경을 시행하여 동반된 연부 조직 손상을 확인하였으며 이중 보존적 요법 9례, 수술적 치료는 22례에서 시행 하였다. 저자들은 사고 원인, 분류, 동반된 연부 조직 손상, 치료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Schatzker골절 분류상 제 1형이 15례$(18\%)$로 가장 많았으며, 동반된 관절내 병변 및 인대 손상은 총 21례$(67\%)$에서 관찰되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이 16례로 가장 많았고, 파열 형태로는 변연부 박리가 7례$(4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Schatzker I, II형에서 가장 많은 연부 조직 손상이 동반 되었으며 특히, 내측 측부 인대 및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 : 경골 과부 골절시 관절경 검사는 골절의 치료뿐만 아니라 관절내 병변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소형견에서 전 십자인대 단열의 치료를 위한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의 평가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for Treatment of Naturally Occurring Cranial Cruciate Ligament Rupture in Small Breed Dogs - Case Series)

  • 김충섭;허수영;김민수;김남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83-489
    • /
    • 2014
  • 본 연구는 소형견에서 전 십자인대 단열에서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로 치료된 증례의 예후와 수술적 기법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5 kg 미만의 7 마리의 성견에서 편측 전 십자인대 단열에서의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을 이용한 증례를 본 연구에서 이용하였다. 임상적 관찰, 파행 지수, 관절의 운동 범위, 대퇴 둘래 길이를 측정하고 수술 후 부작용에 대해 기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1주에 파행 지수 1을 8주 이후에는 파행 지수 0를 보여 주었다. 수술한 다리의 펴짐각은 다른 쪽 정상 다리와 비교하여 4주에 98.11%로 8주에 99.07%로 12주에 98.73%로 측정되었고 굽힘각은 4주에 98.07%로 8주에 95.88%로 12주에 96.35%로 측정되었다. 수술 후 대퇴 둘레 길이는 다른쪽 정상 다리와 비교하여 4주에 92.95%를 8주에 93.68%를 12주에 95.44%를 보여 주었다. 우리가 수술 한 결과는 이전에 보고된 대형견에서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의 이용 결과들과 비교하여 나쁘지 않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증례를 바탕으로 대형견에서와 같이 소형견에서도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이 전 십자인대 단열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관절경을 이용한 경골 고평부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 (Arthroscopically assisted Operative Treatment of Tibial Plateau Fracture)

  • 변재용;김보현;강신택;황찬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2
    • /
    • 2006
  • 목적: 관절경을 이용한 경골 고평부 골절 치료를 시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평가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본 교실에서 경골 고평부 골절로 관절경과 영상증폭기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하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27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1개월 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Schatzker 분류방법을 이용 하였으며, 당순 방사선 사진에서 관절면 함몰 및 전위가 2 mm이상인 경우를 골절 정복의 적응증으로 삼았다. 먼저 동반된 손상에 대한 수술을 먼저 하고, 관절경하에서 2.4 mm Steinmann 핀을 이용하여 관절면을 정복하고 영상증폭기하에서 6.5 mm cancellous screw로 고정하였다. 이후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내고정 혹은 외고정을 시행하였다. 결과판정은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적 결과로 나누어 Rasmussen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결과 전례 27례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Rasmussen 기준에 따라 23례(85%)에서 우수 또는 양호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평균 관절운동 범위는 2.5도에서 130도 이었다. 합병증으로 1례에서 술후 감염이 있었고 1례에서 정복의 소실이 있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 관절경과 영상 증폭기를 이용한 수술은 정확한 관절면의 정복과 동반 손상을 치료하고 합병증이 적은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생흡수성 핀을 이용한 소아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및 고정 방법 - 수술 술기 - (Arthroscopic Reduction and Fixation of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vulsion Fracture From the Tibial Eminence Using Bioabsorbable Pins - Technical Note -)

  • 이수찬;양일순;서희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3-187
    • /
    • 2009
  • 목적: 성장판이 남아 있는 청소년기 환자에서 발생한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핀을이용한 간단한 관절경적 정복 및 고정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전외측 및 전내측 삽입구를 통하여 진단적 관절경 검사를 시행 후, 손상부를 잘 관찰하기 위하여 미세 골절파편과 응고된 혈액을 제거한다. 탐침을 이용하여 골절편을 정복한 상태에서 1.1 mm K-강선을 관절의 전상부에서 경피적으로 삽입하여 임시로 골절편을 고정한다. 드릴 가이드를 관절 내로 삽입 후, poly-p-dioxanone로 만들어진 40 mm 길이의 생흡수성 핀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삽입하여 골절편을 완전히 고정한다. 수술 후 슬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장하지 석고 고정을 4주간 시행하여 술 후 슬관절의 완전 신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론: 전방십자인대에 의한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을 생흡수성 핀을 이용하여 관절경적으로 고정하는 술기는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으며, 골절 치유와 관절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수술 방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