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계선 기법

Search Result 247, Processing Time 0.05 seconds

The Illustration Technique Using Boundary Simplification (경계선 간략화를 이용한 일러스트레이션 기법)

  • 김혜선;진희정;유영중;조환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484-486
    • /
    • 2000
  • 일러스트레이션은 물체를 표현하는 최소한의 특징만을 가지고 사물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를 자동화한 많은 연구들은 주로 많은 스트록을 이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일러스트레이션 결과를 생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물체의 특징만을 표현할 수 있는 적은 스트록을 이용하여 일러스트레이션을 생성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우리는 이전 연구[1]에서 간단히 추출된 경계선과 두 가지 스트록 모핑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물체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유용한 경계선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정확한 경계선의 추출은 스트록과 더불어 최종 일러스트레이션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경계선 추출 방법과 이전 논문의 스트록 모핑 방법을 이용한 일러스트레이션 결과는 본 논문의 실험결과로 주어졌다.

  • PDF

Automated Edge-based Seamline Extraction for Mosaicking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고해상도 위성영상 모자이킹을 위한 경계선 기반의 접합선 자동 추출)

  • Jin, Kyeong-Hyeok;Song, Yeong-S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1
    • /
    • pp.61-69
    • /
    • 2009
  • By the advent of th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a ground-coverage included by a single satellite image is decreased. By the reason, there are increasing needs in image mosaicking technology to use images to various GIS fields. This paper describes an edge-based seamline extraction algorithm using edge information such as rivers, roads, buildings for image mosaicking. For this, we developed a method to track and link discontinuous edges extracted by edge detection operator.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applied the algorithm to IKONOS, KOMPSAT-1 and SPOT-5 satellite im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lgorithm successfully dealts with discontinuities caused by geometric differences in two images.

  • PDF

A Cracks Detection of Spectacle Lens using Fuzzy Method (퍼지 기법을 이용한 안경 렌즈의 흠집 검출)

  • Choi, Kyoung-Yeol;Lee, Won-Joo;Kim, Kwang-Be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10a
    • /
    • pp.171-17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렌즈의 흠집을 추출할 수 있는 퍼지 기법을 이용한 렌즈 흠집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렌즈 영상을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한 후, 캐니 마스크를 이용하여 렌즈의 경계선을 추출한다. 추출된 렌즈의 경계선에 대해 평균 이진화와 모폴로지를 이용하여 렌즈 경계선을 보정한다. 렌즈 경계선이 보정된 영상에서 Seed Fill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렌즈의 내부 영역만을 추출한다. 추출된 렌즈의 내부 영역에 해당하는 원 영상에서 소벨 마스크를 적용하여 렌즈 내부 영역의 에지를 추출한다. 렌즈 내부 영역에서 추출된 에지 객체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흠집과 비흠집을 분류하는 퍼지 기법을 적용하여 흠집 영역을 추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렌즈의 흠집 검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CHEMI, MID, HL, HM 시력 보정용 렌즈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흠집을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lgorithm for extracting region of interest in medical images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한 의료 영상에서 관심영역 추출 알고리즘)

  • Cho, Young-bok;Woo, S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295-298
    • /
    • 2018
  • The proposed paper proposes an algorithm that automatically extracts the region of interest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medical images. In general, the robust boundary segmentation technique provides robust and accurate segmentation results in object boundaries with various noise and direction generated during image acquisition through optimal segmentation of the edges considering nois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ality in noise images. In this paper, it is possible to apply adaptive filter type and size to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image object and apply it to the boundary division of various object objec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boundary between various noise images such as an ultrasound image and an optical image.

  • PDF

Tear Extraction from Ultrasonic Images of Shoulder using Fuzzy Stretching and SOM Based Quantization (퍼지 스트레칭과 SOM 기반 양자화를 이용한 어깨 초음파 영상에서의 인대 손상 영역 추출)

  • Kim, Yoon-Ho;Kim, Min-Ha;Song, Yu-Seon;Kim, Kwang-Be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9-1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어깨 초음파 영상을 분석하여 인대 손상(Tear)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초음파 영상에서 ROI(Region of Interest)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ROI 영역에서 사다리꼴 형태의 소속 함수를 적용한 퍼지 스트레칭 기법을 이용하여 명암 대비를 높인다. 명암 대비가 조정된 ROI 영역에서 밝기 평균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여 ROI 영역을 이진화한다. 이진화가 적용된 ROI 영역에서 워터쉐드 기법을 적용하여 연골과 힘줄의 후보 영역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연골과 힘줄의 후보 영역들 중에서 위에서 아래로 스캔하여 수평 너비가 가장 큰 영역에 해당하는 힘줄 영역의 상단 경계선을 추출한다. 그리고 아래에서 위로 스캔하여 수평 너비가 가장 큰 영역의 상단 경계에 스플라인 곡선을 적용하여 연골 영역의 상단 경계선을 추출한다. 힘줄 영역의 상단 경계선과 연골 영역의 상단 경계선 양 끝에 2차 함수 곡선을 적용하여 곡선 사이의 양자화할 영역을 추출한 후, SOM 기법을 적용하여 인대 손상 후보 영역을 양자화한다. 양자화된 인대 손상 후보 영역을 분석하여 어깨 힘줄의 손상 영역과 비손상 영역을 구분하고 인대 손상(Tear)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어깨 힘줄이 있는 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인대 손상(Tear) 영역이 비교적 정확히 추출되었다.

  • PDF

Advanced Contour Tracing Algorithms based on Analysis of Tracing Conditions (추적 조건 분석에 의한 개선된 외곽선 추적 기법들)

  • Cheng, Cheol-Ho;Seo, Jong-Hoon;Han, Tack-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431-436
    • /
    • 2006
  • 외곽선 추적 알고리즘은 영상 인식 및 표현에 있어서 물체의 기본 성질을 파악하는데 중요하다. 따라서 많은 알고리즘들이 연구되어 왔으며, 이중에는 간단한 경계선 추적자 알고리즘(SBF: Simple Boundary Follower)이다. 이외에도 수정된 간단한 경계선 추적자 알고리즘 (MSBF: Modified Simple Boundary Follower), 개선된 간단한 경계선 추적자 알고리즘(ISBF: Improved Simple Boundary Follower), 무어-네이버 추적 알고리즘(MNT: Moore-Neighbor Tracer), 방사형 탐색 알고리즘(RSA: Radial Sweep Algorithm), 그리고 Theo Pavlidis 알고리즘(TPA)이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들은 추적 경로 특성들이 다르며 각기 장점과 제약성이 있다.외곽선 알고리즘들의 제약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알고리즘 특성에 따라 외곽선 픽셀간 인접 형태에 따라 추적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외곽선 추적 알고리즘의 시작과 종료 조건에 따라서 특정 위치 픽셀들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존재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외곽선 추적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ISBF의 시작 조건과 TPA의 인너코너 추적을 개선하는 기법들을 제안하여 이를 해결토록 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들은 외곽선 추적 성능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었다.

  • PDF

A Study on Mapping 3-D River Boundary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sets (공간정보를 이용한 3차원 하천 경계선 매핑에 관한 연구)

  • Choung, Yun-Jae;Park, Hyen-Cheol;Jo,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1
    • /
    • pp.87-98
    • /
    • 2012
  • A river boundary is defined as the intersection between a main stream of a river and the land. Mapping of the river boundary is important for the protection of the properties in river areas, the prevention of flooding and the monitoring of the topographic changes in river areas. However, the utilization of the ground surveying technologies is not efficient for the mapping of the river boundary due to the irregular surfaces of river zones and the dynamic changes of water level of a river stream. Recently,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sets such as the airborne LiDAR and aerial images are widely used for coastal mapping due to the acquisition of the topographic information without human accessibility. Due to these advantages, this research proposes a semi-automatic method for mapping of the river boundary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set such as the airborne LiDAR and the aerial photographs. Multiple image processing technologies such as the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and the edge detection algorithm are applied for the generation of the 3D river boundary using the aerial photographs and airborne topographic LiDAR data. Check points determined by the experienced expert ar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ccuracy of the generated 3D river boundary.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generated river boundary has a high accuracy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Edge Detector based on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for Lane Detection (차선검출 위한 선형 판별 분석 기법 기반의 경계선 추출 방법)

  • Yoo, Hun-Jae;Yang, Uk-Il;Kang, Min-Sung;Choi, Jae-Seob;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70-73
    • /
    • 2010
  • 최근 IT 기술이 융합된 지능형 자동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차선 검출은 지능형 자동차의 주요 과제인 첨단 안전자동차 기술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국내외에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차량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제동거리 확보가 가능한 거리까지 정확하고 빠른 차선 검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경계선 검출기반 차선 검출은 소실점 근처에서 경계선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차선과 도로의 색이 잘 구분되지 않는 채널을 사용하는 문제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형 판별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차선과 도로 색을 가장 잘 구분할 수 있는 RGB 가중치를 계산하여 이로부터 projection 영상을 만들고, 변환한 영상에서 경계선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경계선 검출 결과를 얻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으로 얻은 영상과 기존의 흑백 영상에 동일한 경계선 검출기를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하고, 이를 적용한 차선검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

Environment Adaptive Canny Edge Detector for Lane Detection (차선검출 위한 환경 적응적인 캐니 에지 추출 방법)

  • Yoo, Hunjae;Kang, Minsung;Yang, Uk-Il;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72-74
    • /
    • 2011
  • 최근 IT 기술이 융합된 지능형 자동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차선 검출은 지능형 자동차의 주요 과제인 첨단 안전자동차 기술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국내외에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차량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제동거리 확보가 가능한 거리까지 정확하고 빠른 차선 검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경계선 검출기법들은 조명 변화에 따라 그 성능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였다. 이는 차선과 도로의 사이의 값의 차이가 조명 조건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경계선을 판단하는 값을 조절함으로써 환경에 적응적인 경계선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차량 주행 영상에서 제안한 방법과 기존의 경계선 검출 기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한다.

  • PDF

A study on Moving Object Segmentation (이동물체 분할에 관한 연구)

  • Jeo,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49-351
    • /
    • 2012
  • 영상분할은 입력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분할하는 처리로서 이동물체추적, 영상 감시, 영상 기반 제어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기술 중 한 가지이다. 기존 영상 분할 방법은 영역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과 경계선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경계선을 기반으로 이동물체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 연산량 감소등 의 많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영상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 적용이 곤란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벡터를 추출한 후 이동벡터를 분할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입력영상에 대하여 BMA기법을 적용하여 이동벡터를 추출하여 이동벡터 영상을 구한 후, 이동 벡터영상에 워터쉐이드 기법을 적용하여 영상 분할하였다. 기존 경계선을 이용한 영상 분할과 비교한 결과 노이즈가 적은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