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계공간

Search Result 1,332,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n Efficient MBR Approximation Scheme for Reducing Dead Space of Bounding Rectangles in The TPR-Tree (TPR-트리에서 경계 사각형의 사장 공간을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MBR 근사 기법)

  • 최석창;송문배;강상원;황종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91-93
    • /
    • 2004
  • 이동 객체의 현재와 미래 위치 질의에 최적화된 색인 구조로써 TPR-트리가 있다 TPR-트리는 기존의 공간 색인 구조와 달리 이동 객체와 경계 사각형을 참조 위치와 속도 벡터를 매개 변수로 한 시간에 대한 선형 함수 형태로 모델링 함으로써 갱신 비용을 줄이고 현재 및 가까운 미래 위치 정보의 예측을 가능하도록 한다 . 하지만 TPR- 트리는 시간의 정파에 따라 경계 사각형이 선형적으로 환장됨으로 인해 경계 사각형 내의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인 사장 공간과 경계 사각 혈들 간의 겹침 현상을 증가시켜 정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계 사각형 내의 이동 객체들이 이동함에 따라 변경되는 최소 경계 사각형 (MBR: Minimim Bounding Rectangle)을 베지어 곡선 함수를 이용하여 근사함으로써 사장 공간을 줄이는 적응 경계 사각형 (ABR: Adaptive Bounding Rectangle) 기법을 제안한다.

  • PDF

Reconsideration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Village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 재론(再論))

  • KIM, Kiduk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57
    • /
    • pp.197-228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judgement that there was a need to make several mentions by reference to studies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The judgement was not about the dimension that there was a problem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existing village but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make a fresh reorganization of it in a little more detail.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ed seven spac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village. It attempted to analyze it by dividing it into four spaces such as ① natural space, ② residential space and work space, ③ moving space and boundary space and ④ play space and ritual space to fit its basic nature. First of all, it made a pictorial presentation of the basic form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farming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most general and whose form has been handed down up to the present. And it described the composition of each space accordingly. It was not intended for a specific village. So it presented the historical change, the behavior of the members surrounding the village and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village, which were judged to be very important in explaining the items of the composition of each spa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 Korean village well embodied the framework of their life in terms of their view of nature, lifestyle and worldview. The view of nature act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village as a whole and is well reflected in the natural space in particular. Their lifestyle is reflected in the residential space, farming space, moving space and play space, and their worldview is spcifically mirrored in the boundary space and ritual spac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take a look at the element of Feng-Shui in discus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village.

A Spatio-temporal model for simple objects with a broad boundary (불확실한 경계를 가진 시공간 객체의 모델 설계)

  • Kim, Dae-Jung;Chi, Jung-Hee;Ryu,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83-86
    • /
    • 2002
  • 최근 지리 정보 시스템이나 공간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실세계를 효율적으로 모델링하려는 맡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기존의 단순한 point, line, polygon으로 모델링했던 방법들을 multipoint, multiline, multipolygon과 같은 복잡한 객체를 표현하기 위한 연구로 확장되었다. 또한 이러한 공간 객체의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공간 객체를 시간으로 확장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모델들은 명확한 경계를 가진 시공간 객체를 대상으로 한다. 자연, 사회 문화 현상, 생태 같은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객체를 단순한 경계를 가진 공간 객체로 모델링하기에는 그 표현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불확실한 경계를 가진 시공간 데이터 모델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불확실한 경제를 가진 시공간 모델의 설계는 상호 운용을 증진하기 위하여 OGC(OpenGIS Consortium)에서 제시한 2차원 기하 객체 모델을 기반으로 불확실한 경계를 가지는 공간 데이터 모델로 확장한다. 또한, 이 불확실한 경계를 가지는 단순한 공간 모델을 시간 영역으로 확장하여 유효시간을 갖는 불확실한 시공간 데이터 모델을 설계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 제시한 불확실한 경계를 가진 시공간 객체 모델을 바탕으로 실세계의 다양하고 복잡한 객체에 대한 효율적인 질의가 가능한 시공간 연산자를 제시한다.

  • PDF

Study on Efficient Collision Detection in Virtual Environment Navigation System (가상 환경 탐험 시스템 상에서 효과적인 충돌 탐지에 관한 연구)

  • Park, Nam-Il;Kim, Dong-Hoon;Lee, Sang-Rak;Sung, Mee-Young;Park, Jong-Se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613-618
    • /
    • 2006
  • 본 논문은 3차원 가상 환경을 탐험하는데 있어서 빠르고 효과적으로 충돌 탐지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넓은 가상 공간상에서 개체가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충돌 탐지의 계산 비용은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BSP-tree 분할 방식과 경계 기둥을 사용한다. BSP-tree 분할 방식은 3차원의 넓은 가상 공간을 여러 하위 공간으로 나누어 충돌 탐지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축소한다. 이를 통하여 충돌 탐지 개체의 수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경계 기둥의 충돌 탐지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계 기둥은 축소된 하위 공간 상에서 개체간 실제 충돌 탐지가 일어날 가능성 및 충돌 여부를 빠르고 간편하게 판별하도록 한다.

  • PDF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the Delimitation of CBD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 Kim, Ho-Yong;Kim, Ji-Sook;Lee, S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4
    • /
    • pp.42-54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suitable for the delimitation of Busan CBD. For this purpose, Getis-Ord $G_i^*$ and both of IDW (Inverse Distance Weight) and FDB(Fixed Distance Band) were applied to delimit the CBD boundary. And then, the results of the CBD boundary were compared and verified with the methodologie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 of IDW accorded with the previous study relating to the delimitation of the boundary of CBD, and the result of FDB wa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ed-use residential of a transition zone. As a result of the land use quotient, the mixed land use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was highly specialized in the boundary of FDB.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the effective CBD management.

A spatial distribution study of Aquifer Using Geostatistical analysis at the Ulsan Manufacturing Industry City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한 대수층의 공간적 분포연구)

  • 김병우;정상용;강동환;이민희;성익환;조병욱;이승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29-232
    • /
    • 2003
  • 본 연구는 울산지역 지하수오염 저감기술의 개발에 필요한 대수층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울산 공업도시의 대수층에서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추조사가 많이 필요 하지만 비용 및 시간 관계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지질조사 보고서나 논문 등에서 지하수자료와 시추 자료를 획득하여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한 울산지역 대수층의 공간적 분포를 모사하였다. 그리고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남구와 중구를 중심으로 대수층 단면 분포를 모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표토층 하부경계부와 풍화대 하부경계부에서 유사한 분포심도로 나타났으며, 지하수 수위는 표토층 하부경계와 암반층 상부경계부인 풍화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lor-Edge Detection with CIEL*Ch Color Space (컬러영상 경계추출을 위한 CIEL*Ch 색체계 변환의 적용)

  • Yang, Sung-Chul;Kim, Yong-Il;Yu, Ki-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273-278
    • /
    • 2005
  • 전정색영상과 달리 컬러영상에서 개체를 추출할 경우 밴드별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특정지물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일고 밝기값만으로 구별해낼 수 없는 개체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컬러영상에서 지형지물을 추출하기 위해 컬러정보를 이용하여 경계를 추출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RGB 색체계가 아닌 CIEL*Ch 색체계로 변환한 후 L*에서 경계를 추출하고 C, h값으로 특정지물을경계를 추출하는 기법으로 컬러영상의 경계를 추출하였다.

  • PDF

Simple interaction methods between overland flow and underground space for urban flood modelling (도시홍수 모델링을 위한 지상과 지하공간의 효율적인 연계해석)

  • Kim, Byunghyun;Son, Ah-long;Kim, Jong-Hae;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47
    • /
    • 2017
  •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는 인구, 산업시설, 교통 등의 증가를 가져왔고, 점차 부족해지는 지상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건물이 고도화되고 건물의 공간 배치 계획이 수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장하는 도시화에 따른 지상공간의 부족은 공간이용의 고도화를 위해 지하도로, 지하상가, 지하철, 지하공동구, 변전소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지하공간 개발로 이어져 도시는 지상공간과 지하공간이 혼재하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최근 기후변화와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도시 배수시스템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유효강우량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것은 지상의 침수뿐만 아니라 지하공간에서의 침수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도시홍수 모델링 연구는 주로 지상에서의 홍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거나, 지상과 지하공간의 침수를 독립적으로 구분하거나, 두 공간의 연계를 고려하더라도 지상과 지하공간의 침수 해석을 모두 수행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해석에서 지상과 지하공간을 간단한 연계를 위한 2가지 방법 (경계조건형과 폰드형)을 제안하고, 지하공간이 도시침수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2010년 9월 21일 발생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큰 침수피해가 발생한 효자배수분구의 광화문 일대에 적용하기 위해, 1차원 SWMM으로 계산된 맨홀의 월류량으로 2차원 도시침수모형에 경계조건으로 이용하였으며, 지하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한 경우(경계형, 폰드형)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 실측된 홍수범람범위와 침수심을 실측치와 비교하여 계산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 PDF

Study on the Performer's Transference and Mental Borderline in a Performance (공연에서 나타나는 '전이'와 배우의 '심리적 경계'에 관한 연구)

  • Kim, Jong-Gu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25
    • /
    • pp.57-89
    • /
    • 2012
  • The performers preparing for a performance usually experience the process of mental transference, contacting with text (drama) for the first time. It is movement from their everyday life to space in the play, when they try to break the wall between cast and themselves. The transference happens actually at the physical space, such as a dressing room, wing, (place just before appearing at a stage), and a stage (place to contact with audience). Performers keep moving among each psychological and physical space repeatedly, until the performance finishes totally. The transference means moving to each space to another, and the mental borderline means the point of mental change the performers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transference. The mental borderline can be guessed to exist through mental aspects the performers feel when they move from each space to another. The most typical example, that shows performer's mental borderline well, is stage fright shown as tension, or anxiety among the variety of aspects. According to a research, the most performers experience that kind of mental aspect just before appearing at a stage. The study on it is already referred by my article.' A Study on Korean Performer's Stage Frigh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space the performers experience, mental borderline when transferring and penetrating those spaces, and performer's mental change First, the concept of mental borderline is to be understood totally with preceded research. And the space the performers experience and mental borderline at transference are to be reorganized. Secondly, the area of transference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is to be reclassified into physical and mental space. Third, analyzing the actual case of performers experiencing the mental borderline, the diversified use should be searched to make use of mental borderline as a positive element. The psychological symptoms, performers experience in the performance, can have positive consequence beside negative one. The tension occurring at the area of borderline is positive, and it can be the actual borderline for the performers. It will be researched how the performers change at the mental borderline, the state of mind is maintained, and they perform in an overall performance, through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erence and the mental borderline. And the stress and concentration caused by stage fright, and shyness will be confirmed, and the positive element of a stage, which is used as various defense mechanism.

Accuracy Assessment of Building Registration on the Cadastral maps Using Architectural Drawings (건축도면을 활용한 지적도의 건물 등록 정확도 평가)

  • Park, Ki-Heon;Um, Joung-Sub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33-239
    • /
    • 2007
  • 현행 지적도에는 건물 위치가 표시되지 않아 지적도 활용 시 건물 위치 식별이 어렵고, 지적현황측량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소요와 불편을 격고 있으며, 지상 건물의 경계 침범으로 인한 분쟁과 소송이 일어나고 있다. 건축물 경계 추출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수치정사사진과 LiDAR를 이용한 건물 경계를 추출은 원칙적으로 지적측량의 원리와 상이한 기준으로 실제 지상의 외벽 경계선이 아닌 건축물의 옥상층 경계선을 추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등록을 위해 시도해 보지 않았던 건축도면을 이용하여, 기존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한 지붕선이나 처마선이 아닌 실제 지적측량에서 기준이 되는 외벽의 경계선을 등록하기 위해 건축도면을 활용하였으며, 등록하는 과정에서 ArcGIS 엔진을 이용하여 개발한 자동 등록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적도 필지 경계선과 건축도면의 필지 경계선을 기준으로 등록한 결과 지적현황측량 성과와 수치지역에서 연결오차로 RMSE가 0.10m, 도해지역에서 0.16m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축도면을 이용하여 지적도에 건축물의 경계를 등록함으로써 지상측량을 보완할 수 있으며, 3차원 지적구축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지적재조사사업에서 시간과 경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