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함 탐지

Search Result 2,54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Finite Element Simulation of Elastic Waves for Detecting Damages in Underwater Steel Plates (수중 강판에 존재하는 결함탐지를 위한 탄성파 유한요소 시뮬레이션)

  • Woo, Jin-Ho;Na, Won-B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23-626
    • /
    • 2011
  • 본 연구는 수중 강판에 존재하는 결함탐지를 위한 탄성파 유한요소 시뮬레이션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강판은 외부의 물로 인하여 결함의 탐지가 어렵다. 이러한 수중 강판의 결함탐지에는 잠수부가 수중 강판 표면에 비파괴 검사 장비를 활용하여 결함을 탐지하는 경우가 많으며 잠수부의 경험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강판의 표면이 아닌 수중에서 탄성파를 발생시켰을 경우 수중 강판의 결함탐지 유한요소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손상의 위치와 손상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응답을 알아보았다. 강판의 상하부에 기계적인 손상이 발생한 경우를 손상 시나리오로 가정하고 해석을 수행하였다. 손상이 없는 경우의 응답을 기준으로 강판의 상부와 하부에 기계적인 손상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응답을 비교하였다. 동적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NSYS/LS-DYNA를 사용하여 결함탐지 해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손상의 종류에 따라 응답신호의 진폭 감소가 나타났으며 손상의 크기가 커질수록 진폭 감소가 커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Vegetation Change Detection using Change Vector Analysis (CVA 변화탐지 기법을 이용한 식생 변화 탐지)

  • 김혜진;김선수;김용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95-300
    • /
    • 2004
  • 변화탐지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화소차 혹은 화소비 변화탐지 기법은 단밴드의 영상을 사용하므로 다중분광 자료를 활용하기 어렵고 변화지역의 유형을 추출하는데 적절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후분류 변화탐지 기법은 다중분팡 영상의 활용이 가능하고 변화지역의 변화 유형을 파악할 수 있지만 변화탐지 성과가 분류 결과의 정확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반해 CVA(Change Vector Analysis) 변화탐지는 여러 밴드의 다중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변화지역을 탐지할 뿐 아니라 피복 변화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기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본적인 CVA 변화탐지는 일반적으로 다중분광 영상의 red 밴드와 infrared 밴드의 영상을 조합하여 변화탐지를 수행하여 식생 및 인공물의 변화를 탐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red/NIR 밴드간의 조합 외에 식생의 특성을 계수로 변환하는 PDA(Pattern Decomposition Analysis) 변환 및 Tasseled Cap 변환 결과를 이용한 CVA 변화탐지를 수행하고 각 결과의 정확도를 비교하여 보다 효율적인 식생 변화탐지 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An Integrating Detection Method among Multi-sensors using Fuzzy Control (퍼지제어를 이용한 다중 탐지센서의 통합탐지 방법)

  • 김상찬;김용민;김민수;노봉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532-534
    • /
    • 2002
  • 호스트나 네트워크에 여러 개의 탐지 센서가 설치된 경우, 각 탐지센서들은 고유의 탐지영 역과 타 센서들과의 중첩되는 탐지영역에 대한 각각의 탐지정도를 결합하여 각 센서의 최종 결과값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경우 여러 센서들이 동일한 판정의 결과를 제시하지 않고 판정이 모호한 결과를 갖는 경우 각 탐지센서 판정결과의 조율은 불가피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중 탐지센서들의 모호한 판정 간들에 대해서 퍼지제어를 이용한 통합된 형태의 탐지 판정간을 추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Condition Monitoring and Fault Diagnosis System of Rotating Machinery (회전기기의 상태감시 및 결함탐지 시스템)

  • Jeong, Sung-Hak;Lee, You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819-820
    • /
    • 2016
  •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is consists of high voltage, low voltage and motor control center(MCC). Motor control centers involves turning the motor on and off, it is configured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to detect a motor overcurrent flows. Existing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detects electrical fault such as overcurrent, undercurrent, phase sequence, negative sequence current, current unbalance and earth fault.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ct mechanical fault such as locked rotor, motor stator and rotor and bearing fault.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dition monitoring and fault diagnosis system for electrical and mechanical fault detection of rotating machinery.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with signal input and control part, system interface part and data acquisition board for condition monitoring and fault diagnosis, it was possible to detect electrical fault and mechanical fault through measurement and control of insulation resistance, locked rotor, MC counter and bearing temperature.

  • PDF

Developing the Prototype of Security-Hole Scanning Server on Demand (Security On Demand) (주문형 보안 결함 탐지 서버 (Security On Demand) 프로토타입 개발)

  • 천왕성;정종윤;백석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51-160
    • /
    • 1997
  • 최근에 시스템의 불법적인 침입, 정보 유출 등의 보안 사고가 많아지면서 컴퓨터 보안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컴퓨터 시스템 자체에 존재하는 보안상의 결함을 막기 위한 노력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시스템의 보안 결함은 기본적으로 운영체제나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버그에 기인하므로 끊임없이 출현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가 이를 일일이 확인하여 보안 결함을 체크하고 대응하는 것은 상당히 힘든 일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보안 결함을 원격으로 점검해 주는 주문형 보안 결함 탐지 서버(Security On Demand)에 대해 설명한다. 주문형 보안 결함 탐지 서버(이하 SOD 서버)는 서버-클라이언트 모델로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면 보안 결함을 탐지하는 코드를 전송하여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SOD서버 측에만 새로이 출현한 보안 결함 탐지코드를 추가하면 클라이언트는 최신의 보안 결함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다. 또한 코드 자체가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수행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측의 보안 결함 정보가 서버로 유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 PDF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Crack Detection Techniques Using Object Detection (객체 탐지를 이용한 건축 문화재 크랙 탐지 기법)

  • Kim, Inki;Lim, Hyunseok;Kim, Beom-Jun;Gwak,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49-65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노후화된 목조·석조 건축물의 균열을 탐지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본 기법의 목적은 석조·목조 문화재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관리 소홀, 균열(벌레, 날씨, 기온 등), 배부름 현상에 의한 문화재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기존에 존재하는 목조·석조 건축물의 균열, 노후, 배부름 등 다양한 결함과 변형의 탐지 방법은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탐지를 해왔지만, 문화재 자체의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문화재를 추가로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제시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재 비 접촉형 탐지 기법을 사용한다. CCTV 및 DSLR과 같은 관측장비로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문화재의 결함과 변형을 AI 영상분석 기반 방법으로 판단하는 문제를 제안한다.

  • PDF

침입탐지율 향상을 위한 네트웍 서비스별 클러스터링(clustering)

  • 류희재;예홍진
    • Review of KIISC
    • /
    • v.13 no.1
    • /
    • pp.68-76
    • /
    • 2003
  • 네트웍 기반의 컴퓨터 보안이 컴퓨터 보안분야의 중요한 문제점으로 인식이 된 이래 네트웍 기반의 침입탐지 방법 중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이용한 비정상 탐지기법(Anomaly detection)을 사용하는 시도들이 있었다. 네트웍 데이터 같은 대량의 데이터의 처리에 클러스터링을 통한 방법이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음이 다수의 논문에서 제기되어왔으나 이 모델에서의 클러스터링 방법은 네트웍 정보로부터 추출한 정보들을 정상적인 클러스터들과 그렇지 않은 클러스터들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누는 방법을 택했었는데 침입탐지율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모델에서는 이를 좀 더 세분화하여 네트웍 서비스(Network service)별로 정상적인 클러스터들과 그렇지 않은 클러스터들을 가지게되는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 모델에서의 침입탐지율 결과의 개선을 도모해 보고자한다.

Real-Time Detection of Large Objects using Image Pyramid (이미지 피라미드를 이용한 큰 객체 실시간 탐지)

  • Joo, Gwonil;Son, Seungwook;Ahn, Hanse;Chung, Yongwha;Park, Dai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709-712
    • /
    • 2020
  • 영상 처리 응용을 위해 개발된 대부분의 CNN 기반 객체 탐지 기법은 mAP 를 올리기 위해 작은 객체 탐지에 더 주력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피라미드를 통한 서로 다른 해상도의 탐지 결과를 앙상블을 하여 작은 객체의 탐지 성능은 유지하면서 큰 객체의 탐지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기존 NMS 방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NMS 방식인 G-NMS 를 제안한다. COCO 데이터로 실험 결과 서로 다른 해상도의 탐지 결과 앙상블을 통하여 30fps 이상의 실시간 탐지를 만족하면서 큰 객체에 대한 AP 가 0.5~1.5% 상승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G-NMS 방식 적용시 큰 객체에 대한 AR 이 2.6~3.8% 상승되었으며, 작은 객체를 포함한 전체 mAP 가 0.7~0.9% 상승되었음을 확인하였다.

Learning Method for minimize false positive in IDS (침입탐지시스템에서 긍정적 결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학습 방법)

  • 정종근;김철원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5
    • /
    • pp.978-985
    • /
    • 2003
  • The implementation of abnormal behavior detection IDS is more difficult than the implementation of misuse behavior detection IDS because usage patterns are various. Therefore, most of commercial IDS is misuse behavior detection IDS. However, misuse behavior detection IDS cannot detect system intrusion in case of modified intrusion patterns occurs. In this paper, we apply data mining so as to detect intrusion with only audit data related in intrusion among many audit data. The agent in the distributed IDS can collect log data as well as monitoring target system. False positive should be minimized in order to make detection accuracy high, that is, core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So We apply data mining algorithm for prediction of modified intrusion pattern in the level of audit data learning.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detecting sub-pixel scale forest fires using MODIS data (MODIS영상을 이용한 소규모 산불 탐지 기법 개발)

  • Kim, Sun-Hwa;Lee, Kyu-S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87-92
    • /
    • 2009
  • 현재 미국 NASA에서는 전 지구에서 일별 발생하는 산불 탐지 영상(MOD14 product)을 제작, 배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MOD14 영상은 MODIS 자체의 낮은 공간해상도로 인하여 우리나라와 같이 소규모 산불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산불 탐지 정확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MODIS 산불 지도에서 탐지되지 못한 소규모 산불을 대상으로 혼합화소분석기법(spectral mixed analysis)을 적용한 새로운 산불 탐지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산불 탐지 알고리즘은 진행산불 탐지 알고리즘과 연소지 탐지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소규모 산불이 170건 이상 발생한 2004년과 2005년 4월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1ha 규모의 연소지 탐지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연구 결과 소규모 진행산불과 연소지에 대해 70%이상의 탐지율을 확보하였으며, 40% 이하의 오탐지율(false alarm ratio)을 산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