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정 소성학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2초

탄도충격으로 파괴된 다결정 Alumina의 파면조직 (Fractographic Studies in Ballistically Damaged Polycrystalline Alumina)

  • 김종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7-134
    • /
    • 1978
  • 탄도충격에 의하여 파괴된 단결정 alumina의 파면조직을 광학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파면의 주된 파괴 양상은 결정 입개면의 분리 또는 결정입내 파괴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파괴과정은 복잡한 cleavage 양상과 결정입자 내에서의 소성변형을 수반하고 있다. 미세조직 관찰 결과에 의하면 alumina ceramics의 충격 파괴과정에서 에너지의 흡수가 국부적인 소성변형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자기용 아연 결정유의 재결정화 연구 (The study of recrystallization of willemite crystal in ceramic glaze)

  • 이현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36-142
    • /
    • 2020
  • 아연결정유약은 결정생성의 요건을 맞추기 위해서는 조핵제의 생성 - 조핵제의 양 조절 - 결정의 성장 등의 까다로운 소성과정을 거쳐야 한다. 소성온도 폭이 좁고 아연의 상태에 따라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등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아연결정생성을 촉진시켜 이를 Frit화하여 폭넓은 소성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재결정화도록 하여 상용유약으로 유약을 개발할 수 있다.

결정 소성학을 이용한 반구 박판 성형공정 전산모사 (Computer Simulation of Hemispherical Sheet Forming Process Using Crystal Plasticity)

  • 심정길;금영탁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2-284
    • /
    • 2007
  • The hardening and the constitutive equation based on the crystal plasticity are introduced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of hemispherical sheet metal forming. For calculating the deformation and the stress of the crystal, Taylor's model of the crystalline aggregate is employed. The hardening is evaluated by using the Taylor factor, the critical resolved shear stress of the slip system, and the sum of the crystallographic shears. During the hemispherical forming process, the texture of the sheet metal is evolved by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crystal. By observing the texture evolution of the BCC sheet, the texture evolution of the sheet is traced during the forming process. Deformation texture of the BCC sheet is represented by using the pole figure. The comparison of the strain distribution and punch force in the hemispherical forming process between crystal plasticity and experiment shows the verification of the crystal-based formulation and the accuracy of the hardening and constitutive equation obtained from the crystal plasticity.

  • PDF

마이크로파 소결에 의한 CaO-$ZrO_2$-$SiO_2$계 결정화 유리의 미세구조 (Microstructural Development During Microwave Sintering of CaO-$ZrO_2$-$SiO_2$Glass)

  • 소지영;김형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178-1186
    • /
    • 2000
  • 타일의 내마모성과 내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정화유리가 최근에 새로운 유약 재료로서 소개되고 있다. 신 유약의 연구에 사용된 조성은 $Ca_2$ZrSi$_4$O$_{12}$ 상에 근접하는 CaO-ZrO$_2$-SiO$_2$계의 유리조성의 분말로, 마이크로파 가열 (2.45 GHz)에 의해서 900-120$0^{\circ}C$의 0-20분간 소성되어 평가되었다. 그 결과, 100$0^{\circ}C$ 이상에서 소성한 시편은 내부 결정화를 나타내었으며, 결정상은 미세(5$mu extrm{m}$)한 크기를 갖는 $Ca_2$ZrSi$_4$O$_{12}$가 주 결정상이며, $Ca_2$ZrSi$_4$O$_{12}$, CaSiO$_3$, SiO$_2$의 세 상이 나타났다. 소결체의 미세구조는 사용한 유리분말의 입도의 영향을 받았다. 미세분말 (<38$\mu\textrm{m}$)을 이용한 소결체의 조직이 조세분말 (45-150$\mu\textrm{m}$)의 경우보다 수축율면에서 높았으며 낮은 기공도를 갖는 미세구조를 가졌다. 마이크로파에 의한 유리분말의 소성은 1000-120$0^{\circ}C$ 구간에서 10분 이내 결정화가 완료되는 급속 가열 공정이었으며 CaO-ZrO$_2$-SiO$_2$계 결정화 유리 제조에 균일한 체적가열을 할 수 있었다.

  • PDF

집합조직의 발전을 반영하는 다결정재의 정상상태성형공정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for Steady State Forming Process of Polycrystalline Metal Including Texture Development)

  • 김응주;이용신
    • 소성∙가공
    • /
    • 제5권4호
    • /
    • pp.297-304
    • /
    • 1996
  • A process model is formulated considering the effect of crystallographic texture developed in forming process. The deformation induced plastic anisotropy can be predicted by capturing the evolution of texture during large deformation in the polycrystalline aggregate. The anisotropic stiffness matrix for the aggregate is derived and implemented in Eulerian finite element code using a Consistent Penalty method. As an application the evolution of texture in rolling drawing and extrusion processes are simulated. The numerical results show good agreements with report-ed experimental textures.

  • PDF

도자기용 아연결정 유약의 결정 제어를 위한 연구 (A study on crystalline control of zinc crystal glaze for ceramics)

  • 이현수;이지연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34-243
    • /
    • 2023
  • 유약원료 내의 ZnO와 SiO2의 조성과 소성요건에 따라 생성되어 표면으로 석출된 아연결정은 매우 장식성이 높아 선호된다. 하지만 아연결정유약은 대부분 소성온도가 높고 소성온도 폭이 좁아 상용유약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연결정유약 제조 시 사용하는 주원료인 frit를 혼용하여 공융효과를 이용하면 일반적인 아연결정유약의 소성온도를 1270℃보다 아연결정의 유약 생성온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 결과 Frit 혼용 유약에서는 아연결정의 생성온도가 낮아질 뿐 아니라 1230~1270℃로 소성온도 폭이 넓어져 안정적으로 결정이 생성되는 유약을 개발할 수 있었다. 소성 최고온도를 1230~1250℃로 낮추고 냉각 시 유지온도를 약 950℃까지 낮출 수 있었으며, 경제적으로 효과적인 유약을 개발할 수 있었다. Frit 혼용으로, 유약의 조성에 따라 냉각 시 유지온도는 아연결정의 재결정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결정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핵제의 활용으로 결정 생성 량과 형태의 제어가 가능하다.

생석회 제조 공정에서의 풍촌층 고품위 석회석의 소성 특성 (Calcination Characteristics of High-purity Limestone from the Pungchon Limestone in the Quicklime Manufacture)

  • 노진환;이현철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9-224
    • /
    • 2008
  • 풍촌층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유형의 고품위 석회석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하소 특성을 규제하는 원광의 응용광물학적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원광의 특징과 동일한 소성 조건 하에서 제조된 생석회의 응용광물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 및 계측하였고 그 결과를 원광의 광물 특성과 연계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석회석의 가열처리 단계에서 생석회로의 전이 과정은 입자의 경계부나 방해석 결정 내의 벽개 및 쌍정면 등과 같은 물성적 취약대에서 선택적으로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원암의 모든 조직적 사항이 그대로 잔존된다. 또한 소성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생석회 결정들의 결정 입도와 결정형의 발달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풍촌층 고품위 석회석의 소성 특성에 영향을 주는 주된 규제 요인으로서 결정 입도, 벽개 및 쌍정의 발달 정도 및 조직적 사항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원암의 낮은 결정 입도와 치밀한 입간 조직 양상은 모든 소성특성에 있어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벽개 및 쌍정면의 발달은 가열 과정 중 균열대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생석회 공정에 있어서 부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생석회 용도로 사용되는 석회석으로는 가급적 낮은 결정 입도와 대리암의 조직을 보이는 광석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여겨진다.

(100) 실리콘 웨이퍼에 대한 열탄성모사 (A thermoelastic simulation on the (100) Si-wafer)

  • Doo Jin Choi;Hyun Jung Woo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75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100) 배향된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의 열탄성응력지수, 열응력과 임계소성변형 온도와의 관계를 모사하였다. 열탄성웅력지수는 <110> 방향에서 최대값을, <100> 방향에서 최소값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열탄성응력지수로 부터 유도된 열응력과 임계 소성변형 온도의 모사로 부터, 실리콘 웨이퍼가 1000K 이상에서 소성변형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EMAT를 이용한 판재의 소성이방성 평가 (Evaluation of Plastic Anisotropy in the Steel Sheets Using EMAT)

  • 안봉영;김영길;이승석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0-277
    • /
    • 1997
  • 소성이방성은 판재의 가공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써 주로 기계적인 인장시험에 의해 측정되고 평가되어 왔다. 압연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인 방향으로 진행하는 초음파의 속도로부터 집합조직의 결정분포함수를 구할 수 있으며, 결정분포함수의 계수인 결정방위계수는 소성이방성의 평균값들과 상관 관계를 갖는다. 본 실험에서는 초음파 속도로 구한 결정방위계수와 압연강판의 소성이방성을 비교하여 서로의 상관 관계를 구하였으며, 측정결과 average normal anisotropy, $\bar{\gamma}$${\pm}0.082$, average planar anisotropy, ${\Delta}r$${\pm}0.096$의 편차 내에서 예측 가능하였다. 초음파 속도 측정에는 공진주파수측정법이 적용되었고, 초음파의 송수신에는 EMAT가 이용되었다.

  • PDF

시멘트 원료로서 국내산 석탄재와 일본산 석탄재의 소성성 비교 연구 (The study on the burnability of domestic fly ash and Japanese fly ash as a cement raw material)

  • 이윤철;이세용;민경소;이석제;박태균;유동우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10-215
    • /
    • 2023
  • 조합 원료의 소성성은 시멘트 제조 기술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각 원료들의 물리적, 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석탄재와 일본산 석탄재를 시멘트 원료로 사용했을 경우, Lafarge 평가 방법과 Polysius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소성성을 비교하였다. 석탄재의 종류와 투입량에 관계없이 석탄재를 사용하였을 경우가 석탄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소성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종류의 석탄재에서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소성성이 향상되었으나, 3 %까지 소성성의 향상이 뚜렷하였고 4 % 첨가 시에는 향상 폭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시멘트의 품질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석탄재의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소성성이 향상되며, 따라서 클링커의 소성에 필요한 연료비의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