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정질

Search Result 2,15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Retracted]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Quality of Life by the Intellectual Disability Person- Focusing on the effect of controlling family functions - ([논문표절]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Choi, Jang 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448-465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on the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effect of controlling family functions, with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was designated as an intellectual disabled person at the early age of 18 to 25 who were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t was selected as a disabled person living in the community, and it selected major welfare institutions that were most frequently used b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arly age of 20 years, considering the difficulties of conducting th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determination, psychological capacity, and self-realizat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ere found to affect the quality of life (physical well-being, physical well-being, social well-being, productive activities and developmen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Second,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self-reliance, psychological capacity, self-realization)" did not occur in accordance with the "population statistical. Third, differences occurred in the "quality of life (physical well-being, physical well-being, social well-being, productive activities and developmen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resulted in the adjustment effect of family func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service practice that should be provided to people with early adult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practice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famil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es.

Changes in surface content and crystal structure after fluoride gel or hydroxyapatite paste application on stripped enamel (치간 삭제 후 불소 및 수산화인회석 도포 시 법랑질 표면의 함량 및 결정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Sang-Cheol;Hong, Hyun-Sil;Hwang, Young-Cheo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8 no.6
    • /
    • pp.407-415
    • /
    • 200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mineralization of interdentally stripped teeth after fluoride gel or hydroxyapatite paste application. Methods: After interdental stripping, 1.23% fluoride gel or 10% hydroxyapatite paste was applied three times a day, with a duration of four minutes, for a week.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were used to compare the change of surface contents and crystal structur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fluoride gel or hydroxyapatite paste. Results: EDS analysis indicated that calcium contents were increased after 10% HAp paste application on stripped enamel (p < 0.01). SEM view showed that enamel surfaces in groups of 1.23% APF gel or 10% HAp paste application were smoot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which was regarded as filling of the pore structure. And pores between crystal structures in groups treated with 1.23%, APF gel or 10% HAp paste were small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Conclusions: Application of APF or HAp on stripped enamel could positively influence on the surface contents or crystal structure.

Study of contact property of front grid in screen printed silicon solar cell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면전극 접촉 특성 연구)

  • Kim, Seongtak;Park, Sungeun;Kim, Young Do;Song, Jooyong;Park, Hyo Min;Kim, Hyunho;Tark, Sung Ju;Kim, D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42.1-42.1
    • /
    • 2010
  •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면 전극은 전극 면적으로 인한 손실(shading loss)를 줄이고 단락전류밀도(Jsc)를 높이기 위해 전극 너비를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전극 소성(firing) 시 전면 전극의 핑거(finger)와 버스바(busbar)의 너비 차이로 인해 전극 침투(fire-through)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극 소성 공정 시 전면 전극의 너비에 따른 전극 침투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접촉 저항(specific contact resistance)과 재결정화(Ag recrystallite) 된 전면전극의 분포에 대해 비교하였다. 접촉 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transfer length method(TLM)를 이용하였다. 또한 전면 전극층을 제거한 후 실리콘 기판의 재결정 분포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PDF

The Method of improving efficiency of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with the thin wafer (Thin wafer를 이용한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개선 방안)

  • Son, Hyukjoo;Park, Yonghwan;Kim, Deoky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50.1-50.1
    • /
    • 2010
  •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원가에서 Wafer는 60~70%의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많은 연구들이 원가 절감을 위하여 Wafer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Wafer 두께의 감소는 태양전지의 효율 감소와 공정 진행 중에 파손율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결정질 태양전지 구조 중에서 24.7% 이상의 최고 변환 효율을 갖는 PERL(Passivated Emitter, Rear Locally diffuse) 구조를 대상으로 wafer 두께 감소에 따른 변환 효율 감소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imulation으로 확인한 결과 370 um 두께의 wafer에서 24.2 %의 효율은 50 um 두께의 wafer에서는 20.8 %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얇아진 wafer에서 감소한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후면 recombination velocity, 후면 fixed charge density, 후면 산화막 두께 등을 다양화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cell의 효율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후면 recombination velocity, 후면 fixed charge density, 후면 산화막 두께를 최적화 하여, 각각 2.8 %p, 1.5 %p, 2.8 %p의 효율 개선 효과를 얻었다. 위 세 가지 효과를 동시에 적용하면 50 um wafer에서 370 um wafer 효율의 결과와 근접한 24.2 %의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향후에는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계획이다.

  • PDF

Study on the hydraulic properties of crystalline rock using Multi-Packer system (다중패커시스템을 활용한 결정질 암반의 수리 특성연구)

  • Lee, Jin-Yong;Kim, Kyung-Soo;Park, Kyung-Woo;Ryu, Si-Won;Han, Wo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24-1928
    • /
    • 2009
  • 다중패커시스템은 격리된 어느 특정 구간의 지하수를 채수할 수 있으며 그 구간의 온도, 압력 등의 자료를 연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어 이를 통해 각 구간별 수리전도도를 구할 수 있다. 심도별 수직적 지하수두는 지상에서 연결 롯드를 통해 압력 측정 센서를 해당 심도까지 내려 롯드에서 설치된 압력 측정용 장비에서 관측할 수 있으며, 다중패커시스템을 이용한 수리시험으로는 양수시험, 순간충격시험, 간섭시험 등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순간충격시험을 이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도출된 구간별 수리전도도를 다중패커시스템을 설치하기 전 나공에서 이중 패커를 이용한 정압주입시험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다중패커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심도별 지하수두는 정수두 (hydro-static)상태의 일정한 경향성이 없이, 각 심도에 존재하는 투수성 구조에 영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수의 관측공을 통해 수평 방향의 수리경사를 산출함에 있어 관측공의 심도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다중패커시스템을 이용한 수리시험 결과를 나공 상태에서 이중 패커를 이용한 정압주입시험 결과에 대해 심도별 도출되는 수리전도도가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투수성 구조에 영향으로 인해 투수량계수 (transmissivity)로 환산한 유효 투수계수로 비교하여 결정질 암반의 수리 특성으로 제안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property of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for variable annealing temperature of SOD (SOD 온도 가변을 이용한 결정질 태양전지 특성 연구)

  • Song, Kyuwan;Jang, Juyeon;Yi, Juns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24.1-124.1
    • /
    • 2011
  • 결정질 태양전지에서 도핑(Doping)은 반도체(Semiconductor)의 PN 접합(Junction)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핑은 반도체에 불순물(Dopant)을 주입하는 공정으로 고온에서 진행되며 온도는 중요한 변수(Parameter)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도핑 방법 중 SOD(Spin-On Dopant)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도핑 결과와 특성을 분석 하였다. P-type 웨이퍼(Wafer)에 SOD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증착 후 Hot-plate에서 15분간 Baking 하였다. Baking된 웨이퍼는 노(Furnace)에 넣고 $860^{\circ}C{\sim}880^{\circ}C$까지 $10^{\circ}C$씩 가변하였다. 각각의 조건에 대해 Lifetime과 Sheet Resistance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880^{\circ}C$에서의 Lifetime이 $23.58{\mu}s$$860^{\circ}C$에 비해 235.8% 증가하여 가장 우수 하였으며, Sheet Resistance 또한 $68{\Omega}$/sq로 $860^{\circ}C$에서 가장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SOD의 속도 가변에 따른 특성 변화를 보기 위해 온도는 $880^{\circ}C$에 고정한 후 속도를 3000rpm~4500rpm까지 500rpm간격으로 1시간동안 실험한 결과 rpm 속도에 따른 lifetime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Sheet Resistance는 3000rpm에서 $63{\Omega}$/sq로 가장 우수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도와 Spin rpm에 따른 특성을 확인한 결과 온도가 높을 때 Sheet Resistance가 가장 안정화 되며, lifetime이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amorphous-to-crystalline phase transformation in the Al-added $Ge_2Sb_2Te_5$ films (Al을 첨가한 $Ge_2Sb_2Te_5$ 박막의 비정질-결정질 상변화 특성)

  • Seo, Jae-Hee;Song, Ki-Ho;Lee, Hy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305-30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PRAM 에서 기록매질로 이용될 수 있는 최적의 물질을 찾고자 $Ge_2Sb_2Te_5$ 박막에 Al을 첨가하여 비정질-결정질 천이시의 원자구조와 상변화 특성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된 $Al_x(Ge_2Sb_2Te_5)_{1-x}$ 조성은 5N의 금속 파우더를 용융-냉각법으로 벌크를 제작하였고 열증착 방법으로 Si (100) 및 유리 (corning glass, 7059) 기판위에 200nm 두께로 박막을 증착하였다. 비정질 박막의 상변화에 따른 반사도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658 nm의 LD가 장착된 나노펄스 스캐너를 이용하여 power; 1~17mW, pulse duration; 10~460 ns의 범위에서 각 조성의 비정질-결정질 상변화속도를 측정,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박막을 $100^{\circ}C$ 에서 $400^{\circ}C$ 까지 $50^{\circ}C$ 간격으로 $N_2$ 분위기에서 1시간동안 열처리 한 후 XRD와 UV-Vis-NIR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각 상의 구조분석 및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4-point probe로 면저항을 측정하였다.

  • PDF

A study of etch-back structure for high efficiency in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결정질 태양전지의 고효율화를 위한 선택적 도핑 중 에치-백 구조에 관한 연구)

  • Jung, Woo-Won;Yang, Du-Hwan;Lee, Yong-U;Gong, Dae-Yeong;Kim, Seon-Yong;Yi, Jun-S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347-347
    • /
    • 2009
  • 결정질 태양전지의 공정에 있어서 호모지니어스(homogeneous)한 구조보다 향상된 변환효율을 얻기 위해 선택적 도핑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선택적 도핑 방법이란 에미터(emitter) 층을 $n^{++}$ 영역과 $n^+$ 영역으로 나누어 향상된 전류밀도와 개방전압을 얻기 위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RIE 에치-백 구조는 다수의 선택적 도핑 방법 중 하나이다. 기존의 에치-백 구조는 전면 전극 형성 후 RIE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면 전극이 손상되고 RIE 데미지(damage)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구조는 기존의 에치-백 구조와 달리 RIE 에칭 후 발생된 데미지를 제거하는 추가적인 공정인 질산 패시베이션(nitric acid passivation)이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시된 블라킹 마스크 페이스트(blocking mask paste)는 기존의 에치-백 구조에서 발생된 전극 손상 문제를 해결해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호모지니어스 구조보다 향상된 전류밀도 (35.77 mA/$cm^2$), 개방전압 (625 mV), FF (78.01%), 변환효율 (17.43%)를 얻었다.

  • PDF

Hybridization of solar cell and thermoelectric device and its characteristics (태양전지-열전통소자의 제조 및 그 특성)

  • Kim, Sung-Jin;Park, Sung-Bum;Jin, Mi-Jin;Cho, Soo-Jeong;Choi, Soon-Hee;Choi, Byung-Ho;Jeong, Soon-Wo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391-391
    • /
    • 2009
  •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통합화에는 최근 열전소자와의 통합화를 통한 연구가 진행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 경우 주로 태양전지와 열전소자의 박막화를 이용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경우 모듈화를 위해서는 in-line system을 이용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며, 솔라셀과 열전소자를 Tandem 구조에 적용할 경우 미국의 연구소 및 대학의 simulation에 의하면 에너지변화효율을 65%까지 올릴 수 있다는 보고가 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새로운 시설 및 기술의 확보에 큰 자본을 투입해야하는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의 silicon 결정질 solar cell 원료의 가격이 1년전에 비해 1/4로 급격하게 떨어진다는 점에서 박막화에 대한 투자는 일부나라에서 정체의 수준까지 다다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0X40X3mm 크기의 열전소자를 결정질 silicon 솔라셀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통합화를 시도하였으며, 모듈화에는 EVA film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이용한 batch 법으로 모듈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통합된 솔라셀-열전 모듈의 에너지변환효율은 동일한 크기의 솔라셀을 사용하여 제작한 모듈에 비해서 $60^{\circ}C$에서 공냉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약 8% 개선효과가 있었으며, 보다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기위해 열전소자쪽에 냉각수나 냉각판을 설치하는 시도가 요구된다.

  • PDF

RIE/WET Texturing 구조의 결정질 태양전지의 입사각에 따른 양자효율

  • Seo, Il-Won;Son, Chan-Hui;Kim, Dong-Hae;Yun, Myeong-Su;No, Jun-Hyeong;Gang, Jeong-Uk;Jo, Gwang-Seop;Gwon, Gi-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99-599
    • /
    • 2012
  •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의 입사각과 셀 단면이 이루는각도에 따라 출력특성이 변화된다. 따라서 태양의 위치에 따른 출력특성이 바뀌며 이에 의해 발전가능 시간이 변화된다. 더욱이 건재 일체형(BIPV)의 경우 설치 방향을 조절 할 수 없으므로 입사각에 따른 출력특성이 더욱 중요하다. 이와 따라 결정질 태양전지의 입사각에 따른 광학 특성 변화는 태양전지 표면에 형성되는 Texture의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습식 texturing 방법으로는 화학적인 반응을 이용한 WET 공정, 그리고 건식 texturing 방법으로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reactive ion etching (RIE) 공정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RIE, WET 공정을 사용하여 만든 texturing 구조의 결정질 태양전지를 SEM 장비를 이용하여 표면의 형상을 분석하고, 광 입사각에 따른 양자효율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