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정입크기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teraction Technique in Smoke Simulations using Mouth-Wind on Mobile Devices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입 바람을 이용한 연기 시뮬레이션의 상호작용 방법)

  • Kim, Jo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4 no.4
    • /
    • pp.21-27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interaction method using user's mouth wind in mobile device. In mobile and virtual reality, user interaction technology is important, but various user interface methods is still lacking. Most of the interaction technologies are hand touch screen touch or motion recogni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nterface technology that can interact with real time using user's mouth wind. The direction of the wind is determined by using the angle and the posi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obile device, and the size of the wind is calculated by using the magnitude of user's mouth wind.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we show the result of visualizing the flow of the vector field in real time by integrating the mouth-wind interface into the Navier-Stokes equations. We show the results of the paper on mobile devices, but can be applied in the Agumented reality(AR) and Virtual reality(VR) fields requiring interface technology.

Spferical fine ZnO Particles prepared from zinc nitrate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technique (초음파 분무 열분해법에 의해 질산아연용액으로부터 구형의 ZnO 미분말 제조)

  • 이서영;김영도;신건철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1 no.2
    • /
    • pp.46-58
    • /
    • 1991
  • The synthesized ZnO powder wa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method using ultrasonic vibrator. The starting solutons were the aqueous solution of $Zn(NO_3)_2\cdot6H_2O$. The concentration was prepared 1M, O.5M, O.25M, and O.lM. The Nz carrier gas was 2.3cm$\cdot{sec}^{-1}$. The prepared powder from the $Zn(NO_3)_2{\cdot}6H_2O$ aqueous solution was Zine oxide with hexagonal structure. The shape of prepared powder was fine size, narrow size distribution, agglomerate-free, nearly sphere particle. Also, the particle size was about $ 0.28-0.61\mum$.

  • PDF

에탄올을 첨가한 reflux법 나노 세리아 합성

  • Jo, Min-Yeong;Lee, Jae-Won;Park, Seon-Min;Choe, Heo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162-162
    • /
    • 2008
  • 세리아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의 전해질 재료와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슬러리 재료, 자동차의 3원 촉매, gas sensor, UV absorbent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리아의 입자의 크기와 형상을 조절하여 성능 및 물성을 향상시켜 보다 넓은 분야의 활용을 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리아 합성에 사용되는 전구체인 cerium carbonate의 특성이 세리아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구체의 합성 단계에서 형상과 크기를 조절하고자 하였다. 세륨염으로 cerium nitrate hexahydrate, 균일침전반응을 할 수 있는 urea를 침전제로 사용하였다. 반응 용매의 유전상수를 조절하고 반응의 과포화도 변화를 이용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첨가하여 입자의 크기 및 형상을 조절, cubic형태의 $Ce_2O(CO_3)_2{\cdot}H_2O$ 결정상을 가지는 세리아 전구체를 합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전구체를 $1000^{\circ}C$에서 2시간동안 하소하여 세리아를 합성하고 반응시간, 농도, 에탄올의 함량 변화에 대해 XRD, FE-SEM, particle size analyzer, micropore physisorption analyzer 분석을 통하여 입자의 결정상과 형상, 입도 분포 및 기공분포 등을 반응인자의 변화에 따라 비교 및 해석하였다.

  • PDF

Magnetic Properties of $Nd_{15}Fe_{77}B_8$ Powders Prepared by TCP

  • Lee, D. H.;Taesuk Jang;Kim, J. H.;Park, C. J.;Kim, B. K.
    • Proceedings of the Korean Magnestics Society Conference
    • /
    • 2002.12a
    • /
    • pp.238-239
    • /
    • 2002
  • 현대의 영구자석들은 Alnico 주조자석을 제외하고는 모두 자성분말을 이용한 분말야금학적인 소결자석 또는 본드자석 형태로 제조된다. 따라서 자성분말의 형상, 크기, 입도, 순도, 조성 등이 자석의 자기적 특성을 우선적으로 결정하며, 이러한 구조적, 화학적 인자들은 영구자석의 고성능화를 위해 자성분말 또는 결정립이 초미세화 함에 따라 자기 특성을 결정하는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인자와 자기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정확히 규명하고 보다 잘 이해하는 것이 극대화된 자기 특성을 갖는 자성체를 개발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중략)

  • PDF

Automatic Extraction of Eye and Mouth Fields from Face Images using MultiLayer Perceptrons and Eigenfeatures (고유특징과 다층 신경망을 이용한 얼굴 영상에서의 눈과 입 영역 자동 추출)

  • Ryu, Yeon-Sik;O, Se-Ye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37 no.2
    • /
    • pp.31-43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lgorithm lot extraction of the eye and mouth fields (facial features) from 2D gray level face images. First of all, it has been found that Eigenfeatures, derived from the eigenvalues and the eigenvectors of the binary edge data set constructed from the eye and mouth fields are very good features to locate these fields. The Eigenfeatures, extracted from the positive and negative training samples for the facial features, ate used to train a MultiLayer Perceptron(MLP) whose output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a particular image window contains the eye or the mouth within itself. Second, to ensure robustness, the ensemble network consisting of multiple MLPs is used instead of a single MLP. The output of the ensemble network becomes the average of the multiple locations of the field each found by the constituent MLPs. Finally, in order to reduce the computation time, we extracted the coarse search region lot eyes and mouth by using prior information on face images.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approach includes that only a small number of frontal faces are sufficient to train the nets and furthermore, lends themselves to good generalization to non-frontal poses and even to other people's faces. It was also experimentally verifi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robust against slight variations of facial size and pose due to the gene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neural networks.

  • PDF

Synthesis of Layered Double Hydroxides by co-precipit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anion-exchange capacity (공침법을 이용한 층상이중수화물의 합성과 이의 음이온 교환능 평가)

  • 강미라;임형미;안병길;남중희;정상진;김광진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48-248
    • /
    • 2003
  • 층상이중수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s, LDH)은 층 사이에 무기물 음이온이 있는 2차원 충상구조물로서 이들 층 사이의 공간에 이동 가능한 수화된 음이온의 존재로 전하균형을 이룬다. 층 사이의 음이온은 교환이 가능하며, 나머지의 공간은 물분자로 채워져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응용하여 LDH는 촉매, 음이온 교환제, 흡착제, 담체로 사용가능하며, 특히 음이온 교환능이 있는 소재로 고분자에 적용되고 있으며, 층간에 염료를 삽입한 복합체의 제조 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의 적용에서 LDH의 입도는 결정적인 한계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본 실험에서는 Mg-Al-NO$_3$ 층상이중수산화물(Mg-Al-NO$_3$-LDH)을 공침전법으로 합성하고, 양이온의 농도와 공침시 pH 및 교반조건의 변화가 생성된 LDH의 결정상, 형상, 입도, 및 양이온교환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특히 초음파 분산법을 적용하는 경우 생성되는 LDH 입자크기의 미세화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Material Degradation for 2.25Cr-1Mo Steel by Ultrasonic Measurements (초음파 계측에 의한 2.25Cr-1Mo강의 열화도 평가에 관한 연구)

  • 박은수;박익근;김정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 /
    • v.10 no.3
    • /
    • pp.61-67
    • /
    • 2001
  • The remaining life estimation for the aged component is very important becaus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nents are degraded with time of service exposure in high temperature etc. The destructive method is widely used for the estimation of material degradation, but it has a difficulty in preparing specimens from in-service industrial facilities. In order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ltrasonic evaluation method for properties of high temperature materials, 2.25Cr-1Mo steel specimens which were prepared by the isothermal aging heat treatment at 63$0^{\circ}C$ were evaluated by ultra-sonic measurements investigating the change of velocities and attenuation coefficient. In this results, attenuation coefficient was found to be sensitive to material degradation mainly attributed to the change of grain size and the precipitation of impurities in grain boundaries, but velocity was not for all specimens.

  • PDF

A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Laminar Pulsating Flows in a Square Duct (정4각단면덕트 입구영역에서 층류맥동유동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박길문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683-1696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정4각단면덕트 입구영역에서 층류맥동유동(laminar pulsating flows)의 유동특성을 이론 및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이론적 방법으로 덕트 입 구영역에서의 층류맥동유동에 대한 운동량방정식을 유도한 후 비선형인 대류항을 선형 화 시켜서 라플라스변환으로 속도분포식의 해를 구하였고, 실험적인 방법으로는 시험 덕트 크기는 횡단면의 가로*세로가 40mm*40mm이고, 길이가 4000mm인 정4각단면덕트 입구영역에서 송풍기에 의한 공기흡입유동으로 층류진동유동을 발생하며 이들 두유동 을 합성시켜 발생한 층류맥동유동에 대하여 열선유속계의 열선신호로부터 얻어진 속도 파형을 고찰하여 덕트내의 맥동유동에 대한 임계레이놀즈수를 결정하고 속도분포를 측 정하였다. 그리고 이론적으로 얻어진 속도분포식과 열선유속계로 측정한 속도분포를 비교검토하여 정확성을 검증하고, 이들 해석결과로 부터 층류맥동유동의 입구길이(en- trance lenght)식을 결정하여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ological lightweight aggregates containing reject ash from the power plant (화력발전소 잔사회 입도에 따른 에코인공골재의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Yoo-Taek;Ryu, Yu-Gwang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0 no.4
    • /
    • pp.185-191
    • /
    • 2010
  • To effectively utilize resources of reject ash and dredged soil, globular shape-formed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were manufactured in 8~10 mm size. Starting materials were changed various grading and composition, sintered at $1050{\sim}1250^{\circ}C$. The specific gravity, water absorptance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were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KS. In this study could make a prediction about application of bloating mechanism by ferrous materials and alkali/alkali-earth oxide at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arallel Processing System through Runtime Adaptation (실행시간 적응에 의한 병렬처리시스템의 성능개선)

  • Park, Dae-Yeon;Han, Jae-Seon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6 no.7
    • /
    • pp.752-765
    • /
    • 1999
  • 대부분 병렬처리 시스템에서 성능 파라미터는 복잡하고 프로그램의 수행 시 예견할 수 없게 변하기 때문에 컴파일러가 프로그램 수행에 대한 최적의 성능 파라미터들을 컴파일 시에 결정하기가 힘들다. 본 논문은 병렬 처리 시스템의 프로그램 수행 시, 변화하는 시스템 성능 상태에 따라 전체 성능이 최적화로 적응하는 적응 수행 방식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적응 수행 방식 중에 적응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이론적인 방법론 및 구현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적응 제어 수행을 위해 프로그램의 데이타 공유 단위에 대한 적응방식(적응 입도 방식)을 사용한다. 적응 프로그램 수행 방식은 프로그램 수행 시 하드웨어와 컴파일러의 도움으로 프로그램 자신이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적응하는 방식이다. 적응 제어 수행을 위해 수행 시에 병렬 분산 공유 메모리 시스템에서 프로세서 간 공유될 수 있은 데이타의 공유 상태에 따라 공유 데이타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적응 입도 방식을 적용했다. 적응 입도 방식은 기존의 공유 메모리 시스템의 공유 데이타 단위의 통신 방식에 대단위 데이타의 전송 방식을 사용자의 입장에 투명하게 통합한 방식이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적응 입도 방식에 의해서 하드웨어 분산 공유 메모리 시스템보다 43%까지 성능이 개선되었다. Abstract On parallel machines, in which performance parameters change dynamically in complex and unpredictable ways, it is difficult for compilers to predict the optimal values of the parameters at compile time. Furthermore, these optimal values may change as the program executes. This paper addresses this problem by proposing adaptive execution that makes the program or control execution adapt in response to changes in machine conditions. Adaptive program execution makes it possible for programs to adapt themselves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the hardware and the compiler. For adaptive control execution, we applied the adaptive scheme to the granularity of sharing adaptive granularity. Adaptive granularity is a communication scheme that effectively and transparently integrates bulk transfer into the shared memory paradigm, with a varying granularity depending on the sharing behavio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daptive granularity improves performance up to 43% over the hardware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shared memory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