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장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5초

GS 283의 평활근 억제 작용기전 (Mechanisms Underlying the Inhibitory Effect of GS 283 in Various Smooth Muscles)

  • 김시환;이영수;정원석;장기철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109
    • /
    • 1994
  • Tetrahydroisoquinoline유도체인 GS 283의 약리학적 특성을 흰쥐 흉부대동맥, 기니픽 결장띠 및 토끼 장간막 동맥 및 흰쥐 뇌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혈관 평활근에서 GS283은 고 $K^+$에 의한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Ca^{2+}$ 길항작용을 보였다. 또한 ${alpha}_1$- 수용체 자극에 의한 수축도 억제하였다. GS 283의 혈관이완 작용은 propranolol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beta}$-수용체 자극작용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세포내 칼슘이온과 근장력 변화를 동시에 측정하였을 때 GS 283의 억제효과는 조직내 형광의 증가를 수반했다. 이 증가는 fura 2형광에 의한것이 아니라 내인성 pyridine nucleotide에 의한 것이며 이는 GS 283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했다. 흰쥐 뇌의 cAMP와 cGMP 의존성 phosphodiesterase에 대한 GS 283의 $K_i$,값은 2.5와 6.7mM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GS 283의 약리 작용은 $Ca^{2+}$ 길항작용, ${\alpha}_1$- 수용체억제 작용 및 cyclic nucleotide 의존성 phosphodiesterase 억제 등 다양한 작용이 있으며 평활근 수축 억제에 대한 GS283 작용에는 $Ca^{2+}$ 길항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레스베라트롤의 지질 대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The Role of Resveratrol in Lipid Metabolism: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Basic and Translational Evidence)

  • 최승국;문현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7-73
    • /
    • 2016
  • 본 총설에서는 비-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인 레스베라트롤이 간, 골격근 및 지방조직에서 지질대사에 관계된 다양한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하여 지질 대사 효과를 유발시키는 과정에 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in vitro 연구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지방생성을 줄여주고 apoptosis를 증가시켜 지방세포의 발달과정에 기인하며, 지방세포의 분화에 있어 중요한 전사인자인 $C/EBP{\beta}$, $C/EBP{\alpha}$, SREBP1c 및 $PPAR{\gamma}$의 활성을 감소시켜 항 비만 효과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많은 논문들을 통해 증명되었다(Fig. 2). 또한, in vivo 연구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지방 축적 과정을 억제하고 지질 분해 및 산화 경로를 자극하여 체지방 증가율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최근 다양한 연구의 결과물(Table 2)들은 레스베라트롤이 지방생성, 지방분해, 열발생 및 지방산 산화에 관여하며 또한, 백색 지방을 갈색 지방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흥미롭게도 레스베라트롤은 비만뿐만이 아닌 심장발작 및 뇌졸중과 같은 다양한 대사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고, 결장암 및 간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인간에 대한 레스베라트롤의 명확한 메커니즘을 알지 못하고 인간에게 나타나는 부작용에 관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모델을 이용한 레스베라트롤의 단기간 및 장기간에 대한 깊은 연구가 요구된다.

골수이형성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소아에서 발생한 크론병 (Development of Crohn disease in patients with myelodysplastic syndrome : report of two children)

  • 심정옥;서정기;양혜란;고재성;신희영;안효섭;김우선;강경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호
    • /
    • pp.107-111
    • /
    • 2006
  • 크론병은 매우 드문 질환이나 지난 10년간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골수 이형성 증후군을 가진 환아에서 크론병이 발병한 2례를 소아에서는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첫번째 환아는 3세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으로 진단받았고, 수 년간 지속된 반복적인 복통 및 설사, 혈변, 성장 부전이 있어 8세에 크론병으로 진단받았다.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는 맹장에서 오름 결장에 걸쳐 조약돌상 점막과 표재성 궤양 및 염증성 삼출이 있었으며, 조직 소견은 궤양 사이에 정상 점막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림프구 침윤을 보였다. Mesalazine과 deflazacort로 치료 후 증상은 호전을 보였다. 두 번째 환아는 9세에 골수 이형성증후군으로 진단받았으며, 13세에 반복되는 혈변과 복통, 구토, 발열로 크론병으로 진단받았다.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크고 깊은 경화성 궤양이 회맹판에서 맹장 쪽 주위에서 발견되었다. 이 외의 부위에는 병변이 없어 병변을 절제하였고, 조직은 경벽 염증과 림프구 집합을 동반한 궤양 소견을 보였다. 절제술 후 증상은 호전을 보였다.

소아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위장관 내시경 소견 (Endoscopic Findings of Children with Henoch-Schonlein Purpura)

  • 이동훈;박철한;박지민;박근수;김흥식;강진무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6호
    • /
    • pp.572-575
    • /
    • 2003
  • 목 적 :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아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소견을 관찰하고, 또한 위장관 증상이 있는 환아와 없는 환아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소견의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9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아 중 위장관내시경 검사를 실시한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장관 증상의 유무에 따른 내시경 소견을 비교 관찰하였으며 피부 병변 3일 전부터 퇴원까지의 기간 동안 복통, 구토, 위장관 출혈, 설사 등의 증상을 기록하여 위장관 증상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결 과 :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한 65명 중 위장관 증상이 있던 환아는 53명이었고, 증상이 없는 환아는 12명이었다. 6-10세 연령군이 많았고 위장관 증상은 남아에서 그리고 증상으로는 복통과 구토가 많았다.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한 65명 중 십이지장 점막에 이상 병변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병변의 양상에 따른 빈도는 십이지장염 12명, 위염과 십이지장염 9명, 십이지장미란 6명, 위염 5명, 십이지장궤양 5명, 위궤양 2명, 결장미란 1명의 순으로 관찰되었으며 정상소견은 25명이었다. 증상이 있던 환아 53명 중 38명에서 그리고 증상이 없던 환아 12명 중 2명에서 위장관 내시경 소견상 이상 소견을 보였다. 결 론: 위장관 증상이 있는 알레르기성 자반증 환아에서는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병변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었으나 더 많은 예에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개에서 polypropylene mesh를 이용한 회음부 탈장 교정술 증례 (The Use of Polypropylene Mesh for Perineal Herniorrhaphy in the Dog)

  • 강은희;장화석;양희택;정다정;이재훈;양우종;김태훈;이영수;최치봉;김휘율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4권
    • /
    • pp.461-464
    • /
    • 2006
  • 회음부 탈장은 나이든 수캐에서 골반강의 특발적인 약화로 일어난다. 14년령의 중성화되지 않은 수컷 시츄견이 우측 회음부 종창으로 건국대학교 부속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3년간의 회음부 종창의 소견을 나타내는 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방사선 검사에서 헤르니아 낭내의 직장과 결장의 확장이 관찰되었다. 회음부 탈장 교정술 중 바깥 항문조임근, 미골근, 그리고 항문 올림근이 약 3년간의 탈장으로 약화되어 있었고, 속폐쇄근의 변위만으로는 큰 결손부를 막기 어려워 polypropylene mesh를 이용하여 성공적인 수복이 이루어졌다.

연(蓮) 잎과 뿌리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and Root)

  • 정창호;손기봉;김진희;강선경;박은영;서권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138
    • /
    • 2010
  • 연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구분한 후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릭 화합물은 백련 잎에서 각각 12.84 mg/g 및 24.33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의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 또한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저해 활성 역시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연의 부위별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과 홍련잎 부탄올 분획물을 1m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각각 95.61%와 92.15%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보였다. 폐암세포와 결장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백련과 홍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생육억제활성을 보였다.

동백나무 잎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the Leaf of Camellia japonica L.)

  • 김진희;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67-274
    • /
    • 2010
  • 동백나무 잎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물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 또한 물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물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1,000{\mu}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각각 92.15%와 95.61%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보였다. 폐암세포와 결장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부탄올 및 물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생육억제활성을 보였다. 총 페놀릭 화합물은 부탄올 및 물 분획물에서 각각 216.26 및 220.68 mg/g으로 나타났으며, HPLC로 물 분획물의 페놀릭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quercetin과 epicatechin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동백나무 잎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은 quercetin과 epicatechin과 같은 폴리페놀 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비수술적 처치가 시행된 장중첩증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Intussusception by Non-operative Management)

  • 한동현;정기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5-11
    • /
    • 2007
  • 장중첩증은 2세 이하의 소아, 특히 남자 환아의 장폐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은 2005년 6월 1일부터 2007년 5월 31일까지 만 2년 동안 응급실로 내원하여 소아 복부 초음파를 통해 장중첩증으로 진단을 받고 비수술적 정복술을 시행한 환아 54명에 대해 임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별 분포는 13~24개월 사이가 40.7%였고, 성별분포는 남아가 72.2%, 여아가 27.8%로 남녀의 비는 2.6:1이었다. 2) 임상증상은 복통 및 보챔(100.0%), 구토(66.7%), 설사(33.3%)등 이었고, 설사증상을 나타낸 환아에서 장중첩증 정복성공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액상 특성으로 백혈구수는 10,000~15,000개 사이가 29.6%였다. 3) 개인병원의 1차 진료 후 본원에 내원한 환아는 42.6%였고, 증상발현에서 처치까지의 소요시간은 6~12시간이 37.0%로 많았다. 4) 장중첩증의 유형은 회장-결장형이 98.1%였고, 장중첩증의 위치는 간만곡부가 68.5%였다. 5) 공기압정복술의 성공률은 88.0%였고, 바륨정복술은 86.2%였다(p>0.05).

  • PDF

한국재래산양 태아 및 신생아의 결장상피 발달에 관한 투과전자현미경적 연구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al study of the developing colonic epithelia in fetuses and neonates in Korean native goat (Carpus hircus))

  • 김종섭;정순희;원청길;이종환;조규현;곽수동;조규완;김무강;송치원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7-152
    • /
    • 2002
  •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colonic epithelia in fetuses between 60-. 90-, and 120-days gestation and neonates of Korean native goat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n the 60-day-old fetuses, the colonic epithelial cells contained nuclei, nucleoli, mitochondria, free ribosomes, and shoo granular and agranular endoplasmic reticula. The zonula occludens, zonula adherens, desmosomes, short microvilli, and masses of glycogen granules were also obsrved. The goblet cells contained a few secretory granules. In the 90-day-old fetuses, the cell organelles of the colonic epithelial cells were better developed than those in the 60 day old fetuses. Increased number of endoplasmic reticula, digitiform intercellular junctions, mitochondria, and Golgi complexes was observed. The goblet cells contained a lot of secretory granules. In the 120-day-old fetuses, the colonic epithelial cells contained long microvilli and well developed cell organelles. The nuclear cleft and large intercellular space were also appeared. Nunerous fibroblasts were seen in the basement membrane. The number of goblet cells was further observed. In the 120 day old fetuses, all colonic epithelial cells shape simple columnar cells. In newborns, the colonic epithelial cells were covered with extensive microvilli. There were many goblet cells with a lot of secretory granules protruding into the intestinal lumen, and some goblet cells secreted their secretory granules into the lumen. In the 60-and 90-day-old fetuses, the colonic epithelial cells appeared to be either simple columnar or stratified columnar depending on areas.

신생아 선천성 회장 폐쇄증 (Congenital Ileal Atresia in Newborn)

  • 허영수;김창식;신손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35-41
    • /
    • 1994
  • 저자들은 1988년 10월부터 1994년 2월까지 최근 5년 4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일반외과에 입원하여 수술로서 확진된 선천성 회장 폐쇄증 환자 8명을 대상으로 임상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8명중 남아 4명, 여아 4명으로 남녀비가 동일하였으며, 입원시 연령은 생후 3일내가 6례로 75%를 차지하였다. 2. 선천성 회장폐쇄의 원인으로는 Type IIIa가 3례(37.5%)로 가장 많았으며, Type I 2례, Type II 2례, Type IIIb 1례 이었으며, Tape IV는 l례도 없었다. 3. 8명의 환아중 미숙아는 1명으로 저체중아였으며, 나머지 7명은 만삭아였다. 산모의 임신중 병력상 특별한 이상은 없었으며, 형제중 발생순위는 2째 아이에서 4례로 가장 많았다. 4. 주요 임상증상으로는 복부팽만과 구토로 7례에서 나타났고, 구토는 담즙성이었다. 5. 진단은 임상증상과 단순복부 촬영상 팽만된 장관 및 air-fluid level등을 보고 응급수술을 시행하였으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2례에서는 대장조영술도 함께 시행 하였다. 6. 8명의 환아중 7명에서 장절제후 단단 문합술을 시행하였으며, 1명에서는 고위쇄항으로 횡행 결장조루술도 함께 시행 하였다. 7. 동반된 기형은 Type IIIa 1례에서 고위쇄항, 좌측신 무발육증, 우측 다낭신 및 후복막낭종등을 동반하였다. 8. 수술후 합병증은 8례중 3례(37.5%)에서 패혈증이 발생 하였으며, 술후 사망한 경우도 이들 패혈증을 동반한 3례 이었다. 나머지 5명은 현재까지 특별한 문제없이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