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실율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Wild Vegetable (산채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Ahn, Song Hee;Moon, Jung Seob;Lee, Yong Mun;Yang, Jin Ho;Kim, Dong Won;Ahn, Min 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4-84
    • /
    • 2019
  • 산채류의 종자 및 종묘는 시중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산채 꾸러미에 분류되는 작물 중 개미취(Aster tataricus),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은 주로 종묘의 형태로 공급되어 수급이 안정치 못하다. 이에 본시험은 개미취, 섬쑥부쟁이, 우산나물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 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작목을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6년 4월에 종묘를 노지에 정식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8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처리구별 각 작물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각 작물별 개화 후 50일, 70일, 90일, 110일, 130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과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개화가 시작된 일자는 개미취의 경우 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차광재배 순으로 빨랐으며 섬쑥부쟁이는 노지재배에서 개화시기가 가장 늦었다. 모든 작물의 개화가 종료되는 시점은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개화율은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노지재배,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순으로 많았으며 우산나물은 노지재배시 개화율이 9.3%로 매우 낮았다. 개화기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개미취는 초장과 엽폭이 차광재배, 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섬쑥부쟁이는 하우스 재배에서 타 재배방법에 비해 우수하였다. 우산나물은 차광재배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결실률은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재배방법에 상관없이 결실률이 60%이상이었다. 반면 우산나물은 평균 31%로 타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실률이 낮았으며 차광 재배일 때 43%로 가장 결실률이 좋았다. 개미취는 개화 50일 이후부터 종자 결실률이 65%이상으로 높았으며, 섬쑥부쟁이의 결실률은 개화 후 50일이 가장 좋았으며, 그 이후로 점차 결실률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우산나물은 개화 후 90~110일경에 가장 결실률이 높은 경향이었다. 개미취는 개화 후 70일일 때 가장 발아율이 낮았으며, 90일일 때 가장 발아율이 좋았다. 섬쑥부쟁이의 발아율은 개화 50일 이후부터 최종 채종시기까지 80%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우산나물은 채종시기에 따라 발아율 정도가 매우 상이하여,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율이 높아졌다. 따라서 개미취는 하우스 재배를 통해 개화 후 90일 때 채종하는 것이 가장 발아율이 좋았으며, 섬쑥부쟁이는 차광재배일 경우 개화 50일 이후에는 발아율이 90% 이상이므로 이때부터 종자비산 전까지가 채종적기로 판단된다. 우산나물은 타작물에 비해 다소 결실률이 떨어지나 차광재배 시 개화 110일 후 우량종자를 채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he Characteristic of Flowering and Fruiting of 5 Korean Rare and Endemic Plants in Kangwon Province Region (강원지역 희귀·특산식물 5종의 개화결실 특성)

  • Park, Jin Sun;An, Jong Bin;Shin, Hyun Tak;Jung, Su Young;Kim, Sang Jun;Bak, Gi Ppeum;Hwang, Hee Suk;Kim, Hee Cha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27-27
    • /
    • 2018
  •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분포하는 희귀 특산식물 5종 광릉요강꽃(CR), 개느삼(EN), 모데미풀(EN), 금강봄맞이(EN), 난장이붓꽃(EN)을 대상으로 고정조사구($5{\times}5m$, $2{\times}2m$, $1{\times}1m$)를 설치한 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간의 개화 및 결실 특성을 조사하여 자생지와 식물종의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광릉요강꽃의 개화율은 2014년 총 개체수 6개 중 100%(6개체), 2015년 6개 중 66.7%(4개체), 2016년 3개 중 33.3%(1개체), 2017년 7개 중 14.3%(1개체)으로 나타났고, 결실율은 2014년 0%(0개체), 2015년 33.3%(2개체), 2016년 0%(0개체), 2017년 0%(0개체)으로 각각 나타났다. 개느삼의 개화율은 2014년 총 개체수 83개 중 0%(0개체), 2015년 83개 중 1.2%(1개체), 2016년 83개 중 7.2%(6개체), 2017년 76개 중 0%(0개체)으로 나타났고, 2014년부터 2017년까지의 결실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데미풀의 개화율은 2014년 총 개체수 6개 중 33.3%(2개체), 2015년 23개 중 91.3%(21개체), 2016년 30개 중 50%(15개체), 2017년 16개 중 100%(16개체)으로 나타났고, 결실율은 2014년 33.3%(2개체), 2015년 52.2%(12개체), 2016년 36.7%(11개체), 2017년 37.5%(6개체)으로 각각 나타났다. 금강봄맞이의 개화율은 2014년 총 개체수 20개 중 50%(10개체), 2015년 27개 중 59.3%(16개체), 2016년 47개 중 34%(16개체), 2017년 58개 중 31%(18개체)으로 나타났고, 결실율은 2014년 50%(10개체), 2015년 29.6%(8개체), 2016년 4.3%(2개체), 2017년 10.3%(6개체)으로 각각 나타났다. 난장이붓꽃의 개화율은 2014년 총 개체수 28개 중 0%(0개체), 2015년 15개 중 100%(15개체), 2016년 28개 중 21.4%(6개체), 2017년 35개 중 62.9%(22개체)으로 나타났고, 2014년부터 2017년까지의 결실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Habit, Pollination Patterns and Seed Setting of Hosta plantaginea Aschers (옥잠화(Hosta plantaginea Aschers.)의 개화습성, 수분양식 및 결실특성)

  • Cho Kyoo Won;Tae Kyoung-Hwan;Sung Soon-Ke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8 no.2
    • /
    • pp.309-314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s on the flowering habit, pollination patterns and seed setting in Hosta plantaginea Aschers. Flowers came out in the night with white color. Almost fertilization seemed to be out by wind in early and full flowering. But bearing pods by insects and fertilization rate by wind were increased by interval of flowering and particular scent slowly decreased in after flowering. Bearing pods and seeds setting rate were $65.0\%,\;40.9\%$ per peduncle after artificial pollination, and also $33.3\%,\;24.3\%$ in natural pollination, respectively. The flowering times was all around seven to eight o'clock at night and optimum temperature for pollination was $25{\sim}28^{\circ}C$.

Flowering Habit, Pollination Patterns and Seed Setting in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황기의 개화습성과 수분양식 및 결실 특성)

  • 김영국;손석용;성낙술;이봉호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5 no.3
    • /
    • pp.171-175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s on the flowering habit, pollination patterns and seed setting in Astragalus membranaceus. The first flowering appeared at the 20-22 node on main stem and there is the indeterminate inflorescence that the flowering progress developed toward the tip of the main stem and also toward the tips of branches. According to the flowering time, the number of peduncles were increased in early of Aug. Then, the number of bearing pods and that of seed setting were increased at that time. The length of peduncles with small flower was 6.6-7.3cm, and the number of small flowers were 13-17 per peduncles. The percentage of seed setting was 30-45% per peduncles and seeds were 4.8-5.3 per pod in peduncles. On 30 days after pollination, the pod was developed with the length about 3.8cm and the width about 8mm and the seeds were 7.3per pod. According to pollination treatment, wrapping sotted no seeds and the artificial pollination sotted seeds . about 5% in late of jul. to late of Aug. but increased about 13% of seed set after early of Sep. in A. membranaceus.

  • PDF

Establishment of The Optimal Harvest Limit Time for Wild Vegetable Seed Production (산채류 채종을 위한 적정 생채 수확 한계기 설정)

  • Song Hee Ahn;Jung-Seob Moon;Gue-Saeng Yeom;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2-42
    • /
    • 2021
  • 산채류 종자는 주로 농가의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고 있다. 농가에서는 종자만을 생산하기 위해서 산채를 재배하지 않으며, 대체로 산채를 수확한 후 채종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자생산을 위해서 생채나 나물을 언제까지 수확해야 하는지에 대한 한계기 설정이 불분명하다. 따라서 전북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는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5년생, 곤달비는 3년생 묘목을 이용하여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생채수확 한계기를 설정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 재배포장에서 생채 수확 한계기를 각각 2020년 4월, 5월, 6월까지로 두어 한계기별 생채 수량, 상품 수량 및 상품율과 개화 시기, 개화율 및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개미취의 생채 상품율은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며, 개화 시기는 무처리와 4월까지 수확은 동일하였으나, 5월, 6월까지는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개화율은 대부분 10% 미만이었으며, 5월과 6월까지 생채를 수확한 경우는 추대 및 개화가 거의 되지 않았다. 섬쑥부쟁이는 생채를 6월까지 수확하면 4월까지 수확한 경우보다 약 2배 이상의 생채를 얻을 수 있으나 상품율은 확연히 떨어졌다. 개화 시작은 무처리와 4월까지 수확이 타 처리에 비해 빨랐으나 개화종은 시기에 상관없이 비슷하였다. 또 4월까지 생채를 수확한 경우 무처리보다 개화율, 결실률이 더 높았다. 5월 이후 수확은 생육 부진으로 이어져 개화 및 결실률이 매우 떨어졌다. 곤달비는 개미취와 섬쑥부쟁이에 비해 생채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상품 수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며, 처리 간 추대 시기도 차이는 없었다. 개화율은 5월 수확 이후 낮아졌으며, 결실률은 6월 이후에 급격히 떨어졌다. 따라서 채종을 위해서는 차광재배 시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생채 수확시기를 4월 하순, 곤달비는 5월 하순까지로 한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ies on Flowering Habit and Cross-Fertility of some local cultivars in Angelica gigas NAKAI (참當歸(Angelica gigas NAKAI 지방종의 交雜親和性에 관한 연구)

  • 권오흔;김수용;임재하;오세명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4 no.2
    • /
    • pp.163-16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cross breeding for developing bolting resistant variety of Angelica gigas NAKAI which has been subjected to severe yield reduction resulted from flower-stalk initiation during the growth. Compatibility of selfing and/or crossing pollination among 5 local cultivars were tested.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ase of three year old plant, all cultivars emerged March 14 and bolted from May 12 to May 13. Ponghwa cultivar was flowered 3 to 5 days earlier than other cultivars. Flower duration continued 41 to 43 days. Interval of flowering date from main stem to first primary branch, from first to second or second to third primary branch was 9 to 13 days. Emergency of stamen proceeded 4~8 days of pistil initiation demonstrating that Angelica gigas NAKAI is protandrous plant. Furthermore initiation of first pistil was 1~4days later than formation of last stamen in the same flower cluster. Percent pollin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was 52% under natural condition, so called open-pollination, but bagging by enveloping flowers was as low as 0.4~2.4%. In the result of compatibility test, all local cultivars tend to show both of self-and cross-compatibility. Inpollination, ‘Muju’$\times$‘Muju’combination showed highest fertility up to 40.8% whereases cross pollination, ‘Pyeongchang’$\times$‘Inje’combination, showed 67.0% fertility.

  • PDF

Characteristics of Self-compatible Variety from Native Lilium tigrinum Thunberg (우리나라 자생 참나리에서 선발된 자가결실성 2배체 품종의 특성(特性))

  • Ha, Yoo-Mi;Kim, Dong Yeob;Han, In Song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8 no.4
    • /
    • pp.284-290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breed a self-compatible variety of Tiger Lily from the seedlings originated from Chinju city, Gyeongsangnam-d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loidy, and the resistance of seedlings to virus infection were investigated. A progeny test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propagated progenies had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mother plant. The self-compatible diploid lily variety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a tall type like native triploid lily, Lilium tigrinum, and bulbils were formed on both lily varieti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s and leaves were not much different between the varieties, while the size of the bulbils and bulb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ercentage of seed generation by self-pollination was 72.6% for the self-compatible variety, while there was no seed generated for native triploid lily. The number of chromosome was 2n = 26 (x = 13, diploid) for the self-compatible variety, while 2n = 39 (x = 13, triploid) in native lily variety. The progenies of the self-compatible diploid lily variety showed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of its mother plant in morphology, seed germination, and polyploidy. The mother plant of the self-compatible diploid lily variety showed 58% pollen germination and the 2-year-old and 3-year-old progenies showed similar germination percentages. The pollen grains of Korean native triploid lily, however, never germinated.

Quant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Lesions of Sweet Potatoes Over Storage Periods (저장 기간에 따른 고구마 내부 병변의 분포 정량화)

  • Ji-Woo Jung;Dong-Il Lee;Seong-Young Choi;Roshanzadeh Amir;Eung-Sam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Ligularia stenocephala (곤달비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Song Hee Ahn;Jung Seob Moon;Gue-Saeng Yeom;Jin Ho Yang;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Studies on the Intergeneric Crosses in Triticeae I. Influence of Crossing Methods and Chemicals on the Hybridization Rate in Wheat-barley Crossings (맥류의 종속간 교잡에 관한 연구 제1보 교배방법 및 교배촉진물질의 처리가 교잡종자 생산에 미치는 영향)

  • Kim, B.Y.;Hong, B.H.;Cho, C.H.;Je, S.Y.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7 no.2
    • /
    • pp.111-115
    • /
    • 1982
  • The trials were carried out for improvement of early maturing wheat varieties, desease resistant and good quality through transfering good characters of barley to the wheat, during 1980-'81. For these purpose, Chinese Spring, a wheat variety was used as male and Manker 16 a barley variety, as female parents. EACA($\varepsilon$-Amino Caprolic Acid) known as an inhibitor of blood coagulation was injected to all barley from 14 days until heading with 1$m\ell$ per culm at the level of 500ppM. $GA_3$ solution which accelerates pollen activity was also used with 75ppM concentration after pollination for two days including check to determine the single effect of EACA. Two different methods of the cross were used. One was bud-pollination, another was post-pollin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ost-pollination was better than bud-pollination in terms of pollination rate, even though formation rate of normal embryo was seemingly adversed. The new plant derived from barley-wheat cross was similar in phenotype to the whe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