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견뢰도

Search Result 24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Migration Properties and Color Fastness of Disperse Dyes on Acetate, Tri-Acetate, PET and Mixture Fabrics (Acetate, Tri-Acetate, PET 및 복합소재에 대한 염색성 및 물성분석)

  • Kim, Gyeong-Mi;Woo, Jong-Hyeong;Chung, Yea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51-51
    • /
    • 2011
  • Acetate 섬유는 고감성 제품의 대표적 핵심소재로서 실크와 같은 우아한 광택과 청량감을 주어 고가의 의류제품으로 사용되지만 편직 및 염색가공 공정이 까다롭고 비교적 저분자량의 분산염료로 염색되어 내열성, 염색견뢰도 및 물에 대한 형태안정성이 떨어진다. 특히, Acetate 편직물은 이태리나 일본 등 섬유선진국에서도 제조가 까다로운 기술적 난이도가 매우 높은 제품군이다. 반면 Tri-Acetate는 Acetate의 장점을 가지면서 내열성, 내세탁성, 원상회복력(resilience)등이 우수하여 기존 Acetate 시장의 고급제품 용도로의 전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PET 등의 물성 및 형태가 다른 복수의 소재성분을 직물 사이에 공존시킴으로써 새로운 태, 기능, 외관, 광택의 부여가 가능하며 이를 활용한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시장의 창출이 기대된다. Acetate와 Tri-Acetate 모두 셀룰로오스의 친수기가 아세틸화된 구조를 가지는 소수성 섬유로 분자구조가 치밀하여 분산염료로 염색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Acetate 섬유의 경우 Acetate용 일반분산염료를 사용하여 저온상압염색을 하는 반면, Tri-Acetate의 경우 고온고압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고온고압염색을 한다. PET와 Tri-Acetate 복합소재의 경우, 두 소재의 염색거동이 비슷하여 고온고압 분산염료로 염색이 가능하지만 T/P 복합소재에 상응하는 염색을 위해서는 복합소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소재에 적합한 염료의 선정 및 염색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Tri-Acetate 및 T/P 복합소재에 대한 염색최적조건을 규명하고자 염색온도별, 2종의 분산염료의 농도별 염색성, 염색시료의 인열강도 및 견뢰도를 측정하여 적정조건을 도출하였다.

  • PDF

Changes in the Dyeing Property of Tencel Blended Fabrics as Susceptible Functional Fiber through Chitosan Finishing (키토산 가공에 의한 감성기능소재로서의 텐셀 혼방직물의 염색성 변화)

  • Park, Youn-Hee;Kang, In-Sook;Bae, Hyu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1 no.12
    • /
    • pp.1672-1681
    • /
    • 2007
  • Cationization is effective to complement the defects of Tencel blended fabrics by introducing new functions. For this purpose, we used chitosan, which is congenial to the human body, free of pollution, and easily reacted. Then, we compared it to the Tencel single fabrics. To perform such effective cationization, the fabrics were treated with chitosan after NaOH pretreatment and enzyme treatment thereof. After that, the fabrics were treated with a crosslinking agent and a softner. The dyeing property of the cationized Tencel blended fabrics and reactive dye, which is a type of anionic dye, show a high concentration in neutral salt and excellent repulsive power between the fabrics and the decreased dyes. The dyeing property of the chitosan treated fabrics represented better performances than that of untreated fabric in the lower concentration of neutral salt. Meanwhile, when it was dyed with certain acid dyes, the dyeing property of the chitosan treated fabrics showed better results due to the reaction of an amine group, which was introduced by chitosan treatment. Thus, the verification of the cationization of the Tencel blended fabrics was performed. The washing fastness of the Tencel blended fabrics showed a little bit better than that of the Tencel single fabric, and it represented a better performance in the dye with a reactive dye than that of an acid dye.

A Trend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atural Gardenia Pigments (천연 치자 색소의 연구개발 동향)

  • Shin, Hyun-Jae
    • KSBB Journal
    • /
    • v.22 no.5
    • /
    • pp.271-277
    • /
    • 2007
  • Natural pigments have many applications like colouring agent, pigments, food additives, and antiseptics. At present, instead of synthetic pigment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many kinds of natural pigments have been developed. The constituents of gardenia fruits, Gardenia jasminoides ELLIS, are traditionally known as herb medicine and natural dyes/pigments due to the customer is needs. The fruits produce yellow carotenoid pigments and iridoid compounds. The two main components in the yellow pigments are called crocin and crocetin. The extraction mode of yellow pigment from Gardenia is depended upon the extraction time, temperature, and volume of solvent. Red pigments or blue pigments formed from geniposide and amino acids have been reported a lot. Geniposide, the principal iridoid glucoside contained in gardenia fruit, was hydrolyzed to genipinic acid or genipin as a precursor for the pigment by enzymatic or chemical reaction. These red or blue pigments prepared with materials hydrolyzed of geniposide and amino acid and had properties governed by the electrostatic character of the amino acid. The pigments showed good stability to heat and pH but were gradually bleached by light while the other natural pigments are unstable in light, heat, acid, and base solution. The safety of the pigments was considered to be of little virulences in comparison to synthetic pigments.

MCC 입자의 표면화학적 특성에 따른 부유부상 효과

  • 이학래;이진희;허용성;한신호;조중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1-41
    • /
    • 2000
  • 부유부상 공정은 현재 신문고지와 사무용 고지의 탈묵을 통한 신문용지 및 화장지 제조 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지재활용을 위한 핵심공정이다. 하지만 이들 공정은 갈수록 열악 해지는 국내 고지원료의 품질변화에 따라서 잉크 및 토너의 분리효율이 저하되고 있어 생산 되는 탈묵 펄프의 품질저하, 리젝트 발생량의 증대, 폐수 처리공정의 부하 증가 등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현재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잉크 및 인쇄방식으로 인쇄된 많은 종류의 재활용지가 원료 로 투입되고 있는 경우 탈묵공정의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부유부상 공정에 대한 좀 더 체계 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먼저 고지 재활용 공정 의 핵심 단위공정인 부유부상 공정에 관련된 복잡한 문제점을 단순화하여 고상 및 액상의 표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부유부상 공정의 효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부상 공정을 기초과학적 측면에서 구명하기 위해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를 모델 물질로 사용하였고, 친수성 의 표면 특 성을 나타내는 MCC의 표면 특성을 바꾸기 위하여 AKD(alkyl ketene dimer)로 처리비율을 달리하여 사이징 처리하였다. 부유부상 실험에 사용된 MCC는 친수성을 띠는 것과 소수성 을 부여한 것을 구별하고 그 비율을 백색도를 통해 측정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친수성을 가지는 MCC는 세척 견뢰도가 높은 검은색 염료로 염색하였다. 준비된 친수성과 소수성 M MCC의 혼합비율 별로 패드를 작성하여 백색도를 측정함으로써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또한 부유부상 시간에 따른 제거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유부상 시간별로 각각의 리젝트율과 수율올 측정하고, 리젝트 시료로부터 패드를 제조하여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소수성 MCC의 소수화 정도에 따라서 리젝트율이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표 면에 소수성을 띠는 입자는 소수성이 강할수록 부유부상공정에서 제거율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유부상 처리한 MCC로 패드를 제조한 뒤 백색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이를 확인하였다. 한편 리젝트로 함께 제거된 MCC 내에 존재하는 친수성 MCC의 양은 극히 미 세하였다. 또한 부유부상를 실시하는 초기에 상당량의 리젝트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는데, 이 는 전체 부유부상을 통해 제거되는 양의 45-68%였다. 한편 부유부상이 진행됨에 따라서 리젝트 양의 증가폭이 둔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MCC의 소수성이 강할 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계 내로부터 소수성인 물질이 급속하게 제거됨을 알 수 있었으며 필요 이상의 부유부상 처리는 잉크제거 효율을 높일 수는 있으나 소모되는 시간에 비하여 비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Property of Nylon Fabrics Dyed with Safflower Under Ultraviolet-Light(UV) - Focused on the Changes in Color, Strength, and Surface - (홍화 염색 나일론 직물의 자외선에 의한 특성 변화 - 색상, 강도 및 표면 특성 변화를 중심으로 -)

  • Shin, Youn-Sook;Choi, Seung-Youn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6 no.9
    • /
    • pp.1-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operty of nylon fabrics dyed with safflower red and yellow colorants under Ultraviolet(UV)-light. For this purpose, nylon fabrics dyed with safflower red and yellow coloran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fter uv-light exposure in terms of K/S value, color changes(${\Delta}E$), morphology, and strength retention. K/S value rapidly decreased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but K/S value of the sample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decreased less than that of sample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In color changes, as increasing exposure time, $L^*$ increased, $a^*$ decreased, $b^*$ increased, and so ${\Delta}E$ increased in sample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In color changes, as increasing exposure time, $L^*$ increased, $a^*$ and $b^*$ decreased, and thereby ${\Delta}E$ increased in the sample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indicating fading away by uv-light and changes of hue, value and chroma value. But the color change of sample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was less than that of sample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SEM pictures showed a severe degradation by uv exposure, regardless of colorants type. Tensile strength slowly decreased until 14 days, and rapidly decreased until 28 days. Strength retention of the sample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amples dyed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Study on Manufacture & Performance of Mixed Soaping & Softening Agent (일액형 복합 소핑유연제의 제조 및 성능 고찰)

  • Lee, In-Yeol;Lee, Jung-Ho;Hwang, Chang-Soon;Kim,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48-48
    • /
    • 2011
  • 국내 염색가공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은 약 1,700여개 업체로써, 평균 50억/년 매출을 하고 있으며, 생산의 대부분을 임가공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염색가공업체들은 섬유제품의 품질 향상 등을 위해 전처리, 염색, 가공이라는 섬유습식공정을 행하게 되는데 그 공정이 따로 분리되어 있어 임가공 업체 입장에서는 시간과 비용 차원에서 비효율적인 면이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공정합리화, 원가합리화를 위해 따로 분리되어 있는 위 공정을 통합하려는 시도를 많이 했지만 전처리/염색 공정의 통합에서 일부 성과가 있었을 뿐 효과면에서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가공이란 공정은 그사용 약제의 특수성에 따라 기존 Padding-Drying-Curing이라는 3 step process를 반드시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공 공정의 통합은 시도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염색공정과 가공공정의 통합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관련 약제 개발이 출발이라 할 수 있으며 그 첫 대상은 염색 공정의 소핑과 가공공정의 유연처리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소핑유연제로 선정하려 한다. 즉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반응성 염색 후 소핑 공정에서 일액형 소핑유연제, 한가지 제품만을 간편하게 사용해도 소핑효과와 유연효과를 동시에 얻어 후속 유연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큰 절감 효과를 가져와 임가공 업체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 통합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의 양도 상당량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타입의 계면활성제와 개질된 디메틸폴리실록산 계열의 실리콘 오일, 그리고 이들의 상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특수 용제 및 첨가제를 최적의 비율로 배합하여 안정한 일액형 복합 소핑유연제를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된 소핑유연제는 유백색 반투명 액상의 외관을 가지며 pH(10%solution)는 $7{\pm}1$, 고형분은 $13.5{\pm}0.5%$이었다. 이 소핑유연제의 성능 평가결과, 소핑력은 기존의 소핑제와 동등 수준으로 세탁견뢰도 4급이상의 성능을 보였고, 유연성 면에서도 기존의 유연제와 동등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이로써 기존의 분리된 소핑 공정과 유연공정을 개발된 제품을 이용하여 통합할 수 있어 염색현장의 비용절감, 공정단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The Dyeing Properties of Woody Fiber Regenerated from Waste MDF by Reactive Dyes (반응성염료에 의한 폐MDF 재생 목질섬유의 염색특성)

  • Ju, Seon-Gyeong;Roh, Jeo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7 no.2
    • /
    • pp.163-17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relations between the dyeing conditions (i.e., dye concentration, addition amounts of salt and alkali, and dyeing temperature) and dyeing properties and color fastness to light for identifying the optimal dyeing conditions when dyed regenerated woody fibers were obtained through the defibration of wast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using reactive Red H-E3B (Bis-monochlorotriazine (MCT)/MCT type) and reactive Red RB133% (Bis-MCT/Vinyl sulphone type). The dyeing yield (K/S) obtained using two types of reactive dyes increased as the dye concentration increased by 1-10% (on the weight of fiber (OWF)). In addition, the K/S of H-E3B was higher than that of RB133% irrespective of the dye concentration. The color difference of H-E3B after ultraviolet (UV) radiation was lower than that of RB133%, denoting good resistance to discoloration by UV. As the amount of sodium sulfate increased, the color difference and K/S also increased, and the adequate salt content was determined to be 50-70 g/L. Further, the color difference and K/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the addition of 2 g/L of sodium carbonate; however, almost no difference was observed when more than 2 g/L of sodium carbonate was added. The addition amount of sodium carbonate was adequate 5-10 g/L to dyeing the fiber and the pH at this addition level was 10. The dyeing yield of H-E3B increased when the dyeing temperature increased; however, it subsequently decreased after the dyeing temperature became $80^{\circ}C$. The dyeing yield of RB133% was almost the same up to $60-70^{\circ}C$ but declined subsequently. Thus, the adequate temperatures were $80^{\circ}C$ and $60^{\circ}C$ for H-E3B and RB133%, respectively. If the waste MDF woody fiber was dyed under the aforementioned optimal conditions, dyed regenerated woody fiber can be obtained having the following colors: 1.5 to 2.0R with the H-E3B dye and 9.6 to 10.0 PR with RB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