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관절 탈구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5초

이두 근 및 관절순 손상의 치료 (Management of Biceps and Labral Disorders)

  • 최창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0-116
    • /
    • 2006
  • 견관절의 외전 및 외회전 운동시 이두 근 장 두의 내측으로 가해지는 응력은 이두 근 활차 및 견갑하건의 손상과 함께 이 두 근장 두의 내측 탈구를 유발할 수 있으며 회 전근 개 파열과 동반될 경우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진단 및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관절와 상완관절 상부의 병적 변화로 유발되는 상부 관절순 전후방 병변 (SLAP)은 관절경적 검사 및 치료가 보편화 됨에 따라 견관절 기능 부전의 원인으로 그 중요도가 더욱 커지고 있는 질환중의 하나이다. SLAP병변의 치료는 임상증상 및 병형의 양상에 따라 결정되며, 정상적인 변형에 대해 과 치료를 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PDF

중장년층에서의 회전근 개 파열과 Bankart 병변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with Rotator Cuff Tears and Bankart Lesion)

  • 이광원;양동현;안재훈;김하용;최원식;하권익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1-86
    • /
    • 2004
  • 목적: 본 연구는 40세 이후에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경우, Bankart복원술이나 소절개 술식(miniopen technique)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한 후 후향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1991년 5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내원하여 수술 받은 40세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 25례의 환자 중 최종 추시가 가능하였던 22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2(범위, 41$\~$67)세, 추시기간은 평균 50.5(범위, 10$\~$47)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 22례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환자 8례들의 최종 추시 결과 견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은 평균 122$^{\circ}$에서 154$^{\circ}$, 외전은 평균 115$^{\circ}$ 에서 161$^{\circ}$ 로 향상되어 술전에 비해 견관절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의 동통지수는 술전 11.0에서 술후 5.5로 호전되었다. 환자가 호소하는 동통의 정도는 VAS 평가상 술전 평균 5.4에서 술후 평균 2.5로, UCLA 평가지수는 술전 20.2에서 술후 29.6로, Constant 평가지수는 술전 48.6에서 술후 69.0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UCLA 평가지수상 전체 환자 22례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8례 환자들의 최종 추시 결과 우수 2명, 양호 4명 , 보통 2명이었으며, Bankart병변을 동반하지 않은 14례의 환자군의 최종 추시 시 우수 2명 , 양호 6명, 보통 5명, 불량 1명으로 양 그룹간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결론: 40세 이상에서의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은 적고, 회전근 개와 액와신경 손상, 상완골 대결절의 골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회전근 개 파멸과 함께 전방관절낭와순 복합체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엔 재발성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소절개 술식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과 함께 Bankart봉합술과 같은 전방 구조물 대한 복원을 시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 PDF

중·장년층에서 견관절 탈구 후에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분석과 치료 (The Analysis and Treatment of Rotator Cuff Tear After Shoulder Dislocat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Patients)

  • 지종훈;박상은;김영율;신은수;박보연;정재중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20-26
    • /
    • 2010
  • 목적: 중 장년층에서 견관절 탈구 후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에서 2008년 10월까지 견관절 탈구와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되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50세 이상의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7명과 여자 12명으로, 평균 나이는 64.7세 (50~78세)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22개월 (8~56개월) 이었다. 탈구의 횟수, 회전근 개 파열의 크기, 견관절 내 Bankart 병변, 수술까지의 시간 등을 조사하였고, 수술 전, 후의 ASES 점수, UCLA점수, SST 점수 및 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수술 후의 임상결과 및 결과에 미치는 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결과: ASES 점수는 술 전 30.2점 (${\pm}20.7$)에서 술 후 72.3점 (${\pm}20.3$)으로, UCLA shoulder rating scale은 12.9점 (${\pm}5.2$)에서 26.5점 (${\pm}7.0$)으로. SST 점수는 2.4점 (${\pm}3.3$)에서 7.3점(${\pm}4.2$)으로 향상되었다. 운동 범위는 술 전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각각 110.8도 (${\pm}39.3$), 107.7도 (${\pm}40$), 22.5도 (${\pm}17.6$)와 L5 수준에서 술 후 전방 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각각 153.6도 (${\pm}20.6$), 152.1도 (${\pm}20.8$), 36.4도 (${\pm}22.7$)와 L1 수준으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나이와 Bankart 병변의 유무, 탈구 횟수는 수술 후의 결과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그러나 파열이 클 수록 임상결과는 좋지 않았고,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과 술 후 UCLA 점수와 술 후 SST 점수가 통계학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0.039, 0.038). 결론: 중 장년 이후에 견관절 탈구 발생시 조기에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회전근 개 파열이 동반된 경우, 조기에 회전근 개 봉합을 시행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급성 또는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있어서 견인 봉합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내측 관절막 중첩술 - 수술 술기 - (Arthroscopic Medial Plication using Pull-out Suture for the Treatment of Acute or Recurrent Patellar Dislocation - Technical Note -)

  • 안진환;김재훈;하해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4-218
    • /
    • 2006
  • 목적: 급성 또는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있어서 내측 슬개-대퇴 인대의 해부학적 위치를 고려하여 견인 봉합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내측 관절막 중첩술을 새롭게 고안하였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관절경하에서 내측 슬개-대퇴 인대가 위치하는 부위의 내측 관절막에 봉합사를 관절 밖에서 안으로 통과시킨다. 슬개골에 유도강선으로 3개의 터널을 뚫는데, 그 관절내 입구가 슬개골의 내측 변연 상부 1/2에 위치하도록 한다. 관절 내로 들어와 있는 봉합사를 슬개골의 터널을 통해 관절 밖으로 빼내고, 봉합사에 긴장을 준 상태에서 적절한 정도로 외측 지대 유리술을 시행한 후 봉합사를 결찰한다. 결론: 본 술기는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내측 슬개-대퇴 인대를 봉합함으로써 내측 관절막 중첩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슬개골의 아탈구 및 경사를 교정할 수 있으며, 최소 침습적이고 비교적 쉽고 간단하여 급성 또는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된다.

  • PDF

40세 이하에서 견관절 전방 탈구가 동반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관절내 병변 및 임상 결과 (Accompanying Lesions and Clinical Results in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of the Humerus with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Under the Age of Forty)

  • 김두섭;윤여승;이동규;박현국;박장희;신존정헌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20-26
    • /
    • 2011
  • 목적: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경우 동반 병변을 조사하고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 환자 중 40세 이하의 30명을 대상으로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동반 병변을 확인한 후 도관나사 고정 또는 봉합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을 시행하였다. Constant 점수와 Rowe 점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Bankart 병변 2예, 골성 Bankart 병변 4예, Perthes 병변 4예, free ALPSA 병변 2예, GLAD 병변 3예, 관절낭 파열 6예 관찰되었고, 회전근 개 부분 파열 5예 (16.7%), SLAP type I 2예 (6.7%), SLAP type II 병변 1예 (3.3%), 이두장건 파열 1예 (3.3%)가 관찰되었다. Constant 점수는 술 전 평균 56.30${\pm}$11.83점에서 술 후 평균 94.43${\pm}$7.82점으로 증가하였고 (p=0.034), Rowe 점수는 52.56${\pm}$9.96점에서 91.76${\pm}$9.56점으로 증가하였다 (p=0.026). 결론: 견관절 전방 탈구를 동반한 대결절 골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동반 병변 확인과 골절 치료로 우수한 임상 결과와 골유합을 보였다. 2차 관절경 검사상 Perthes 병변, Free ALPSA 병변, GLAD 병변 및 관절낭 파열은 봉합술을 시행하지 않았지만 자연 치유되거나 더이상 손상의 범위가 증가되지 않았고 술 후 이차적인 불안정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변형된 Weaver-Dunn 술식을 통한 방치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 Bone chip을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과의 비교 - (Surgical Treatment of Neglected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 Modified Weaver-Dunn technique using bone chip graft -)

  • 박진영;금정섭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7년도 제15차 대한견주관절학회 및 제3차 Mayo Asia Elbow Club 합동 학술대회
    • /
    • pp.82-83
    • /
    • 200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