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관절 탈구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5초

유연성 천공기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골관통식 봉합 - 동물 실험 및 예비 임상 결과 보고 - (Arthroscopic Transosseous Suture Repair for Bankart Lesion with a Flexible Drill Device - An Experimental and Preliminary Clinical Report -)

  • 박진수;원예연;유정한;박용욱;노규철;정국진;김홍균;황지효;이용범;서일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72-78
    • /
    • 2010
  • 목적: 견관절의 Bankart 병변에 대하여서 관절경적 수술하에서도 골경유 봉합이 가능하도록 유연성 골 천공기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동물 실험 및 임상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유연성 천공기 세트는 유연성 천공기와 유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연성 천공기는 49개의 미세강선들이 단일 강선 (직경 1.2 mm)으로 꼬인 구조로 이루어져 유연성이 있으며 이러한 유연한 강선의 한 쪽 끝에는 천공기 (직경 1.2 mm)가 용접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유도관은 외경 3.0 mm, 내경 2.0 mm의 원통형 금속 도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쪽 끝은 30도 정도 굴곡되어 있다. 기기의 내구성 및 임상적 유용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돼지의 견갑골 관절와에 골 천공을 실시하는 실험을 30회 이상 실시하였다. 유연성 강선 부위의 기계적 파단이나 골 천공의 실패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일반적 견관절 관절경 술식대로 견관절의 후방 입구 및 전 상방, 전 후방 입구들을 확보한 후 관절경하에서 Bankart 병변이 확인이 되면 면도기를 이용하여 견갑와 내측면의 변연 절제를 실시하여 골 출혈을 유도한다. 이후 관절경을 전 상방 입구로 이전 시키고, 후방 입구를 통하여서 유연성 골천공기 세트의 유도 강관을 삽입하는데 유도 강관의 끝이 견갑와연에서 약 5 mm 정도 안쪽에 위치되도록 한다. 유도강관 내로 유연성 천공기를 삽입한 후 구동기를 이용하여서 견갑와의 골 천공을 실시한다. 골 천공 후에는 유연성 천공기만 유도강관에서 제거한 후에 유도 강관내로 봉합사를 삽입하여 천공된 골구로 통과시키도록 한다. 봉합 갈고리를 이용하여 관절와순에 유도봉합사를 통과시킨 후에 이 유도봉합사에 골 천공구를 통과한 봉합사를 끼워서 관절완순을 통과하도록 한 후 활주 결찰을 실시하여 골 관통 봉합을 이루도록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견갑와의 2시, 4시 방향에 골 천공을 시행하여 견갑와순의 봉합을 실시한다. 결과: 외상성 견관절 탈구 환자 5예에서 유연성 골 천공기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봉합을 실시하였다. 수술 도중 또는 수술후의 신경이나 혈관 손상 등의 문제점이나 합병증 등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기기 자체의 문제들도 발생하지 않았다. 평균 6개월간의 추시 결과 상에서는 재탈구 등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유연성 골 천공기를 사용한 Bankart 병변의 봉합시 관절경적 수술이면서도 골 관통식 봉합이 가능하여 관절와순의 부착면적의 증대 효과 뿐 아니라 손쉬운 활주 결찰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오구 쇄골간 슬링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by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Augmented with Coracoclavicular Sling)

  • 김덕원;김성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188-193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네 가닥의 Ethibond로 오구 쇄골간 sling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의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 소견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9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네 가닥 Ethibond sling으로 보강된 변형된 Phemister 술식으로 30예의 견봉 쇄골 관절 탈구를 치료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8.2(24~33)개월 이었다. 술 후 기능 평가는 Weitzman 분류로 하였고 오구 쇄골 간격의 정복 정도를 방사선 영상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Weitzman 분류를 이용한 기능 평가에서는 우수 24예, 양호 4예, 보통 2예였고 오구 쇄골 간격은 수상 시 16.9 mm간격에서 수술 직후 7.3 mm로 정복되었고 최종 추시 시 건측과 비교하여 오구 쇄골 인대의 간격 비율은 평균 1.24 (0.68~1.71) 이었다. 합병증으로 5예에서 K-강선 후퇴와 4예에서 관절 운동 제한이 있었다. 결론: 견봉 쇄골 관절의 탈구에서 네 가닥의 Ethibond로 오구 쇄골간 sling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Bankart 병변의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Suture Anchor)

  • 김경택;김철홍;김성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49-153
    • /
    • 2002
  • 목적: Bankart병변이있는 외상성재발성견관절탈구환자에서봉합나사를이용한관절경적봉합술의유용성을알아보았다. 대상및방법: 견관절의외상성전방불안정성환자에대해봉합나사를이용한관절경적Bankart병변봉합술을시행한환자중12개월이상추시가가능하였던54례를대상으로Rowe와Zarins의평가방법을이용하여결과를판정하였다.결과: 관절경하에서확인된동반병변으로Hill-S achs병변이28례에서, SLAP병변과상완골골두의연골연화증은각각6례에서관찰되었다. Rowe와Zains의평가방법에따라평가하여50례( 92.6$\%$ )에서양호이상의결과를얻었으며, 재탈구는2례에서발생하였다.결론: 외상성재발성견관절탈구로인한전방불안정성환자에서Bankar병변에대해봉합나사를이용한관절경적봉합술은우수한임상결과와낮은재발율을보이고, 합병증이낮은효과적인술식중의하나라고사료된다.

  • PDF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관절경하 재건술 - 전하방 관절낭 중첩술과 하방 관절낭 중첩술의 전향적 비교 - (Arthroscopic Reconstruction i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Prospective Comparison of Anteroinferior Plication Versus Inferior Plication -)

  • ;고상훈;전형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27-32
    • /
    • 2009
  • 목적: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경 술식을 이용한 전하방 관절낭 상방전위 및 중첩술과 부가적인 하방 관절낭 중첩술과의 추시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을 보인 환자중에서 전하방 관절낭 중첩술을 시행하고 하방 관절낭 중첩술을 추가로 시행하지 않은 42예(1군)와 부가적인 하방 관절낭 중첩술을 시행한 33예(2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1군이 22.5(17~31)세, 2군이 21.8(16~30)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군이 23.5(12~45)개월, 2군이 20.1 (12-49)개월이었다. 술 전과 술 후 6개월, 1년, 최종 추시에서 운동 범위와 Rowe점수를 측정하였고 합병증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Rowe score는 1군에서는 술 전 평균 20.6 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 86.8 로, 2군에서는 술 전 평균 20.5 에서 술 후 최종 추시에서 94.1 로 개선되었다.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경 하 재건술은 모든 군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지만 1군에서보다 2군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p<0.05), 합병증의 비교에서 2군이 합병증이 더 적었다(p<0.05). 결론: 전하방 관절낭 중첩술과 부가적으로 시행된 하방 관절낭 중첩술은 재발성 견관절 전방 탈구의 합병증의 빈도를 낮추고 결과를 호전시킬 수 있는 술식으로 생각된다.

근위 상완골 종양 치료 실패 후 역 견관절 전치환물을 이용한 구제술 (Salvage with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after the Failure of Proximal Humeral Tumor Treatment)

  • 전대근;조완형;김범석;박환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505-512
    • /
    • 2018
  • 목적: 상완골 근위부 절제 후 다양한 재건술이 시도되었으나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도입으로 기능적 결과의 향상이 있었다. 그러나 광범위한 골결손을 동반한 경우에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와 비수술적 치료 실패 후 지연 재건하면 기능회복의 정도가 어떤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근위부 재건술 후 실패한 11예는 중첩 동종골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조합술을, 비수술적 치료가 실패한 6예는 지연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후 기능적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합병증을 기술하였다. 결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과 동종골 조합술로 일차 수술이 실패한 11예 전부에서 안정된 재건술이 가능하였으며 수술 전 주 증상도 해소되었다. 골 접합부 평균 골유합 기간은 5.5개월이었다. 수술 전, 후 근골격계 기능 점수는 평균 20.3점에서 25.7점으로 증가하였다. 일차 수술 후 4년 이내에 역 견관절 전치환술로 치환한 6예 중 4예에서 $90^{\circ}$ 이상의 상지 거상이 가능하였으며, 일차 수술 후 4년 이후에 수술한 5예는 견관절의 안정성은 얻었으나 전부 $90^{\circ}$ 이상 거상이 불가능하였다. 합병증은 관절탈구와 무균성 감염이 각각 1예로 폴리에틸렌 교체와 반흔 조직 절제술로 치료하였다. 비수술적 치료 실패로 지연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한 6예에서 기능평가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전 예에서 상지의 $90^{\circ}$ 이상 거상은 불가능하였다. 결론: 중첩 동종골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조합술은 대량의 상완골 골결손이 발생한 환자에서 간단하고 합병증이 적은 골질 회복방법으로 생각된다. 진단 시 근위 상완골 전 절제가 필요한 전이성 골종양 환자는 조기에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하는 것이 기능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동적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견관절 상완 이두건 장두의 아탈구 (Subluxation of the Long Head Biceps Tendon Diagnosed by Dynamic Ultrasound)

  • 박상은;정재중;이연수;김영율;김명진;지종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2호
    • /
    • pp.236-241
    • /
    • 2011
  • 목적: 이학적 검사나 단순 방사선, 정적 초음파, 자기공명영상 등의 검사를 통해 진단하기 어려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의 진단 시 동적 초음파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동적 초음파를 이용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로 진단된 2명의 남자환자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한 연부조직 상완 이두건 장두 고정술을 시행하고 증상 및 기능적 회복 정도를 평가 하였다. 결과: 동적 초음파를 이용해 상완 이두건 아탈구를 쉽게 진단할 수 있었으며 수술 후 증상 및 기능적 평가에서도 향상을 나타내었다. 수술 후 특이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진단이 어려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의 진단 시 동적 초음파의 이용은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상완 이두건의 병소에 대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Efficacy of Ultrasonogram for the Diagnosis of Biceps Tendon Pathology)

  • 서중배;이지영;방승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90-95
    • /
    • 2008
  • 목적: 회전근 개 질환 환자에서 상완 이두건의 병소에 대한 수술 전 초음파 검사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회전근 개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초음파 검사를 시행 한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은 평균 58세였으며, 남자 41예, 여자 26예였다. 상완 이두건의 관절경 및 초음파 소견은 '정상', '탈구', '아탈구', '건증', '부분 또는 완전 파열'등으로 기술하였으며, 관절경과 초음파 소견 간의 일치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 67예 중 37예가 '정상'이었으며, 30예가 '비정상'이었다. '정상' 37예 중 5예는 관절경 검사상 '부분 파열'이 있었으며, '비정상' 30예 중 8예는 관절경 검사상 '정상'이었다. 초음파 검사상 3예의 '탈구' 및 4예의 '완전 파열'은 관절경 검사 결과와 일치하였다. 초음파 검사에서 '건증'이 기술된 20예는 관절경 검사에서 '부분 파열' 15예, '정상' 5예로 관찰되었다. 결론: 상완 이두건의 병소에 대한 초음파 검사는 상완 이두건의 탈구 또는 완전 파열 시에는 진단이 일치하였으나, 부분 파열에 대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웠다.

TightRope®를 이용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 수술 술기 및 예비 보고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 for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 Surgical Technique and Preliminary Results)

  • 조철현;손승원;강철형;오건명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65-171
    • /
    • 2008
  •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를 이용한 수술 술기를 소개하고 유용성 및 예비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1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2.4(8~16)개월이었다. 견봉 쇄골 관절의 내측 1 cm 부위에서 오구돌기 방향으로 4 cm의 피부 절개를 가하여 삼각근을 분리한 후 TightRope$^{(R)}$를 이용하여 오구 쇄골 인대 강화술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안정성을 주기 위해 2개의 1.6 mm K-강선을 이용하여 일시적인 견봉 쇄골 관절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UCLA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에서는 해부학적 정복이 7예, 경도의 정복 소실이 2예, 중등도의정복 소실이 1예였다. UCLA 점수는 평균 30.8(24~35)점으로 우수 6예, 양호 3예, 보통 1예였다. 결론: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를 이용한 치료는 최소 침습적이며, 비교적 술기가 간편하고 안정된 고정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정확한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장기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스키손상의 특성과 발생양상 - 11년 간 조사보고 - (Recent Trends of the Ski Injuries - An Eleven years Surgery -)

  • 유명철;정덕환;조윤제;이재훈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1995년도 학술대회
    • /
    • pp.7-7
    • /
    • 1995
  • 최근에 스키가 동계스포츠로 각광받으면서 스키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스키손상도 많이 발생하게 되어 스키손상은 스포츠외상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스키인구의 증가에 따라 스키손상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이에 대한 예방대책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에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에서는 1982년 12월부터 1995년 3월까지( 1986년과 1987년을 제외 ) 11년간 용평스키장내에 동계스포츠클리닉을 개설하여 상기 기간 중 내장한 총 스키인구 3,093,667명중 스키손상으로 동계스포츠클리닉에 내원한 7,172명의 환자$(0.23\%)$에 대하여 스키손상의 년도별 발생빈도, 스키손상의 특징 스키골절과 탈구의 발생빈도 및 특징 등에 대하여 11년 간의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11년 간의 스키장의 내장객수는 1983년을 기준 (83,100)으로 하였을 때 1995년에 $977\%로 국부 큰 증가를 보였으며, 스키인구 1000명당 손상율은 1983년의 3.4에서 1995년의 1.4(평균 2.3)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스키손상의 형태는 단순열상 및 타박상등을 제외하고 슬관절 인대손상이 $22.6\%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조사기간동안 수치상의 의미 있는 변화는 없었다. 스키골절 및 탈구는 스키인구 1000명당 평균 0.35였으며, 1983년의 0.90으로부터 점차 감소하여 1995년에는 0.21에 이르렀다. 연령별 스키골절 및 탈구는 20세 이하에서 평균 $41.6\%로 전체적으로 성인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처음 3년 간 20세 이하 골절 및 탈구가 $70.5\%로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으나 1995년도의 20세 이하 골절 및 탈구가$30.3\%까지 감소하게되어 년도가 증가함에 따라 청장년 층에 비하여 소아골절 및 탈구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스키골절의 부위별 발생빈도는 1990년 이전까지 하지골절 및 탈구가 많았으나 이후 점차 상지의 골절 탈구가 증가하였다 하지에서 가장 많은 골절은 경골 골절이었으며, 경골골절은 회전력에 의한 나선형골절이 $76.5\%로 가장 많았고 년도에 따른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스키손상의 발생빈도는 초기에 비하여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손상의 특성도 부위별, 연령별로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이두건 장두의 초음파 진단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the Long Head of Biceps Tendon)

  • 송현석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37
    • /
    • 2015
  • 이두건 장두(long head of biceps tendon)의 병변은 견관절의 전방부 통증의 여러 원인 중에 하나에 해당한다. 이두구의 형태에 대한 해부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폭, 깊이, 내측벽 각(medial wall angle)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이두건 장두 자체의 영상 소견 및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