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관절 탈구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5초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시 오구 쇄골 인대 봉합의 필요성 (The Necessity of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in Open Reduction for th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s)

  • 김유진;신헌규;정화재;최재열;박세진;최규보;임종준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194-201
    • /
    • 2010
  • 목적: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하지 않고 견봉 쇄골 관절의 관혈적 정복만 시행한 환자군에서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7년까지 변형 Phemister 술식과 갈고리 금속판 (AO hook 금속판, Wolter 금속판)을 사용하여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삽입물 제거한 5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이 21명,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이 32명 이였다. 임상적 평가는 Constant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양측 쇄골과 오구돌기 사이의 수직 거리를 비교하여 방사선적 평가를 하였다. 결과: Constant score는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에서는 $87.59{\pm}7.8$,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서는 $89.35{\pm}5.3$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두 군에서 수술 전 손상 부위의 쇄골 오구돌기의 평균 거리는 15.9 mm이였으며, 건측 견관절은 평균 8.0 mm이였다. 갈고리 금속판 환자군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1.0 mm, 변형 Phemister 환자군에서는 평균 1.2 mm의 수직 전위가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오구쇄골 인대를 복원 하지 않은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은 양호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다.

견갑하근의 동반 파열 (Concomitant Subscapularis tear)

  • 안기용;문영래;강정훈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1-204
    • /
    • 2009
  • 견갑하근 파열의 손상과 치료방식이 발전하면서 견갑하근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었고 이에 견갑하근의 파열양상, 봉합방법 그리고 후상방 회전근 개 파열과의 관련성 등이 여러 저자들에 의해서 연구 되고 있다. 즉, 이전까지 관심의 대상에서 제외 되었던 견갑하근의 부분파열이 점차적으로 회전근 개 파열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완 이두건초염과 오구상완 인대의 내측활차의 손상이 이러한 부분파열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견갑하근 파열에 대한 정확한 원인 인자는 아직 불투명하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견갑하근 파열의 치료와 견갑하근 파열과 동반 손상된 상완 이두건 손상및 탈구 등을 치료하고 이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손상 종류에 따른 치료방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3년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 개방적 정복술과 경첩 외고정 장치 - 1예 보고 - (Neglected Elbow Dislocation Occurred 3 Years Ago: Open Reduction and Hinged External Fixation - A Case Report -)

  • 김보건;김경천;박준영;신현대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66-269
    • /
    • 2010
  • 목적: 3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45세 여자가 3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로 수술적 소견상 주관절 외측 및 내측 측부 인대는 구축되어 있어 박리술을 시행하였다. 후방 관절낭을 완전히 유리시키고 전방 관절낭을 절개한 이후 수동적 조작을 가하여 요상완 및 척상완 관절을 정복시켰다. 변형된 Morrey형의 경첩형 외고정 장치를 주관절부에 장착하고 조기 주관절 운동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저자들은 3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에서 개방적 정복과 경첩형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고정술의 만족스런 결과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상부 견갑 현수 복합체의 3중 붕괴 - 5년 추시 증례 보고 - (Triple Disruption of the Superior Shoulder Suspensory Complex - Case Report at 5-year-follow up -)

  • 성창민;박형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143-147
    • /
    • 2012
  • 상부 견갑 현수 복합체(Superior shoulder suspensory complex)의 3중 붕괴는 몇몇 저자들에 의해서만 보고된 극히 드문 손상이다. 저자들은 오구돌기, 견갑극 골절 및 견봉-쇄골 관절의 탈구가 동반된 상부 견갑 현수 복합체의 3중 붕괴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 환자의 경우 견봉-상완 및 오구-상완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을 시행하여 상부 견갑 현수 복합체의 3중 붕괴 모두를 해부학적으로 복원하여 치료하였다. 술 후 6개월에 증상 없이 관절운동범위를 모두 회복하였다. 최종 추시인 5년에는 상부 견갑 현수 복합체의 기능이 완전히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환자는 수술 결과에 대하여 크게 만족하였다.

Tight-Rope®을 이용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 예비 보고 -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 for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 Preliminary Report -)

  • 권석현;최상수;이성인;김정우;김광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15-122
    • /
    • 2013
  •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 (Arthrex)를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0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 환자에 대해 Tight-Rope$^{(R)}$를 이용하여 치료한 환자 중에서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정복 상태의 평가는 쇄골의 방사선학적 추시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UCLA 점수, Constant 점수 및 VAS 통증 점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에서 UCLA 점수는 22예(73%)에서 우수, 5예(17%)에서 양호, 2예(7%)에서 보통, 1예(3%)에서 불량이었으며, Constant 점수는 평균 $92.5{\pm}7.5$점이었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26예(86%)에서 해부학적 정복을 보였으며, 2예(7%)에서 중등도의 정복 소실, 2예(7%)에서 완전 재탈구를 보였으며, 이중 완전 재탈구를 보였던 2예에서 임상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았으며 재수술을 필요로 하였다. 결론: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를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은 신뢰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제공하는 좋은 치료 방법이라 생각한다.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Treatment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Using a AO Hook Plate)

  • 이기원;최영준;안형선;김정환;황재광;한희돈;김재현;주윤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67-172
    • /
    • 2009
  • 목적: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쇄골 관절 완전 탈구의 치료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부터 2009년 9월까지 AO hook 금속판를 이용하여 견봉쇄골 관절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삽입물 제거한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의 평가는 Constant-Murley score로써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금속판 제거 후 방사선 사진에서 견봉쇄골 관절의 정복 상태 및 오구 쇄골 간격을 측정하였다. 결과: 전예에서 임상적으로나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Constant-Murley점수는 평균 90.5(84~95)점이었으며, 3예에서 수술부위에 경미한 통증 및 불편감을 호소하였지만 금속판 제거 후 증상은 해소되었다. 방사선학적으로도 전예에서 쇄골의 수직전위가 정복되었으며 감염, 금속판 파괴, 금속판 제거 후 재탈구 등의 합병증은 관찰 되지 않았다. 결론: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의 초기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실패한 견관절 불안정증의 봉합술에 대한 재수술 (Revision of Failed Shoulder Instability Repair)

  • 박진영;박홍근;오정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5-140
    • /
    • 2006
  • 불안정성 견관절에 대한 진단과 치료는 정형외과 영역에서 가장 어려운 분야 중에 하나이다. 관절와 위에서 움직이는 상완골두의 아탈구와 정상적인 전이, 통증과 기능 저하를 일으키는 이완의 정도는 구별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불행하게도 이 불안정성을 일으키는 모든 병변에 시행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한가지의 치료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불안정성의 방향과 정도뿐만 아니라 동반된 문제까지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 해부학적 결손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불안정성에 대한 봉합술의 실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잇는 흔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정확한 해부학적 병리소견을 확인하는 올바른 진단, 올바른 치료 방법에 대한 이유, 필요 없는 내고정물의 사용이나 불안정성, 관절염, 신경 및 혈관 손상 등을 남길 수 있는 도달법의 사용과 같은 기술적 결함 등이 있다. 술후 견관절의 안정성, 유연성, 지구력을 회복시켜 강도높은 스포츠나 노동에 복귀할 수 있는 잘 준비된 재활을 통해 추가적인 손상을 막아야 한다.

  • PDF

견관절 불안정성의 견갑하근 및 관절 낭 수평 분할을 이용한 하방 관절 낭 이동술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using Splitting Subscapularis and Capsule f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박진영;임수택;유문집;유석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2-107
    • /
    • 2002
  • 목적 : 견관절 불안정성의 관절경적 수술로 재발의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 대해견갑하근 및 관절낭 수평 분할을 이용한 하방관절낭이동술을시행하고이에대한결과를분석하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 1994년부터 1999년까지수술을시행한환자중1년이상추시(평균: 2년, 범위: 1$\~$3년)가가능한 15례를대상으로하였다. 남자가13례여자가2례이었으며평균연령은27 이었다. 질환은다방향성불안정성4례, 수의성불안정성3례, 골성Bankart 병변이있는전방불안정성2례, 접촉성운동선수의전방불안정성6례였다. 13례는관혈적봉합술과하방관절낭이동술을 동시에 시행하였고, Bankart 병변이없던2례는하방관절낭이동술만 시행하였다. 관절낭중첩 정도는평균 19 mm (범위: 10$\~$5 mm)였다. 결과 : 14례에서우수혹은양호의결과를보였으며술후1례에서아탈구되었고, 1례에서전방염려검사에양성소견을보였다. 술후전방거상과팔을체간에붙인외회전, 90$^{\circ}$ 외전에서의외회전의운동범위는술전과통계학적인차이가없었다. 결론 : 견갑하근및관절낭수평분할을이용한하방관절낭이동술은관절운동범위의감소없이과잉관절낭과Bankart 병변을치료할수있어관절경적치료로재발의가능성높은환자에서권장될치료법으로사료되었다.

  • PDF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서 관절경적 방카트르 봉합술 시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임상적 치료결과 비교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Absorbable Knot-tying and 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s)

  • 김성준;;오경수;방승철;박진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0-55
    • /
    • 2013
  • 목적: 방카르트 병변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에서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 과 흡수성 비매듭 봉합 나사못의 임상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연구는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방카르트 봉합술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 이용한 환자군(KT군)은 59명,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KL군)을 이용한 환자 군은 52명이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각각 25.9개월과 37.0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통증의 주관적 시각 척도(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VAS for pain), 관절 운동 범위, Rowe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그리고 재탈구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주관적 시각척도에 의한 통증의 정도는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은 평균 0.5점,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은 0.8점이었고(p=0.250), 수술 후 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매듭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환자 군에서는 1예가 발생하였다. Rowe score는 각각 평균 94.3점 및 96.3점(p=0.412), ASES score는 각각 97.29점과 94.03점이었다(p=0.052). 술 후 재 탈구는 KT군에서 4예, KL군에서는 1예가 있었으며 양 군에서 재 탈구 빈도는 통계적 의의가 발견되지 않았다(p>0.05). 결론: 흡수성 매듭 봉합 나사못과 흡수성 비 매듭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임상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두 방법 사이에 재 탈구 율을 포함한 결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견관절 병변과 관련된 이두박건 활차의 관절경적 소견 (Arthroscopic Findings of Biceps pulley in Shoulder Pathology)

  • 최창혁;김신근;장우창;이승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6-141
    • /
    • 2002
  • 목적 : 이두박건 구 입구에서 이두박건의 내측 전위를 방지해주며, 관절내 활주를 유도해 주는 이두박건 활차는 상부 관절순 및 회전근개의 작용에 영향을 받아 발달하며, 형태학적인 혹은 기능적인 변형이 생길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관절경으로 관찰한 이두박건 활차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하고, 견관절의 병변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7월까지 견관절경 검사 및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49명에 대해서 이구박건 활차의 양상을 stretched type, sling type, detached sung type, concealed type으로 분류하여 관찰하였으며, 대상자는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 22례, 회전근 개 파열 12례, 충돌증후군 5례, 동결견 6례, 상부 관절순 병변 2례, 견갑흉곽 점액낭염 1례, 그리고 이두박건 장두 탈구 1례 이었다. 결과 : 전체 49례중 전형적인 양상인 stretched type은 24례$(49\%)$에서 관찰되었으며, sling type은 5례$(10\%)$, detached sling type은 2례, 그리고 concealed type이 1례 관찰되었으며, 회전근 개 파열이 이두박건 장두 부위까지 연장된 8례를 포함한 17례 $(35\%)$의 경우 그 양상을 확인 할 수 없었다. 결론 : 관절내 이두박건 장두의 내측전위를 방지하고 활주를 유도하는 이두박건 활차의 형성, 발달 및 증상의 유발에는 견관절의 병변 및 체상운동의 정도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