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관절 탈구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5초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치료방침의 결정 (Stabilization in the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here Do We Stand Today?)

  • 이용걸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4년도 연수강좌
    • /
    • pp.112-116
    • /
    • 2004
  • 전방 탈구인 경우 첫탈구이거나 생애에 몇번만 탈구를 경험하고 일상생활에 별 지장이 없다면 보존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early surgey가 요구되는 경우는, 첫탈구가 teen aged이면 관절경적 수술을, 골편이 큰 Bankart병변이 있는 첫탈구는 수술하는 것이 좋다. 전방 불안정성인 경우, collision sports는 개방술로, non-athletes이거나 throwing 또는 contact sports는 관절경술로 시행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가 명심하여야 할 것은 전방 불안정성을 다루는데 환자의 입장에서 서야 한다는 것이다. 의사의 능력 정도나 욕망보다도 환자의 상태, 활동 정도와 환자의 요구에 맞추어 환자를 치료하여야 한다.

  • PDF

견관절 전방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 발생한 이중 Hill-Sachs 병변 - 증례 보고 - (Double Hill-Sachs Lesion in a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Patient -A Case Report -)

  • 김용민;박경진;김동수;최의성;손현철;조병기;홍경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24
    • /
    • 2011
  • Hill-Sachs 병변은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병변으로 상완골두의 후외방 골결손으로 지칭된다. 처음 탈구되는 환자에서도 관찰될 수 있으며, 탈구가 진행될 될수록 진행하여 탈구의 수와 Hill-Sachs 병변의 관찰정도는 비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ll-Sachs 병변의 위치와 유무는 견관절 불안정성에 중요한 의미를 띄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저자들은 재발성 전방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동반된 이중 Hill-Sachs 병변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견관절 불안정성 진단 및 치료방침의 결정

  • 최창혁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7년도 제5차 연수강좌
    • /
    • pp.104-109
    • /
    • 2007
  • 외상성 전방탈구의 경우 일차성 탈구이거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불안정성이 있을 경우 및 비외상성 다방향 불안정성의 경우 보존적 치료가 바람직하며, 10대 및 20대의 재탈구로 인한 불안정성이 유발될 경우 관절경적 혹은 개방성 Bankart 술식을 통하여 관절순의 해부학적 정복 및 술 후 잘 조절된 재활치료를 시행할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치료 방법의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환자의 원하는 결과를 만족 시켜줄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며, 이는 불안정성의 원인, 정도, 탈구의 횟수, 환자의 활동도 및 재활 의지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 PDF

관절와 상완 관절 병태 생리, 분류 및 치료 방침 결정

  • 신상진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8년도 제6차 연수강좌
    • /
    • pp.99-108
    • /
    • 2008
  • 견관절 전방 탈구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점은 탈구를 유발한 병태 생리에 대한 충분한 숙지와 함께 적절한 환자의 선택과 치료 결과에 대한 환자의 기대치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탈구의 횟수에 있어서 첫 탈구이거나 아주 적은 횟수의 탈구로 환자가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하지 않는다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해야 할 것이며, 수술적 치료의 경우에 환자의 병변 상태나 그 원인 인자에 대한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진 후 시행되어야 한다. 환자의 기대치는 일반인의 경우 수상 이전의 활동도의 회복보다는 안정성이 중요할 것이며, 운동 선수인 경우에는 안정성이 회복 되었더라도 운동에 다시 복귀하지 못한다면 만족도는 매우 떨어질 것이다. 이렇듯 의사의 능력이나 욕망 보다는 환자의 활동 정도와 견관절의 병적 상태, 환자의 요구에 맞는 치료방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 PDF

소아에서 동측 상완골 외과적 경부 골절을 동반한 외상성 견관절 후방 탈구 - 증례 보고 - (Traumatic Pos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with Ipsilateral Humeral Surgical Neck Fracture in a Child - A Case Report -)

  • 강석;정필현;김종필;김영성;이호민;김종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80-83
    • /
    • 2011
  • 목적: 소아에서 외상으로 발생하는 견관절 후방 탈구는 극히 드문 손상이며 상완골 외과적 경부 골절이 동반된 경우는 국내에서 현재까지 문헌상 아직 보고된 증례가 없다. 대상 및 방법: 태권도 운동 중 수상하여 좌측 견관절 후방 탈구 및 동측 상완골 외과적 경부 골절로 내원한 10세 소아에서 전신 마취하에 개방성 정복 및 핀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1년 추시 상 재탈구 및 상완골 두 무혈성 괴사의 합병증 없이 운동 범위의 완전 회복과 골유합 및 재형성을 얻었다. 결론: 소아에서 견관절 후방 탈구와 상완골 외과적 경부 골절을 동반한 증례를 수술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상완골 대결절 골절 및 회전근 개 전 파열이 동반된 견관절 후방 탈구 - 증례 보고 - (Posterior Shoulder Dislocation with a Greater Tuberosity Fracture and Total Rupture of Rotator Cuff - A Case Report -)

  • 신성룡;김도영;이상수;유연식;정운섭;최현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227-231
    • /
    • 2007
  • 골절이 동반된 견관절 후방 탈구는 견관절 탈구의 1% 미만을 차지하며 동반되는 골절은 상완골 두 감입 골절이나 소결절 골절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회전근 개 전 파열이 동반된 후방 탈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적이 없다. 저자들은 견관절 후방 탈구와 함께 극상근건이 부착된 대결절 견열 골절, 극하근건, 소원형근건 및 견갑하근건의 완전 파열이 동반되어 수술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근위 상완골 골절 - 1예 보고 -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nd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Neurofibromatosis Type I - A Case Report -)

  • 황태혁;조형래;왕태현;양희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35-140
    • /
    • 2013
  •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동반된 근위 상완골 골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으로 진단된 20세 남자로 가벼운 외상 후 발생한 우측 견관절의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로 내원하였다. 수상측 주관절부에는 큰 망상형 신경 섬유종들이 있었으며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 병변이었다. 단순 방사선과 컴퓨터 단층 촬영 소견 상 상완골과 견갑골의 골성 변형을 보였고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상 삼각근과 회전근 개에 다발성 신경 섬유종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관혈적 정복술 및 관절막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근위 상완골 골절은 재건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골유합과 만족스런 기능 회복을 보였으며 수술 후 7개월 추시 상 견관절 탈구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견관절 재발성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은 드문 합병증이나 질환의 정형외과적 접근 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상 후 발생한 양측성의 견관절 잠긴 후방 탈구 - 증례 보고 - (Bilateral Traumatic Locked Pos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 A Case Report -)

  • 임종민;서정탁;안재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26-231
    • /
    • 2009
  • 목적: 외상 후 발생한 양측성의 견관절 잠긴 후방탈구는 매우 드물며, 국내문헌에 이에 대한 수술적 치료에 대한 보고는 없다. 대사 및 방법: 외상 후 발생한 양측성의 견관절 잠긴 후방 탈구 1예에서 관혈적 정복술 후 우측에 대해 소전자 이전술, 좌측에 대해 견갑하건 이전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수술 후 24개월간 추시하여 만족스러운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