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관절 질환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1초

회전근 개 부분 파열에서 자기공명 관절조영술과 관절경 소견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MR-arthrography and Arthroscopy in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 권오수;박상은;신은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38-43
    • /
    • 2009
  • 목적: 회전근 개 부분 파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검사가 필수적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자기공명 관절조영술과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여 자기공명 관절조영술의 회전근 개 부분 파열에 대한 진단능력을 평가하는 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신체 검사상 회전근 개 질환으로 의심되어 자기공명 관절조영술 및 관절경 수술이 시행된 17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열의 자기공명 관절조영술 소견과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여 회전근 개 파열의 위치에 따른 자기공명 관절조영술의 진단 능력을 평가하였다. 관절면 회전근개 부분 파열의 크기에 대한 일치도를 구하였다. 결과: 파열의 위치에 따라 관절면, 점액낭측 및 양면 파열의 3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 56예, 26예, 17예였다. 자기공명 관절조영술은 관절면 회전근 개 부분 파열에 대한 민감도 82%, 특이도 88%를 보였으며 점액낭측 파열인 경우에는 민감도 11%, 특이도100%를 보였다. 관절면 회전근개 부분 파열의 크기에 대한 자기공명 관절조영술 소견과 관절경 소견의 일치도는 72%였다. 결론: 자기공명 관절조영술은 관절면 회전근 개 부분 파열의 진단에는 유용하나 점액낭측 파열의 진단에는 한계가 있었다.

회전근 개 파열의 병태생리와 자연경과 (Pathophysiology and Natural history of Rotator Cuff Tears)

  • 권오수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6년도 제4차 연수강좌
    • /
    • pp.59-68
    • /
    • 2006
  • 회전근 개 질환의 병리기전의 연구과정은 과거에 형태학, 거시적 해부학 또는 방사선학적 연구를 통해 충돌 증후군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었으나 그간의 병리조직학 및 생역학의 발전에 힘입어 좀 더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복합적인 기전을 통해 발생함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와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적절한 진단, 치료, 재활 및 예방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향후 건 내의 퇴행성 변화에 대한 분자 생물학적인 접근과 생체 내와 같은 조건에서의 역동성을 재현할 수 있는 견관절 모델의 개발을 통한 더욱 향상된 생역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arsonage-Turner Syndrome의 임상 양상 (Clinical Features of Parsonage-Turner Syndrome)

  • 오주한;조기현;최혜연;공현식;오정희;윤종필;김태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31-136
    • /
    • 2008
  • 목적: Parsonage-Turner syndrome은 어깨나 어깨 주위에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심한 동통과 연이어 나타나는 견관절 부위 근육 마비 증상을 주소로 하는 드문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이 경험한 환자군의 임상양상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2월부터 2008년 7월까지 Parsonage-Tuner syndrome으로 진단된 6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과 전화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남자가 5명, 여자가 1명 이었다. 평균 나이는 43.3세(범위, 20~68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9.1개월(범위, 14~27개월)이었다. 결과: 견갑부의 극심한 통증은 발병 후 1일에서 3주간 지속되었고, 그 후 점차 감소하여 평균 3.3주(범위, 2~5주)이내 최소화 되었다. 통증 발생 후 평균 4주(범위, 2~7주)에 이환된 근육에 점진적인 근력 감소가 나타났으며, 추적 기간 동안 1명의 환자는 예전의 근력을 완전히 회복 하였고, 5명은 점차 회복 중이었다. 근전도 검사가 감별 진단에 가장 도움이 되었다. 결론: Parsonage-Turner syndrome은 비교적 양호한 예후를 갖는 질환으로, 이에 대한 숙지는 이 질환을 진단 및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정상인의 견관절 운동범위 및 방사선 투시기를 이용한 운동분율측정 (Normal Range of Shoulder Motion and Fluoroscopic Analysis of Motion Fraction)

  • 최창혁;윤기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권2호
    • /
    • pp.221-229
    • /
    • 1998
  • 평균 나이 23세.의 건강한 남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여 측각도계즐 이용한 견관절운동역을 측정한 결과 Dominant arm과 Non-dominant arm 모두에서 능동운동역에 비해 수동운동역이 증가되었고, 능동운동시 견갑외전, 중립신전, 수평신전, 수평굴곡, 그리고 중립 및 수평내회전에서, 수동운동의 격우에는 견갑외전, 수평굴곡, 그리고 중립 및 수평내회전에서 Non-dominant arm의 운동증가를 보였고, 수평외회전의 경우 Dominant arm의 운동증가소견을 보였다(p〈0.05) .또한 방사선투시기를 이용하여 관절와상완각과 견갑흉곽각의 비(θGH/θST)를 측정해 본 결과 첫째로 Dominant arm과 Non-dominant arm에서 모두 완전거상시 관절와상완각과 견값흥곽각의 비(θGH/θST)는 1.6이었으며 60도이상 150도 거상때까지 지속적으로 견값흉곽운동 분율이 커지는 양상이었다. 둘째천 30도에서 완전거상시까지 운동분율(θGH/θST)은 Dominant arm과 Non-domlnant arm에서 각각 1.2 및 1.3으로 나타났다. 견갑사위는 중립위에서 약 42도였고 거상에 따라 점차 작아졌으며 완전거상시에는 약 20도로 측정되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방사선조사 각도는 단순방사선 촬영에 적용하여, 견관절 질환 치료 후 운동범위의 회복의 경과를 판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요골 신경 마비를 유발한 활액막 연골종 (Synovial Chondroma Causing Radial Nerve Palsy)

  • 전영수;김준용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59
    • /
    • 2007
  • 활액막 연골종은 관절의 활액막에서 결체조직의 화생에 의해 연골 조직이 형성되는 질환이며 드물게 건초, 활액낭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정확한 발생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외상, 감염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관절 연골을 구성하던 연골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활액막내로 흡수되어 연골성 화생을 일으킨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주로 슬관절에 발생하며 그 외 견관절, 주관절, 고관절 등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5세 남자가 약 6개월 간의 우측 주관절 동통, 주관절 구축 및 우측 제1수지와 완관절의 신전 장애 및 감각 저하를 주소로 내원 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주관절의 관절 간격이 좁아져 있었고 관절면의 가장 자리에 골극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연골하골은 경화소견이 관찰되었다. 자기 공명 영상 검사상 요골두 직하방 전외측에 약 $16{\times}12$ mm 크기의 원형의 종양이 관찰되었으며, T1 강조 영상에서 균질의 저신호 강도,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 강도와 저신호 강도가 혼재되어 있었다. 종양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소견상 종양에 의해 요골신경이 압박되어있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절제한 종양은 조직소견상 활액막 연골종으로 진단되었다.

  • PDF

관절경하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수술 후 발생한 치명적인 기도 부종 - 증례 보고 - (Life-threatening Airway Edema after Arthroscopic Repair of Massive Rotator Cuff Tear - A Case Report -)

  • 문영래;유병식;소금영;임경준;강정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136-139
    • /
    • 2007
  • 견관절경 수술로 많은 질환을 치료할 수 있으며 개방 술식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드물게 견관절 수술 후 세척액이 관절외 연부조직으로 유출되어 목과 인두에 부종을 유발하는 기도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다. 이 논문은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 수술 후 치명적으로 발생했던 기도 폐쇄를 보고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위험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마취된 환자의 경우 불편감을 호소할 수 없으므로 술자들의 경부 부종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할 것이다.

개에서 두갈래근 힘줄 윤활막염의 관절강 내 코티코스테로이드 치료 1예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Treatment of Biceps Tenosynovitis in a Dog)

  • 이재연;지현철;이기자;박성준;최호정;이영원;김명철;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2-34
    • /
    • 2007
  • 3개월 령, 35kg의 수컷 볼조이가 간헐적인 좌측 전지 파행을 주 증상으로 내원 하였다. 1년 전 심한 운동 후 간헐적인 파행 및 동통을 호소하였으며, 증상은 계속 악화되었다. 신체 검사 상에서 좌측 두갈래근의 촉진과 견관절의 굴곡 및 신장 시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일반방사선 검사에서 좌측 견관절의 결절사이고랑에서 골증식체와 관절주위변성이 관찰되었다. 관절 조영상에서는 좌측 두갈래근 힘줄에 거칠고 불규칙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액 검사 상에서는 퇴행성 관절 질환 소견이 보였다. 이상의 검사들을 바탕으로 두갈래근 힘줄 윤활막염으로도 진단하고, 내과적 치료를 실시하였다. 무균적으로methylprednisolone acetate 40mg을 관절낭 내로 주사하고, 3주간 엄격한 운동 제한을 실시하였다. 3주 후 내원 시 두갈래근 힘줄의 통증은 완전히 소실되었으나 퇴행성 관절염에 의한 경등도의 파행이 존재하여 NSAIDs의 투여를 실시하였다. 장기적인 예후의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원발질환의 재발 시에는 2차 약물치료 또는 힘줄 절단술(힘줄 고정술, 힘줄박리술)등 을 통한 수술적인 치료가 고려될 수 있다.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 of Arthroscopic Partial Repairs in Massive Rotator Cuff Tears)

  • 유재철;고경환;우경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50-158
    • /
    • 2009
  • 목적: 거대 및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이나 회전근개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완전봉합은 불가능하여도 부분 봉합 또는 “force couple repair”를 통해서도 통증 및 기능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근개의 부분봉합술만을 시행한 환자들에서의 임상결과와 방사선학적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에서 2008년 2월까지 거대 범위에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해 부분 봉합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7.3개월 (15~46)이었고 수술 시 평균 연령은 66.6세 (57~76)였으며 성별은 남자가 7명, 여자가 9명 이었다.동통과 기능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수술 전 후에 비교하였으며 견관절 기능 평가는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와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을 통해 시행하였다. 술 전 및 술 후에 견관절의 방사선검사를 통해 견봉-상완골 간격 및 퇴행성 변화의 진행 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 동통에 대한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4.4 ($\pm2.50$)에서 2.1 ($\pm2.26$)로 감소하였고 (p=0.0029) 기능에 대한 VAS 점수는 술 전 46.9 ($\pm16.64$)에서 70.0 ($\pm22.80$)로 호전된 양상 관찰되었다 (p=0.0023). 견관절 기능 평가인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39.0 ($\pm10.80$)에서 80.3 ($\pm16.78$)로 증가하였고 (p<0.0001), KSS 점수는 술 후 평균 81.9 ($\pm16.74$)로 관찰되었다. 술 전 6.6 cm ($\pm1.74$)의 견봉-상완골 간격은 술 후 6.2 cm ($\pm1.69$)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p=0.3874). Hamada classification을 이용한 견관절의 퇴행성 변화 역시 술 전에 비해 술 후에 통계학적으로 진행하지 않았다 (p=0.2663). 만족도에 있어 3명의 환자에서 매우 좋음, 9명의 환자에서 좋음, 3명의 환자가 보통, 그리고 1명의 환자에서 불량을 표시하였다. 또한 추시 기간 동안 추가적인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완전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 대해서 부분 봉합술 (force couple repair)를 통해서 술 후 평균 2.3년 (15~46개월)에 좋은 임상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으며, 견봉-상완골 간격도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으며 관절와 상완관절의 퇴행성 변화 역시 통계학적으로 진행하지 않았다.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에서 트라넥삼산의 출혈 및 수혈 감소 효과 (Tranexamic Acid Reduces Postoperative Blood Loss in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 박기영;김인보;김은열;이광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391-397
    • /
    • 2021
  • 목적: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TXA)은 하지 수술에서 출혈과 수혈 빈도를 줄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시에 출혈 및 수혈 요구에 대한 TXA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9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를 평가하였다. 수술 중 정맥로와 관절강 내 도포를 시행한 군은 TXA 사용군, 시행하지 않은 군은 TXA 미사용군으로 분류하였다. 술 후 출혈량을 나타내는 배액관 배액량과 수혈 여부, 술 후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TXA 사용군과 TXA 미사용군 간 연령(72.0±7.0 vs. 71.5±5.8, p=0.656) 및 남, 녀 성별 비율(28:65 vs. 23:61, p=0.689)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두 질환 모두를 가진 환자의 유병률(36:3:13 vs. 32:3:8, p=0.806)은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혈 기준에 따라 수혈을 시행한 수혈 환자 수(0 vs. 9, p=0.001)는 TXA 사용군에서 없었으며 TXA 미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더 많았다. 수술 1일째(98.8±61.2 ml vs. 162.7±98.8 ml, p<0.001) 및 제거 당시 배액관 배액량(73.8±48.4 ml vs. 91.5±54.5 ml, p=0.024)은 둘 다 TXA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더 적었다. 수술 전 측정한 혈색소 수치(13.2±1.4 vs. 13.3±1.5, p=0.374)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39.5±3.9 vs. 39.6±4.7, p=0.946)에서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1일째(11.7±1.2 g/dl vs. 11.2±1.4 g/dl, p=0.048), 3일째(10.9±1.2 g/dl vs. 10.2±1.2 g/dl, p<0.001), 6일째 혈색소(11.2±1.3 g/dl vs. 10.7±1.3 g/dl, p=0.020)는 TXA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1일째(35.0%±3.6% vs. 32.5%±3.8%, p=0.001), 3일째(32.3% ±5.0% vs. 29.8%±3.6%, p<0.001), 6일째 적혈구 용적률 수치(33.5%±3.8% vs. 31.5%±3.7%, p<0.001)에서도 TXA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정맥로와 관절강 내 국소도포를 이용한 TXA의 사용은 수술 후 수혈의 필요성과 출혈량을 줄일 수 있다.

회전근 개 파열: 언제 수술하나? 안 하면 어떻게 하나? (Rotator cuff tears: Operate when? What happens if not?)

  • 박형빈;성창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2
    • /
    • 2011
  • 회전근 개 질환은 임상에서 접하는 가장 흔한 견관절 질환이다. 증상을 호소하는 회전근 개 파열 환자를 접하게 되면 수술을 시행할 것인지, 아니면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것인지의 결정은 진료실에서 당면하는 가장 흔한 과제이다. 그리고 수술적 치료를 선택한다면, 언제 할 것인지, 어떤 수술방법을 선택할 것인지의 결정도 중요하며, 수술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는 어떤 치료를 해야 할 것인지 또한 흔히 겪는 문제이다. 본 종설에서는 회전근 개 파열의 경우 언제 수술하나에 해당하는 수술의 적응증과, 수술하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라고 하는 비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